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아경 이란?
불교의 근본사상인 무아(無我)를 설하는 경이다.
즉 인연(12연기)에 의해 이루어진 모든 것은
그 실체가 없음을 전하고 있다.
그러므로 인연에 의하여 이루어진
몸과 마음이 내가 아니며,
물질과 형상들도 내가 아님을 설한다.
석가모니가 두 번째 설법한 경전이며,
붓다의 첫 번째 제자들인 다섯 비구에게 하신 설법이다.
다섯 비구에게 하신 <초전법륜경>이 첫 번째 설법이다.
무아상경은 초전법륜경 만큼이나 소중하다.
이 경은 초전법륜경을 설한 뒤 5일 후에 설하였다고 한다.
전경(轉經)
개법장진언
開法藏眞言
옴 아라남 아라다(3번)
나무무아특징경
나무무아특징경
나무무아특징경
무아의 특징 경
무아경(無我經)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한때 세존께서는 바라나시에서 이시빠따나의 녹야원에 머무셨다.
거기서 세존께서는 “비구들이여.”라고 오비구를 부르셨다.
“세존이시여.”라고 비구들은 세존께 응답했다.
세존께서는 이렇게 말씀하셨다.
“비구들이여, 물질은 자아가 아니다.
만일 물질이 자아라면
이 물질은 고통이 따르지 않을 것이다.
그리고 물질에 대해서
‘나의 물질은 이와 같이 되기를.
나의 물질은 이와 같이 되지 않기를.’이라고 하면
그대로 될 수 있을 것이다.
비구들이여, 그러나 물질은 자아가 아니기 때문에
물질은 고통이 따른다.
그리고 물질에 대해서
‘나의 물질은 이와 같이 되기를.
나의 물질은 이와 같이 되지 않기를.’이라고 하더라도
그대로 되지 않는다.
비구들이여,
느낌은... 인식은... 심리현상들은...
알음알이는 자아가 아니다.
만일 알음알이가 자아라면
이 알음알이는 고통이 따르지 않을 것이다.
그리고 알음알이에 대해서
‘나의 알음알이는 이와 같이 되기를.
나의 알음알이는 이와 같이 되지 않기를.’이라고 하면
그대로 될 수 있을 것이다.
비구들이여,
그러나 알음알이는 자아가 아니기 때문에
알음알이는 고통이 따른다.
그리고 알음알이에 대해서
‘나의 알음알이는 이와 같이 되기를.
나의 알음알이는 이와 같이 되지 않기를.’이라고 하더라도
그대로 되지 않는다.”
“비구들이여,
이를 어떻게 생각하는가?
물질은 항상한가, 무상한가?”
“무상합니다, 세존이시여.”
“그러면 무상한 것은 괴로움인가, 즐거움인가?”
“괴로움입니다. 세존이시여.”
“그러면 무상하고 괴로움이고 변하기 마련인 것을 두고
‘이것은 내 것이다.
이것은 나다.
이것은 나의 자아다.’라고 관찰하는 것이 타당하겠는가?”
“그렇지 않습니다, 세존이시여.”
“비구들이여,
이를 어떻게 생각하는가?
느낌은... 인식은... 심리현상들은... 알음알이는
항상한가, 무상한가?”
“무상합니다. 세존이시여.”
“그러면 무상한 것은 괴로움인가, 즐거움인가?”
“괴로움입니다. 세존이시여.”
“그러면 무상하고 괴로움이고 변하기 마련인 것을 두고
‘이것은 내것이다.
이것은 나다.
이것은 나의 자아다.’라고 관찰하는 것이 타당하겠는가?”
“그렇지 않습니다, 세존이시여.”
“비구들이여,
그러므로 그것이 어떠한 물질이건,
그것이 과거의 것이건 미래의 것이건 현재의 것이건
안의 것이건 밖의 것이건
거칠건 미세하건 저열하건 수승하건
멀리 있건 가까이 있건
‘이것은 내것이 아니요,
이것은 내가 아니며,
이것은 나의 자아가 아니다.’라고
있는 그대로 바른 통찰지로 보아야 한다.
비구들이여,
그것이 어떠한 느낌이건...
그것이 어떠한 인식이건...
그것이 어떠한 심리현상들이건...
그것이 어떠한 알음알이건,
그것이 과거의 것이건 미래의 것이건 현재의 것이건
안의 것이 건 밖의 것이건 거칠건 미세하건
저열하건 수승하건 멀리 있건 가까이 있건
‘이것은 내 것이 아니요,
이것은 내가 아니며,
이것은 나의 자아가 아니다.’라고
있는 그대로 바른 통찰지로 보아야 한다.”
“비구들이여,
이와 같이 보는 잘 배운 성스러운 제자는
물질에 대해서도 염오하고
느낌에 대해서도 염오하고
인식에 대해서도 염오하고
심리현상들에 대해서도 염오하고
알음알이에 대해서도 염오한다.
염오하면서 탐욕이 빛바래고,
탐욕이 빛바래기 때문에 해탈한다.
해탈하면 해탈했다는 지혜가 있다.
‘태어남은 다했다.
청정범행은 성취되었다.
할 일을 다해 마쳤다.
다시는 어떤 존재로도 돌아오지 않을 것이다.’라고 꿰뚫어 안다.”
세존께서는 이렇게 말씀하셨다.
오비구는 흡족한 마음으로
세존의 말씀을 크게 기뻐하였다.
이 상세한 설명이 설해졌을 때
오비구는 취착이 없어져서
번뇌들로부터 마음이 해탈하였다.
<상윳따 니까야 3권, 무더기 상윳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