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방어 : Seriola quinqueradiata Tenninck et Schlegel
► 방 언 : 무태방어(큰 놈)[함북], 마래미[함남], 마르미[강원도], 방치마르미(큰 놈), 숑소리, 졸마르미(작은 것)[강원도], 사배기(중치)[경북], 물방어(치어)[함남 차호]
► 외국명 : (영) Japanese amberjack, (일) Buri (ブリ, 鰤), (프) Sériole, (스) Serviola
► 형 태 : 크기는 최대 전장 150㎝, 체중 40 kg까지 자라지만 대개는 100㎝ 전후이다. 몸은 방추형으로 약간 측편되어 있다. 등쪽은 철색을 띤 청색이고 복부는 은백색이다. 주둥이에서 꼬리지느러미 기저까지 세로로 그으진 황색띠는 명확하지 않다. 주둥이는 원추형이고 두 눈 사이보다 길다. 입은 크고 비스듬히 찢어져 있다. 상악 후골의 상각부(上角部)는 네모져 있다. 주새개골 뒷가장자리는 둥글고 양 턱에는 융모치가 띠를 형성한다. 머리 앞에는 2쌍의 비공이 있으나 매우 가까이 위치하여 마치 1개로 보인다. 몸은 작은 둥근 비늘로 덮여 있다.
크기는 체장 150㎝에 이른다. 두부와 체측은 좌우로 측편되어 있다. 두부 등 쪽과 체측 상단부는 갈청색이며, 체측 중앙은 연청색이다. 주둥이에서 시작하여 안경을 지나며 미병부까지 이르는 안경 굵기의 진황색 종대반문이 있다. 체장 10cm 내외의 치어는 진황색 종대반문이 없고, 5~6개의 횡대반문이 있다. 두부 측면과 복부 및 체측복부는 은청색이다. 모든 지느러미는 진황색이다. 꼬리지느러미 기저는 연청색이다. 제1등지느러미는 가슴지느러미 중앙의 등 쪽에 위치한다. 제1등지느러미 극조길이는 제2등지느러미 전단부 연조에 비하여 길이가 현저히 짧으며, 외연은 둥글다. 제1등지느러미와 제2등지느러미는 동공 크기보다 좁은 간격으로 분리되어 있다. 제2등지느러미는 체측 중앙에 위치하며 전반부 연조는 중후반 연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길어서 그 외연은 약간 내만되어 있다. 가슴지느러미는 체측 중앙에 위치하며, 그 후단은 제1등지느러미 기저 후단에 이르지 못한다. 배지느러미는 가슴지느러미 기저 후방의 복부에 있으며, 그 후단은 가슴지느러미의 후단을 약간 지난다. 배지느러미 연조 길이는 가슴지느러미 연조 길이와 거의 동일하다. 항문은 제2등지느러미 전단부 연조의 위치에 있다. 제2뒷지느러미 전반부 연조는 중후반 연조에 비하여 길이가 약간 길어서 그 외연은 약간 내만되어 있다. 제2뒷지느러미 기저 시점은 제2등지느러미 기저 중앙보다 약간 전방에 위치한다. 제2뒷지느러미 기저 후단은 제2등지느러미 기저 후단과 동일한 위치에 있다. 꼬리지느러미는 정형이다. 주둥이 전방의 상하악은 거의 동일하다. 상악 후단은 안경 중앙에 이르지 못한다. 안경은 두부의 중앙에 위치한다. 양안간격은 약간 볼록하거나 편평하다. 안경과 인접한 두부 등 쪽의 외연은 약간 외만되어 있다. 새개부의 가시는 부드럽고 약하거나 없다. 측선은 완전하며, 제2등지느러미 중앙까지의 측선은 볼록하고 이후부터는 일직선으로 미병부까지 형성되어 있다. 미병부의 육질융기는 흔적적이다. 비늘은 원린이며, 체측, 제2등지느러미 중앙연조의 기저 및 제2뒷지느러미 전단부 기저에 비늘이 덮여 있다. 체측과 측선에 인판은 없다. 상하악, 서골 및 구개골에 작은 이빨이 있다.
► 설 명 : 해수면 표층에서 수심 100m 이내의 비교적 얕은 바다에 서식한다. 우리나라의 주요 어류중 하나이다. 이들은 5월 초순부터 한여름까지 북으로 회유해 올라가다가 늦여름부터, 겨울, 봄에 이르는 동안에는 남으로 회유해 내려온다. 산란기는 동지나해 남쪽이 2~4월경이고 북방은 6~7월경에 시작이 되며, 성기는 남방이 늦봄이고 북쪽은 한여름 동안이다(수온 17~23℃). 산란장은 먼 외해이고 알고 부유성이다. 생후 수 개월간은 30~50마리가 떼를 지어 유조(流藻) 사이에서 생활하면서 난류를 따라 북상한다. 이 때의 방어 새끼를 일본에서는 모자코(Mojako)라 부르며, 이들이 참치방어(Hamachi)와 같이 방어 양식의 종묘가 되므로 일본의 코오치, 큐우슈우 외해에서는 근년 수백척의 어선이 전문적으로 매년 1시즌에 1,000만 마리 이상 어획하여 양식 종묘로 하고 있다. 모자코(Mojako)는 다갈색 또는 금색의 가로띠가 있다. 이들은 플랑크톤과 망둑어 등 어류의 유어를 먹는다. 큰 놈은 작은 새끼도 잡아 먹는다. 잡식성으로 4개월 만에 15~20㎝가 된다. 봄에 부화한 놈은 그해 가을 10월경에 30㎝ 가량까지 자란다. 현재는 인공부화에 의한 종묘 양식도 행해지고 있다. 성어의 먹이는 주로 정어리, 멸치, 고등어, 전갱이, 숭어, 꽁치 등의 어류와 오징어류이다. 전형적인 회유어로 캄차카반도 근해에서 대만 근해에 걸쳐서 회유한다. 한국 연안, 일본 근해, 연해주 남부 근해가 서식역이다. 지방이 가장 많은 겨울 방어를 최고로 친다. 생선회, 초밥, 소금구이 등으로 즐긴다. 최근 시장에 유통되는 것의 80% 이상이 양식산이며, 자연산에 비해 맛이 떨어지는 것은 부인할 수 없다.
제철은 추운 계절로 체장이 30cm 이상인 개체는 가을이 깊어지면 살에 기름기가 올라서 살이 찐다. 크기에 따라 맛이 많이 다르며, 어느 정도 맛이 있는 것은 체장이 30cm가 넘는 개체이다. 크기가 체장 40~70cm 정도되는 개체는 역시 가을~봄까지 추운 계절에 맛이 좋다. 양식산은 항상 지방분이 있다. 비늘은 작아서 벗기기 쉽다. 껍질은 두껍고 질기다. 살은 백색이며, 혈합육은 많고 붉지만 아름답다. 대형 개체는 앞부분에 기름기가 많고, 가운데는 힘줄이 적고 균질하나 기름기는 적다. 꼬리에 가까운 부분은 식감이 강하고 특별한 감칠맛이 있다. 살은 가열을 해도 단단하게 조이지 않는다. 뼈에서는 맛있는 국물이 국물이 나온다. 제철에 먹는 생선회는 지방 함량이 풍부해서 감칠맛이 있으며, 육질도 부드러워서 살살 녹는 느낌이 든다. 입에 넣으면 지방에서 오는 단맛에 생선다운 희미한 신맛이 조화를 이루어 맛이 아주 좋다. 구이, 조림, 튀김 등 다양한 방법으로 이용한다.
양질의 단백질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다. 양식산이 자연산보다 기름기가 많고 뇌를 활성화시키는 DHA, 혈전 등을 막는 작용을 하는 EPA 등 고도불포화지방산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다. 비타민 BI와 B2가 많은 것도 특징으로 불면증 완화와 피로감 완화, 중성지방 저하, 피부 건전 유지 등의 기능을 한다.
► 분 포 : 한국(동해, 남해의 전연안), 일본, 타이완, 동중국해, 남중국해 등의 북서태평양 연안에 제한적으로 분포한다.
※ 크기에 따른 이명은 다음과 같다. ①강원도 – 떡마르미(15㎝ 이내), 이배기(40㎝ 내외), 사기(60㎝ 이상), 방어(①②③을 총괄하여 마르미라고 부름), ②경북 영덕군 장사빈 – 곤지메레미(10㎝ 내외, 유생), 떡메레미(15㎝ 내외, 1년생), 메레기 혹은 되미(30㎝ 내외, 2년생), 방어(60㎝ 이상, 3년생), ③ 일본 – Mojako(전장 10㎝ 이하의 유어), Waksi 또는 Wakanago(전장 15㎝ 내외), Inada(전장 40㎝ 내외), Hamachi(전장 20~60㎝ 정도), Warasa(전장 50㎝ 내외), Buri(전장 약 1m이상)(일본에서는 대형 방어보다 중형 방어인 Hamachi, 특히 동경에서는 Inada를 즐겨 먹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