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금강살타와 만다라 공양 수행법에 대해 강의했다. 이번 강의를 듣고 내년, 후내년에 가행을 수행하는 사람이 더 많아지기를 바란다.
며칠 전에 가행을 수행한 사람과 하지 않은 사람의 차이가 아주 크다고 말했다. 가행 수행을 마친 사람은 분위기나 말하는 것, 걷는 것, 밥 먹는 것 등 여러가지가 완전히 다르다. 이미 길들여진 야생마처럼 전반적인 소양이 많이 달라진다. 여러분은 내 말이 과장됐다고 생각할지 모르지만, 경험이 있는 사람은 상대방의 말 한마디 행동 하나로 그의 수행을 알아볼 수 있다. 지금 외국에 이런 말이 있다. 밥을 한 번 먹으면 상대방이 어떤 사람인지, 이 사람하고 교유하거나 같이 일할 수 있는지 알 수 있다는 것이다. 세상 사람도 이렇게 관찰하는데, 우리 수행자들도 예외가 아니다. 아주 짧게 사귀어 봐도 그가 가행을 수행했는지 하지 않았는지 알 수 있다.
가행을 수행하고 나면 마음의 상속에 분명한 변화가 일어난다. 앞으로 밀법에 있는 아주 많은 깊고 넓은 내용을 자유자재로 행하고 지킬 수 있다.
4
오늘은 미팜린포제의 <전행염송의궤 개현해탈도>의 마지막 인도문을 강의하겠다. 앞에서 사람되기 어려움, 수명의 무상함, 업인과와 윤회의 과실 등 네 개 인도문을 가의했다. 이 네 가지 공동 가행은 대단히 중요하다. 보리심을 발심하지 못하고, 구류요가나 금강살타 등 내가행 수행법도 관상하지 못할 때가 있는데 이것은 모두 공동 가행을 제대로 수행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래서 티베트 불교의 여러 대덕들이 공동 가행을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고 여러 해 동안 수행했다. 공동 가행을 잘 수행하면 그 뒤의 불공동 가행을 수행하기가 쉽다. 공동 가행을 글로만 읽고 지나가면 나중의 수행법을 제대로 관상하기 힘들다. 그러므로 반드시 공동 가행을 잘 수행해야 한다.
불교도도 시대를 따라가야 한다
우리 불학원 여러 반에서 법을 듣고 사유하고 수행하는 과정을 진행하고 있는데, 이를 다양한 방식으로 잘 결합해야 한다. 예를 들면 한주일 동안 어느 수업에서 법을 듣고 사유하는 과정만 2~3회 하고 그 다음에 실제 수행은 모두 함께 정좌하고 1~2차례 하는 것이다. 지금은 처음이라 강의 방식이 조금 바뀔 수 있다. 오부대론과 밀교 속부 등의 불법 과정은 한 주에 4~5회 수업을 안배할 것이다. 건강, 환경, 자선, 전통교육 등 세상사람들이 관심을 많이 갖는 문제도 일주일에 2~3회 수업을 통해 공부할 것이다. 켄포와 법사들은 쉬지 말고 공부해야 한다. 앞으로 몇년 후의 세계가 어떤 모습일지 아무도 모른다.
여기 계신 불교도들도 마찬가지다. 사회에 관심이 없는 사람들이 많은데 그들은 금강살타 심주만 외운다. 이렇게 훌륭한 수행자가 되는 것도 좋다. 그러나 더 중요한 것은 시대와 발을 맞추고 시대를 따라가는 불교도가 되는 것이다. 대승불교 수행자로서 우리는 현대인들의 마음 상태, 사회 문제를 포함한 세상사람들의 번뇌와 고통을 알아야 하고 그들이 문제를 해결하도록 도울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그러므로 출가자는 현재 사회의 대중이 관심을 갖는 문제에 대해 관심을 가져야 한다. 재가자는 열심히 법을 듣고 사유하고 모든 내용을 열심히 받아들어야 한다. 그러는 동시에 주변에 신앙이 없는 사람들에게 관심을 가져야 한다. 그들의 소양, 생활을 알고 자신이 그들을 바꿀 수 있는지 혹은 그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지 살펴보아야 한다. 나는 불교도에게 이 점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이어서 구루요가를 설명하겠다.
불공동 가행의 다섯번째가 구루요가다.
1. 구루요가의 중요성
날마다 구루요가를 수행해야 한다
구루요가는 매우 중요하다. <대원만전행인도문>에서 구루요가의 수행법을 자세히 설명했다. <개현해탈도>에도 구루요가 수행법이 있다. 직메푼촉 법왕께서 지으신 <구루요가속사가지>를 우리가 날마다 수업 시작 전에 외우고 있다.
전에는 수업을 시작하기 전에 <구루요가>를 외우지 않았다. 나는 혼자 외우기도 했지만 바빠서 잊어버리는 경우도 많았다. 불교도이자 수행자로서 <구루요가>는 날마다 한번씩 외우지 않으면 뭔가 빠진 것 같다. 그래서 나중에 나는 수업을 시작하기 전에 <구루요가>를 외우고 있다.
첫댓글 고맙습니다 👍
감사합니다. 향산_()_
감사합니다. _()_
감사합니다 _()_
감사합니다 _()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