경사강의(經史講義) 38 ○ 역(易) 1 계묘년(1783, 정조7)에 선발된 이현도(李顯道)ㆍ조제로(趙濟魯)ㆍ이면긍(李勉兢)ㆍ김계락(金啓洛)ㆍ김희조(金煕朝)ㆍ이곤수(李崑秀)ㆍ윤행임(尹行恁)ㆍ성종인(成種仁)ㆍ이청(李晴)ㆍ이익진(李翼晉)ㆍ심진현(沈晉賢)ㆍ신복(申馥)ㆍ강세륜(姜世綸) 등이 답변한 것이다
[동인괘(同人卦)]
교(郊)와 야(野)는 같은 뜻인데, 동인(同人)을 야에서 하면 “형통하다.”고 하고 동인을 교에서 하면 “후회가 없다.”고만 말한 것은 어째서인가? ‘동(同)’에는 대동(大同)이라고 할 때의 동도 있고 “구차히 함께하지 않는다.[不苟同]”고 할 때의 동도 있어, 진실로 일률적으로 논할 수 없다. 그러나 육이(六二)의 한 효(爻)는 괘체(卦體)로 말할 적에는 대동(大同)의 뜻이 있고 효의 뜻으로 말할 적에는 아부하고 편당을 들어서는 안 된다는 경계를 보였으며, 구오(九五)의 한 효는 단사(彖辭)와 상사(象辭)가 중직(中直)함과 중정(中正)함으로 응하는 것을 밝혔는데, 《정전》에서 “임금이 대동(大同)하는 도리는 아니다.”라고 하였으니, 장차 어느 것을 따라야 하겠는가? 어떤 이는 “안의 괘체는 같은 데서 다른 데로 가고[自同而異] 밖의 괘체는 다른 데서 같은 데로 오는 것이다.[自異而同]”라고 하였는데 3ㆍ4의 두 효가 같은 데서 다른 데로 가고 다른 데서 같은 데로 올 적에 같게 되고 다르게 되는 계기에 대해서 자세히 분변할 수 있겠는가?
[심진현(沈晉賢)이 대답하였다.]
교(郊)와 야(野)는 다 같이 도시 밖에 있는 장소인데, 야 자에 대해서는 “넓고 멀리 떨어진 곳이다.[曠遠]”라고 풀이하고 교 자에 대해서는 “황폐하고 후미진 곳이다.[荒僻]”라고 풀이하였습니다. 그러니 넓고 멀리 떨어진 곳은 그 같이함[同]에 있어 거리낌이 없는 것이고 황폐하고 후미진 곳은 그 같이함에 있어 응할 자가 없는 것이니, 그 점이 형통함과 후회가 없는 것의 차이입니다. 육이(六二)의 상사(象辭)에서 아부하고 편당을 들어서는 안 되는 뜻으로 경계를 보인 것은 하나밖에 없는 음이 구오(九五)와 합쳐지기를 구하기 때문인데, 만약 괘체로 말한다면 다섯 양이 중정(中正)한 음 하나에게로 돌아가니, 그것이 대동(大同)이 되는 것입니다. 구오의 상(象)을 “대동하는 도리가 아니다.”라고 한 것은 덕이 같은 모든 양을 버리고 아래에 있는 음 하나에 응하기 때문인데, 만약 괘상(卦象)으로 말한다면 강한 양이 구오의 자리에 있어서 중정하고도 곧으니, 그 점이 단사와 상사에서 찬양한 까닭입니다. 이는 진실로 역리(易理)가 서로 섞여 가며 변역(變易)하는 것으로서 그 이상 더 오묘함이 없습니다. 동인(同人)의 내괘(內卦)는 이괘(離卦)인데 그 이괘는 건괘(乾卦) 중에서 한 획이 변한 괘이니 이는 같은 데서 다른 데로 온 것[自同而異]이고, 동인의 외괘(外卦)는 건괘인데 구오 한 효가 내려와서 내괘인 이괘의 음효(陰爻)와 응하니 이는 다른 데서 같은 데로 간 것[自異而同]입니다. 그리고 3ㆍ4 두 효의 경우는 육이와 구오의 사이에 끼어서 위로도 따라가고 아래로도 따라갈 수 있는 처지이기 때문에, 구삼(九三)에서는 “숲 속에 군사를 매복시킨 격이다.”라고 하여 억지로 같음[同]을 구하려는 뜻이 있고 구사(九四)에서는 “담에 올라가서 공격해도 이기지 못하는 격이다.”라고 하여 곤경에 처하자 반성하는 뜻이 있으니, 이런 것을 가지고 연구해 보면 같고 같지 않음을 알게 될 것입니다.
선대 학자가 이르기를, “64괘(卦)는 이미 복희씨(伏羲氏) 때에 갖추어졌으나 그 이름만 있었고 설명은 없었는데 문왕(文王)이 비로소 단사(彖辭)를 붙였으니, 건(乾) 자는 복희(伏羲)의 글이고 원형이정(元亨利貞)은 문왕의 글이다.”라고 하였다. 진실로 그 말대로라면 “호랑이 꼬리를 밟는다.[履虎尾]”고 한 곳과 또는 “들에서 사람과 같이한다.[同人于野]”고 하는 것은 어떻게 구분하여 배속시켜야 하는가?
[김계락이 대답하였다.]
복희 때에는 괘(卦)의 획만 있고 글은 없었는데 문왕이 비로소 설명을 붙였다는 것에 대해서는 선대 학자들이 이미 자세히 논하였고, 소자(邵子)의 선천도(先天圖)에서도 설명하여 밝힌 바가 있습니다. “호랑이 꼬리를 밟는다.”고 한 것과 또는 “들에서 사람과 같이한다.”고 한 것에 이르러서는 다른 괘사(卦辭)에서 구분하여 말한 것과는 진실로 같지 않습니다. 대개 모든 괘 중에 혹 어떤 괘만을 말하면서 그 아래에 단사(彖辭)를 붙인 것도 있고 위 괘의 이름을 연관시켜서 그 괘의 뜻을 말한 경우도 있으나, 오직 이 “호랑이 꼬리를 밟는다.”고 한 것과 또는 “들에서 사람과 같이한다.”고 한 것만은 비괘(否卦) 괘사에서 “비색할 때는 사람의 도가 없다.[否之匪人]”고 한 것과 간괘(艮卦) 괘사에서 “그 보이지 않는 등쪽에 머무는 격이다.[艮其背]”라고 한 것과 더불어 모두 다 위의 계사(繫辭)의 뜻을 연관 지은 것입니다. 그리고 괘의 이름은 비록 복희씨의 시대에 나온 것이나 설명을 붙인 것은 문왕의 시대이니, 그 구분하여 배속시키는 것은 아마도 분변하기가 어렵지 않을 것 같습니다.
이상은 동인괘(同人卦)이다. 출전 : 한국고전번역원
[同人]
郊野一也。同人于野則言亨。同人于郊則秖言无悔何也。同有大同之同。亦有不苟同之同。固不可一例論之。而六二一爻。以卦體言之則有大同之義。以爻義言之則示阿黨之戒。九五一爻。彖象則明其中直中正之應。而程傳則謂非人君大同之道。將何適從也。或曰內體自同而異。外體自異而同。三四二爻。正當同而異異而同之際。其所以爲同異之幾。可得詳辨歟。晉賢對。郊與野。均是在外之地。而野則釋之曰曠遠。郊則釋之曰荒僻。然則曠遠之地。其同也無所礙矣。荒僻之所。其同也無與應者。此所以有亨與无悔之不同也。六二之象示阿黨之戒者。以一陰而求合於九五之故也。而若以卦體言之則五陽同歸於中正之一陰。乃所以爲大同也。九五之象。謂非大同之道者。棄同德之衆陽。而應在下之一陰故也。而若以卦象言之則陽剛居五。旣中正而且直。乃所以有彖象之贊也。是固易理之錯綜變易處而不可尙也。同人之內卦自是離也。而離乃乾畫一變之卦。則是自同而異也。同人之外卦自是乾也。而九五一爻下而應於離陰。則是自異而同也。若乃三四二爻則間於六二九五之間。有從上從下之勢。故在九三則曰伏戎于莽。有強奪求同之意。在九四則曰乘墉弗克。有困而能反之義。執此以究。同不同。蓋可知矣。先儒云六十四卦。已具於伏羲之時。但有其名而無其辭。至文王始爲彖辭。以乾字爲伏羲之文。以元亨利貞爲文王之文。苟如其言。則履虎尾同人于野之類。將如何分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