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서우(李瑞雨)
[문과] 현종(顯宗) 1년(1660) 경자(庚子) 증광시(增廣試) 갑과(甲科) 2[亞元]위(02/34)
[인물요약]
UCI G002+AKS-KHF_13C774C11CC6B0B1633X0
자(字) 윤보(潤甫)
호(號) 송곡(松谷)
생년 계유(癸酉) 1633년 (인조 11)
졸년 기축(己丑) 1709년 (숙종 35)
향년 77세
합격연령 28세
본인본관 우계(羽溪)
거주지 한성([京])【補】(주1)
[관련정보]
[사전] 인물 생애 정보
조선후기 병조참의, 함경도관찰사, 황해도관찰사 등을 역임한 문신.
본관은 우계(羽溪). 자는 윤보(潤甫), 호는 송곡(松谷). 이성헌(李成憲)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이길남(李吉男)이고, 아버지는 이경항(李慶恒)이며, 어머니는 이경유(李慶礻+谷)의 딸이다.
당색으로는 대북계열의 집안에서 태어났다.
1651년(효종 2) 생원시를 거쳐 1660년(현종 1) 성균관유생으로 과제(課製)에 1등하여 바로 전시에 응시할 수 있는 자격이 주어졌으며, 그해의 증광문과에 갑과로 급제하였다.
1675년(숙종 1) 문장에 재주가 있다 하여 허목(許穆)의 추천을 받았다. 같은해 정언이 되어 인조반정 이후 대북가문출신으로는 처음으로 청직(淸職)에 올랐다.
서인 송시열(宋時烈)의 예론과 그것을 따르는 김수항(金壽恒)을 공격하였으며, 7월에는 대신을 공격하는 이수경(李壽慶)을 두호하다 파직당하였다.
1676년 서장관으로 청나라에 다녀왔다. 남인으로 생활하다 1680년 경신환국 때 서인의 공격을 받아 유배당하였으나, 1689년의 기사환국으로 남인이 정권을 잡자 병조참의로 등용되었다.
그 뒤 김수항 등 서인을 공격하였으며, 인현왕후(仁顯王后) 축출 때 승지로 있으면서 숙종의 뜻을 받들었다.
1691년 함경도관찰사로 나갔다가 인삼에 대한 행정처리 잘못으로 삭직당하였다.
이듬해 목내선(睦來善)에 의하여 문장으로 천거받아 예문관제학이 되었으며, 그 이듬해 황해도관찰사로 나아갔다.
1694년 갑술환국이 일어나자 삭출당하였다가 1697년에 풀려났다.
그 해 남인을 등용하는 정책을 펴던 최석정(崔錫鼎)에 의하여 청백함을 인정받아, 서용하라는 명령이 임금으로부터 내려졌으나 현직에 나아가지는 못하였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이서우(李瑞雨))]
[생원] 효종(孝宗) 2년(1651) 신묘(辛卯) 식년시(式年試) [생원] 3등(三等) 49위(79/100)
[이력사항]
선발인원 34명 [甲3‧乙7‧丙24]
전력 생원(生員)
관직 제학(提學)
관직 공조참판(工曹參判)
문과시험답안 표(表):의당동평장사양염청천하재부진귀좌장(擬唐同平章事楊炎請天下財賦盡歸左蔵)
타과 효종(孝宗) 2년(1651) 신묘(辛卯) 식년시(式年試) 생원(生員) 3등(三等) 49위
[가족사항]
[부(父)]
성명 : 이경항(李慶恒)[文]
[조부(祖父)]
성명 : 이길남(李吉男)
[증조부(曾祖父)]
성명 : 이성헌(李成憲)[文]
[외조부(外祖父)]
성명 : 이경유(李慶𥙿)(주2)
본관 : 전주(全州)【補】
[처부(妻父)]
성명 : 심광위(沈光渭)[生](주3)
본관 : 청송(靑松)【補】
[안항(鴈行)]
형(兄) : 이덕우(李德雨)【補】
형(兄) : 이가우(李嘉雨)【補】
형(兄) : 이희우(李喜雨)【補】(주4)
[중앙관] 조선중기 중앙관 승정원승지(承政院承旨)
[관인정보]
제수년월 1689 [기사(己巳) 4월 24일] 병조참의(兵曹參議) 래(來: 부임되어 옴)
[관력 정보]
관직 참판예문제학(參判藝文提學)
[중앙관] 조선중기 중앙관 호조참의(戶曹參議)
[중앙관] 조선중기 중앙관 대제학(大提學)
품관 정2품
[중앙관] 조선중기 중앙관 제학(提學)
[중앙관] 조선중기 중앙관 승문원부제조(承文院副提調)
[중앙관] 조선중기 중앙관 승정원도승지(承政院都承旨)
[관인정보]
제수년월 1690 [경오(庚午) 1월] 통(通)
[품관 정보]
품관 정3품
[지방관] 조선중기 지방관 함경도(咸鏡道) 함경도관찰사(咸鏡道觀察使) 1690[경오(庚午)] 6월 26일
[지방관] 조선중기 지방관 경상도(慶尙道) 경상도관찰사(慶尙道觀察使) 1693[계유(癸酉)]
[관인정보]
관직명칭 경상도관찰사(慶尙道觀察使)
관직등급 관찰사(觀察使)
관직이칭 영백(嶺伯)
부임년월 1693 [계유(癸酉)] 임(任)
[도 정보]
도명칭 경상도(慶尙道)
[주 1] 거주지 : 『신묘식년사마방목(辛卯式年司馬榜目)』(국립중앙도서관[古6024-201]) 내의 합격 기록을 참고하여 거주지를 추가.
[주 2] 외조부 : 『기언(記言)』 別集卷20, 丘墓文, [첨정 이공묘갈명(僉正李公墓碣銘)]을 참고하여 외조부 본관을 추가.
[주 3] 처부 : 『우계이씨대동보(羽溪李氏大同譜)』(1984) 권1 pp.164(李慶恒)-3子:李瑞雨.
[주 4] 안항 : 『신묘식년사마방목(辛卯式年司馬榜目)』(국립중앙도서관[古6024-201]) 내의 합격 기록을 참고하여 안항을 추가.
[출전]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 106])
이경항(李慶恒)
[문과] 인조(仁祖) 5년(1627) 정묘(丁卯) 식년시(式年試) 을과(乙科) 3위(06/34)
[인물요약]
UCI G002+AKS-KHF_13C774ACBDD56DB1601X0
자(字) 사상(士常)
생년 신축(辛丑) 1601년 (선조 34)
졸년 계미(癸未) 1643년 (인조 21)
향년 43세
합격연령 27세
본인본관 우계(羽溪)
거주지 한성([京])【補】(주1)
[관련정보]
[사전] 인물 생애 정보
조선후기 형조좌랑, 종묘서령, 함경도도사 등을 역임한 문신.
본관은 우계(羽溪). 자는 사상(士常)·중구(仲久).
대사헌 이감(李戡)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주서(注書) 이성헌(李成憲)이다. 아버지는 선무랑 이길남(李吉男)이며, 어머니는 도사 정욱(鄭彧)의 딸이다. 임숙영(任叔英)의 문인이다.
1627년(인조 5) 식년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이듬해 성균관학유로 등용되었으며, 그 뒤 전적·감찰·형조좌랑·공조좌랑·공조정랑·종묘서령 등의 내직을 지내다가 외직인 신계현령·예안현감·결성현감, 경상도·함경도의 도사 등을 지냈다. 글을 좋아하여 항상 손에서 서책을 놓지 않았으며, 효성이 지극하여 늙은 어머니를 극진히 모셨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이경항(李慶恒))]
[생원] 광해(光海) 10년(1618) 무오(戊午) 식년시(式年試) [생원] 3등(三等) 21위(51/100)
[진사] 광해(光海) 10년(1618) 무오(戊午) 식년시(式年試) [진사] 1등(一等) 5위(5/100)
[이력사항]
선발인원 34명 [甲3‧乙7‧丙24]
전력 통사랑(通仕郞)
관직 첨정(僉正)
문과시제 책문(策問):전수화(戰守和)
타과 광해(光海) 10년(1618) 무오(戊午) 식년시(式年試) 생원(生員) 3등(三等) 21위
기타 미수찬갈(眉叟撰碣)
부모구존 구경하(具慶下)【補】(주2)
[가족사항]
[부(父)]
성명 : 이길남(李吉男)
품계 : 선교랑(宣敎郞)【補】(주3)
[조부(祖父)]
성명 : 이성헌(李成憲)[文]
[증조부(曾祖父)]
성명 : 이감(李戡)[文]
[외조부(外祖父)]
성명 : 정욱(鄭彧)[文](주4)
본관 : 하동(河東)【補】
[처부(妻父)]
성명 : 이경유(李慶𥙿)(주5)
본관 : 전주(全州)【補】
[안항(鴈行)]
형(兄) : 이경복(李慶復)【補】(주6)
[가족과거]
숙부(叔父) : 이명남(李命男)[文]
자(子) : 이서우(李瑞雨)[文]
[주 1] 거주지 : 『천계7년정묘식년문과방목(天啓七年丁卯式年文科榜目)』(『연계방목(蓮桂榜目)』, 하버드옌칭도서관(Harvard-Yenching Library)[TK 2291.7 1746(1616)]) 내의 급제 기록을 참고하여 거주지를 추가.
[주 2] 구존 : 『천계7년정묘식년문과방목(天啓七年丁卯式年文科榜目)』(『연계방목(蓮桂榜目)』, 하버드옌칭도서관(Harvard-Yenching Library)[TK 2291.7 1746(1616)]) 내의 급제 기록을 참고하여 부모 구존을 추가.
[주 3] 부관직 : 『천계7년정묘식년문과방목(天啓七年丁卯式年文科榜目)』(『연계방목(蓮桂榜目)』, 하버드옌칭도서관(Harvard-Yenching Library)[TK 2291.7 1746(1616)]) 내의 급제 기록을 참고하여 부 관직을 추가.
[주 4] 외조부 : 『기언(記言)』 別集卷20, 丘墓文, [첨정 이공묘갈명(僉正李公墓碣銘)]을 참고하여 외조부 본관을 추가.
[주 5] 처부 : 『기언(記言)』 別集卷20, 丘墓文, [첨정 이공묘갈명(僉正李公墓碣銘)]을 참고하여 처부 본관을 추가.
[주 6] 안항 : 『천계7년정묘식년문과방목(天啓七年丁卯式年文科榜目)』(『연계방목(蓮桂榜目)』, 하버드옌칭도서관(Harvard-Yenching Library)[TK 2291.7 1746(1616)]) 내의 급제 기록을 참고하여 안항을 추가.
[출전]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卷之十(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
이성헌(李成憲)
[문과] 명종(明宗) 15년(1560) 경신(庚申) 별시(別試) 병과(丙科) 10위(14/18)
[인물요약]
UCI G002+AKS-KHF_13C774C131D5CCB1534X0
자(字) 중장(仲章)
생년 갑오(甲午)【補】(주1) 1534년 (중종 29)
졸년 신축(辛丑)【補】(주2) 1601년 (선조 34)
향년 68세
합격연령 27세
본인본관 우계(羽溪)
거주지 미상(未詳)
[관련정보]
[이력사항]
선발인원 18명 [甲1‧乙3‧丙14]
전력 유학(幼學)
관직 판관(判官)
관직 승정원주서(承政院注書)
문과시제 어제(御題) 책문(策問):용인(用人)
[가족사항]
[부(父)]
성명 : 이감(李戡)[文]
[조부(祖父)]
성명 : 이광식(李光軾)
[증조부(曾祖父)]
성명 : 이지방(李之芳)[武]
[외조부(外祖父)]
성명 : 임권(任權)[文]
본관 : 풍천(豊川)【補】
[처부(妻父)]
성명 : 이구수(李耉壽)(주3)
봉호 : 광원군(廣原君)
본관 : 전주(全州)【補】
[안항(鴈行)]
서제(庶弟) : 이희헌(李希憲)[醫]【補】
제(弟) : 이유헌(李有憲)【補】
제(弟) : 이의헌(李宜憲)【補】(주4)
[가족과거]
자(子) : 이명남(李命男)[文]
손(孫) : 이경익(李慶益)[文]
손(孫) : 이경항(李慶恒)[文]
[주 1]생년 : 『우계이씨대동보(羽溪李氏大同譜)』(1984) 권1, [163쪽]을 참고하여 생년을 추가.
[주 2]졸년 : 『우계이씨대동보(羽溪李氏大同譜)』(1984) 권1, [163쪽]을 참고하여 졸년을 추가.
[주 3]처부 : 『우계이씨대동보(羽溪李氏大同譜)』(1984) 권1, [163쪽]을 참고하여 처부를 "이한(李澣)"에서 "이구수(李耉壽)"로 수정.
『선원계보기략(璿源系譜紀略)』(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K2-1036]) 권4, [世宗大王內外子孫錄](56쪽)을 참고.
[주 4]안항 : 『우계이씨대동보(羽溪李氏大同譜)』(1984) 권1, [21쪽]을 참고하여 안항을 추가.
[출전]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卷之七(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
이감(李戡)
[문과] 중종(中宗) 38년(1543) 계묘(癸卯) 식년시(式年試) 을과(乙科) 3위(06/33)
[인물요약]
UCI G002+AKS-KHF_12C774AC10FFFFB1516X0
자(字) 언신(彦信)
생년 병자(丙子)【補】(주1) 1516년 (중종 11)
졸년 계미(癸未)【補】(주2) 1583년 (선조 16)
향년 68세
합격연령 28세
본인본관 우계(羽溪)
거주지 한성([京])【補】(주3)
[관련정보]
[사전] 인물 생애 정보
조선전기 도승지, 형조참판, 대사헌 등을 역임한 문신.
본관은 우계(羽溪). 자는 언신(彦信). 아버지는 참판 이광식(李光軾)이며, 어머니는 이세응(李世應)의 딸이다.
1543년(중종 38) 생원시에 합격하였고 그해 식년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1545년(명종 즉위년) 예문관봉교로 있으면서 중국에 보내는 자문(咨文)의 글씨를 잘 써서 칭찬을 들었으며, 이어 정언이 되어 윤원형(尹元衡)·윤춘년(尹春年)과 결탁, 사류를 공격하는 데 가담하였다.
이어 사헌부·홍문관의 요직을 두루 거쳤으며, 특히 무재를 인정받아 1552년 함경도순변사 이준경(李浚慶)의 종사관(從事官)에 임명되기도 하였고, 종성부사로 변경수비를 맡기도 하였다. 1558년에는 성절사로 중국에 다녀오기도 하였으며 승지·경상도관찰사 등을 역임하였다.
그 뒤 윤원형을 견제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량(李樑)이 중용되어 국정을 전단하자, 시세에 좇아 이량의 심복이 되었다. 이량의 후원하에 병조참판·도승지·형조참판 등 요직을 두루 거쳐 1563년 대사헌에 기용되었다. 이때 이량의 사주로 이문형(李文馨)·허엽(許曄)·기대승(奇大升)·윤근수(尹根秀) 등 당시 명망 있던 사림을 탄핵하여 밖으로 내쫓으면서 다시 한 번 사림에게 대대적인 타격을 가하려 하였다. 그러나 이를 막으려는 심의겸(沈義謙)의 노력으로 도리어 홍문관부제학 기대항(奇大恒)에 의하여 탄핵받아 함경도 경원으로 유배되었다.
명종 말엽 윤원형세력이 몰락하고 사림들이 득세하자, 양사 및 홍문관에서 여러 차례 죄를 주자고 주장하였으나 왕의 중재로 무마되었다.
그 뒤 1581년(선조 14) 천재가 심하여 대사면이 단행되자 방면되었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이감(李敢))]
[생원] 중종(中宗) 38년(1543) 계묘(癸卯) 식년시(式年試) [생원] 1등(一等) 2위(2/100)
[이력사항]
선발인원 33명 [甲3‧乙7‧丙23]
전력 생원(生員)
관직 사헌부대사헌(司憲府大司憲)
관직 한림(翰林)
문과시제 표(表):청치오경박사(請置五經博士)
타과 중종(中宗) 38년(1543) 계묘(癸卯) 식년시(式年試) 생원(生員) 1등(一等) 2위
기타 양당찬삭(樑黨竄削)
부모구존 엄시하(嚴侍下)【補】(주4)
[가족사항]
[부(父)]
성명 : 이광식(李光軾)
품계 : 가선대부(嘉善大夫)
관직 : 평안도병마수군절도사(平安道兵馬水軍節度使)
관직 : 영변대도호부사(寧邊大都護府使)【補】(주5)
[조부(祖父)]
성명 : 이지방(李之芳)[武]
[증조부(曾祖父)]
성명 : 이징(李徵)
[외조부(外祖父)]
성명 : 이세응(李世應)[文](주6)
본관 : 함안(咸安)【補】
[처부(妻父)]
성명 : 임권(任權)[文]
본관 : 풍천(豊川)【補】
[처부(妻父)2]
성명 : 윤연수(尹連壽)【補】(주7)
본관 : 예천(醴泉)【補】
[안항(鴈行)]
제(弟) : 이전(李戩)【補】
제(弟) : 이규(李戣)[武]【補】(주8)
[가족과거]
자(子) : 이성헌(李成憲)[文]
손(孫) : 이명남(李命男)[文]
[주 1]생년 : 『우계이씨대동보(羽溪李氏大同譜)』(1984) 권1, [21쪽]을 참고하여 생년을 추가.
[주 2]졸년 : 『우계이씨대동보(羽溪李氏大同譜)』(1984) 권1, [21쪽]을 참고하여 졸년을 추가.
[주 3]거주지 : 『가정22년계묘8월24일생원진사시방목(嘉靖二十二年癸卯八月二十四日生員進士試榜目)』(국립중앙도서관[古6024-183]) 내의 합격 기록을 참고하여 거주지를 추가.
[주 4]구존 : 『계묘식년문무잡과방목(癸卯式年文武雜科榜目)』(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이귀) 349.16 문무잡]) 내의 급제 기록을 참고하여 부모 구존을 추가.
[주 5]부관직 : 『계묘식년문무잡과방목(癸卯式年文武雜科榜目)』(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이귀) 349.16 문무잡]) 내의 급제 기록을 참고하여 부 관직을 추가.
[주 6]외조부 :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卷之18, 경재(卿宰), [이세응(李世應)의 비명(碑銘)]을 참고하여 외조부 본관을 "함안(咸安)"으로 추가.
[주 7]처부2 : 『우계이씨대동보(羽溪李氏大同譜)』(1984) 권1, [22쪽]을 참고하여 처부2를 추가.
[주 8]안항 : 『계묘식년문무잡과방목(癸卯式年文武雜科榜目)』(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이귀) 349.16 문무잡]) 내의 급제 기록을 참고하여 안항을 추가.
『우계이씨대동보(羽溪李氏大同譜)』(1984) 권1, [21~23쪽]에는 안항이 "이감(李戡)‧이전(李戩)‧이용(李𢧳)"으로 나옴.
[출전]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卷之六(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
이지방(李之芳)
출생일 미상
사망일 미상
조선전기 경상좌도수군절도사, 평안도병마절도사 등을 역임한 무신.
1496년(연산군 2)에 무사 장정(張珽)·이원종(李元宗) 등과 함께 서정장수(西征將帥)에 임명된 뒤, 종성·회령의 부사, 의주목사 등을 지내고, 1516년(중종 11) 경상좌도수군절도사가 되었다. 이듬해 왕비 윤씨(尹氏)의 책봉에 대한 주청사를 명나라에 파견할 때,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로서 정조사가 되어 명나라에 다녀왔다.
1524년 평안도병마절도사로 재직할 때에 삼둔(三屯)의 야인을 구축할 것을 건의하였으나, 오히려 대간과 의금부에서 탄핵되어 파직당하였다.
그 해에 다시 복직되었다가, 1528년에는 명나라의 황후가 죽자 진위사(陳慰使) 이봉(李芃)과 함께 진향사(進香使)로 명나라에 가던 도중에 행산역(杏山驛)에서 발병하여 되돌아왔다가 무단으로 돌아왔다는 죄로 남포에 유배되었다.
이듬해 병으로 돌아온 것이 밝혀지자 풀려나온 뒤 1531년 충청도병마절도사로 임명되었으나 병으로 부임하지 못하였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이지방(李之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