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둑중개 : Cottus koreanus Fujii, Choi and Yabe
(= Cottus poecilopus, Alpinocottus poecilopus)
► 이 명 : 둑중이, 등신이
► 외국명 : (영) Alpine bullhead, (일) Kibirekajika
► 형 태 : 크기는 전장 15㎝ 정도이다. 몸은 약간 옆으로 납작하며 유선형을 하고 있다. 머리는 약간 세로로 납작하며 아래턱과 위턱의 길이는 거의 동일하다. 전새개골의 뒤 가장자리에는 1개의 가시가 있다. 두부와 아래턱에 피돌기가 없다. 구개골에는 이가 없고 양턱과 서골에는 이가 있다. 배지느러미 제일 안쪽의 연조 길이는 가장 긴 것의 절반을 넘지 못한다. 몸 색깔은 녹갈색으로 등쪽은 짙고 배쪽은 흰색에 가깝다. 몸에는 진한 갈색 가로무늬(횡반문)가 5~6개 있고, 연한 갈색 반점이 흩어져 있다. 각 지느러미 극조부 앞쪽은 밝은색으로 거의 투명하며, 극조부 뒷부분 기저는 검지만 위 가장자리는 노란색 테가 둘린다. 각 지느러미는 노랗고, 그것들을 가로지르는 암갈색과 황갈색의 반점열이 배열되었다.
크기는 전장 15㎝ 정도이다. 몸통은 거의 원통형이며 약간 측편되어 있다. 미병부는 옆으로 납작하다. 머리는 크고 위아래로 약간 납작하다. 입은 주둥이의 끝에 있고 넙적하고 크다. 입술은 두툼하다. 주둥이는 짧아서 머리 길이의 반을 넘지 못한다. 상악과 하악의 길이는 거의 동일하다. 눈은 머리의 위쪽과 앞쪽으로 치우쳐있다. 몸에 비늘이 없다. 측선은 완전하다. 위턱 뒤 끝은 눈 중앙 아래에 이른다. 양턱에 이빨이 촘촘히 나있다. 서골에는 이빨이 있고 구개골에는 이빨이 없다. 전새개골의 가시는 1개이며 매우 짧고 작으며 상후방으로 향하고 있다. 배지느러미의 제일 안쪽 연조 길이는 매우 짧아 가장 긴 연조의 절반을 넘지 못한다. 수컷의 배지느러미는 암컷에 비하여 현저하게 크고 길다. 몸색은 황갈색 내지 회갈색이며 배쪽으로 가면서 연해진다. 몸의 옆면에는 5, 6개의 폭이 넓은 검은 갈색 가로무늬(수직 방향)가 있으며 흰색의 반문들이 몸 전체에 흩어져있다. 등지느러미의 뒤 가장자리와 꼬리지느러미는 노란색이다. 등지느러미, 가슴지느러미, 꼬리지느러미에는 각 기조에 일정 간격으로 검은색 반점이 배열되어 줄무늬를 형성한다. 수컷의 배지느러미는 노란색 바탕에 둥근 흰색 무늬가 여러 줄 나타난다.
► 설 명 : 유속이 빠르고 바닥에 돌이 많이 깔린 하천의 상류에 서식한다. 수온이 20℃ 이하인 찬물에서 살며, 주변의 색에 가까운 보호색으로 자신을 보호한다. 하루살이, 날도래, 파리 등 수서곤충의 유충과 작은 물고기를 섭식한다. 산란기는 3~4월로 암컷이 큰 돌 밑에 알을 덩어리로 낳고, 수컷은 알 자리에서 다가오는 다른 물고기를 물리치며 새끼가 깨어날 때까지 보호한다. 알을 돌보는 동안 수컷의 몸은 검은색으로 변한다. 암컷 1마리가 650~900개의 알을 낳는다. 수명은 8년 정도이다.
► 분 포 : 한국, 중국, 러시아, 우크라이나, 루마니아, 폴랜드, 노르웨이, 체코, 슬로바키아, 덴마크, 핀란드, 스웨덴, 독일 등에 분포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압록강, 두만강, 청천강, 대동강, 한강과 낙동강 상류, 양양 남대천, 삼척 오십천 등지에 분포한다.
► 비 고 : 한국에 사는 같은 속의 근연종으로는 한둑중개, 함경뚝중개, 참둑중개가 있다. 한둑중개와 둑중개는 형태적으로 매우 유사하여 구분하기 어렵다. 한둑중개는 하천의 중류 이하에 서식하는 해수 담수 양측회유성이며 둑중개는 하천의 최상류에 서식하며 한둑중개처럼 바다로 내려간다는 정보는 없다. 한둑중개는 알의 크기가 2mm 내외이며 둑중개는 3mm 내외이다. 체장에 대한 수컷의 배지느러미 길이 비율이 한둑중개는 20% 내외이며 둑중개는 25% 내외로 더 길다. 주둥이 길이는 한둑중개가 둑중개에 비하여 다소 짧고 꼬리자루의 높이는 한둑중개가 높은 편이다. 한둑중개와 둑중개는 배 쪽에 있는 국화꽃무늬의 유무로 구분 할 수 있다. 둑중개는 몸통의 무늬가 배 밑면에 미치지 못하며 한둑중개는 배 밑면까지 확대되어 있다.
► 참 고 : 본종은 2012년 5월까지 환경부 멸종위기야생동식물 2급으로 등록되어있었으나, 2012년 6월 해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