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에 젖다
장 수 영
온 세상이 비에 젖어 있다. 차를 타고 비를 마중 나가는 길이다. 강물 위로 떨어지는 비를 하염없이 바라본다. 나설 때와는 달리 점점 굵어진 빗줄기는 유리창에 부딪혀 파편이 된다.
차 안에서 듣는 빗소리는 흡사 오케스트라의 연주 같다. 어쩌면 연주가 끝나고 객석의 기립박수 소리 같기도 하다. 지붕을 두드리는 소리에 귀를 열어두고, 유리창에 떨어져 파편처럼 흩어지는 빗방울에 눈이 빨려 들어간다.
빗물이 흐르는 유리창은 확대경이 되기도 하고 프리즘이 되어 창밖의 사물들이 일그러지기도 한다. 고정된 풍경에 답답해지면 윈도 브러시를 ‘휙’ 돌려 본다. 유리창은 잠깐 말갛게 보이다가 파스텔 톤으로 바뀐다.
그림 같은 풍경을 보고 있으면 나를 감싸고 있는 이 공간이 유년의 집처럼 느껴진다. 강 건너의 구름이 걸린 산도 이런 날은 화선지의 그림처럼 흐릿하기도 하고, 어둑한 먹구름을 생각나게도 한다. 먹구름을 떠올리면 어릴 적 시골집에서의 장맛비가 떠오른다.
어린 시절, 비가 내리면 꼼짝없이 갇혀 있어야 했다. 즐기던 고무줄넘기나 땅따먹기, 술래잡기를 할 수 없어 심심했다. 동네 아이들이 재잘거리던 담 너머 배꼽마당도 나만큼이나 심심해 보였다. 마당 낮게 날던 제비도 제집에 들어갔는지 보이지 않고 폴짝거리던 강아지도 제집에서 눈만 말똥거렸다. 그러면 툇마루에 쪼그리고 앉아 처마에서 떨어지는 빗물을 멀미가 나도록 쳐다보았다. 비 오는 하늘은 아득하기만 했다. 어린 나는 그것을 쓸쓸함이라 생각했다.
빗물이 길게 선을 그으며 떨어지면 내 눈도 뜨락 아래 툭 떨어져 터지는 빗물에 눈이 멎었다. 떨어진 빗물은 물풍선을 만들고 낮은 곳으로 흘러갔다. 떠내려가는 물풍선이 가는 길을 따라 뒤안길로 내 달린 적도 있었다. 물풍선들은 물길을 따라 떠내려가다 미처 돌기도 전에 돌부리에 걸려 흔적 없이 사라지곤 했다.
빗물은 집 울을 돌아 샘가 빨래터를 지나 도랑으로 밀려갔다. 도랑의 물은 잠시 얼쩡대다가 큰물에 섞여 큰길가 작은 폭포로 이어지면 내가 따라가던 황톳빛 빗물은 흔적 없이 사라졌다. 서둘러 당도할 곳이 어디 있는지 그 당시에 내가 아는 세상은 신작로를 벗어나지 못했으므로 물의 길을 알 수 없었다.
장마가 들면 엄마는 비설거지에 동동거려도 나는 좋았다. 엄마는 들일보다도 부엌에서 보내는 시간이 많아졌기 때문이다. 빻아둔 밀가루 포대를 풀어놓고 간식을 만들어 주었다. 그때 시골에서는 잘 먹어 볼 수 없는 호떡과 찐빵 그리고 만두까지 엄마는 모든 것을 척척 만들어 냈다. 언젠가 장에서 사 온 찐빵보다 달지는 않았지만 옹색한 살림살이에 엄마표 간식거리는 달콤하고 구수했다. 그런 호사를 누릴 수 있는 것은 비가 오는 날이었다.
빗소리를 기억한 것은 고모가 나를 업고 마실 다닐 때부터였던 것 같다. 처녀였던 막내 고모는 비가 와서 한가해지면 나를 업고 이웃집 나들이하는 것이 유일한 낙이었다. 바쁜 엄마의 품을 일찍 떠난 나는 늘 엄마의 사랑이 고팠고 고모 등에 업히면 엄마 냄새처럼 좋았다.
비 오는 날, 고모 등에 업혀 있으면 비닐우산을 두들기는 빗방울 소리가 자장가처럼 들려 달콤한 잠에 빠져든 적도 있었다. 그 당시 시골에서는 처녀가 혼자 마실을 잘 가지 않던 때라서 나를 업고 나들이하였던 것 같았다. 그때 고모 등에서 들은 빗소리는 내 오랜 기억 속에 남아 있다.
철이 들 무렵, 우리 집은 누에치기를 했다. 알을 따듯한 방에 펼쳐놓고 깨어나기를 기다리는데 처음엔 씨앗인 줄 알았다. 누에는 알에서 깨어나 애벌레가 되어 꼬물거리면서 잘게 썬 뽕잎을 먹기 시작했다. 어린 누에가 뽕잎을 갉아 먹는 소리는 보슬비 오는 소리 같았다.
누에가 석 잠을 자고 나면 기하급수적으로 자란다. 큰 뽕잎은 물론 가지째 뽕잎을 누에 위에 올려놓으면 뽕잎 갉아 먹는 소리가 소나기 소리와 흡사했다. 그 소리는 밥 먹을 시간조차 없는 어머니의 배를 부르게 하는 소리였다.
결혼하고도 빗소리를 좋아하는 것은 달라지지 않았다. 베란다 지붕 위에 떨어지는 빗소리는 아득히 먼 곳 고향으로 나를 데려가곤 했다. 한겨울에도 비가 오면 창을 한 뼘 정도 열어두었다. 찬바람에 어깨가 시리면 이불을 턱 밑까지 끌어당겨 덮었다. 그러고는 지붕을 두드리는 빗소리에 온 밤을 뒤척였다. 때로 내가 먼저 잠든 후에 비가 내리면 ‘어, 비 온다’ 하고 남편이 귓속말로 나를 깨웠다. 남편도 나와 함께 듣는 빗소리를 좋아했다.
비가 오면 남편과 나는 선술집을 찾곤 했다. 저물고 비가 내리는 날이면 종종 큰길가 포장마차에 들렀다. 작은 파라솔 아래 간이 의자에 앉으면 빗줄기에 내 엉덩이조차도 온전히 가리기에는 역부족이었다. 둥근 테이블에 어깨를 웅숭그리고 바짝 다가앉으며 비를 피해 보지만 흩뿌리는 비바람은 더욱 머리를 맞대고 바짝 다가앉게 했다. 기분이 좋은 날이면 응당 숨소리도 달게 느껴질 테지만 다투었던 날은 왠지 내키지 않았다. 말이 없는 남편은 화해하는 방법을 몰라 자꾸 술만 권했다.
내가 이렇게 비 마중을 하는 데는 이유가 있다. 쏟아지는 빗방울을 하염없이 바라보고 있으면 빗줄기를 타고 시간을 거슬러 갈 수 있다. 시간 속을 유영하다 보면 그리운 얼굴들과 만나게 되고, 마침내 유년에 닿아 하늘에 계시는 어머니 품에 안길 수 있기 때문이다.
빗소리도 어느덧 잦아들고 강물 위에 내려앉은 비구름도 서서히 걷힌다. 차에서 내려 강을 내려다보니 강기슭을 덮었던 꽃들은 어디로 갔는지 흔적 없고, 일렁이는 강물만 도도히 흐르고 있다. 사라진 것이 어디 꽃들만일까. 빗소리 함께 듣던 그들은 모두 떠나고, 나만 홀로 비에 젖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