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문화재청장, 《나의 문화유산답사기》의 저자 유홍준 교수 추천!
경복궁 창건부터 발굴, 복원까지
현직 고고학자가 들려주는 살아 있는 경복궁 이야기!
경복궁은 조선 시대 대표 궁궐로 조선의 역사와 문화가 살아 숨 쉬는 곳입니다. 경복궁을 알면 창덕궁, 덕수궁 등 다른 조선 시대 궁궐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지요. 하지만 경복궁은 임진왜란과 일제 강점기 등을 거치면서 전체 전각의 약 90%가량이 훼손되었고, 광복 이후에도 위락 공원과 같은 역할을 지속하면서 온전한 모습으로 보존되지 못했습니다.
그러던 중 1984년 경복궁 재정비 방침이 세워지고, 1995년 구 조선총독부 청사가 철거되면서 본격적으로 경복궁 복원 사업이 시작되었습니다. 많은 고고학자들이 발굴과 복원 작업을 통해 후손들에게 경복궁의 원래 모습을 되찾아 물려주기 위해 힘썼고, 그 노력은 현재도 계속되고 있습니다..
《경복궁》은 경복궁의 역사와 가치뿐 아니라, 이러한 발굴과 복원 과정까지 상세히 그린 책입니다. 단순히 과거의 역사를 아는 것에서 나아가 왜 경복궁이 과거와 다른 모습으로 남아있는지, 앞으로 어떻게 경복궁을 지켜나가야 할 것인지 이해하고, 생각하는 계기를 만들어 줄 것입니다.
경복궁을 직접 발굴 조사한 고고학자와 함께 경복궁 땅속 여행을 떠나요!
저자 최인화는 현 문화재청 소속 학예연구사로 경복궁 소주방지, 흥복전지, 함화당·집경당 행각지, 광화문지 발굴 조사에 참여한 고고학자입니다. 고고학자의 눈으로 바라본 경복궁 구석구석은 모두 역사의 흔적이며, 소중한 보물입니다. 꽁꽁 숨어 있던 이 보물들을 저자는 하나하나 꺼내 보이며, 경복궁을 더욱 새롭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이를테면 아미산 굴뚝은 겉모습의 아름다움을 전하는 데에서 한 발짝 나아가, 복원 전 교태전 아궁이에서 굴뚝까지 이어진 연결 통로 사진을 보여 주어, 숨어 있는 의미와 쓰임을 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합니다. 또 광화문 발굴 당시 사진에서는 태조 대 광화문 기초석 위에 고종 대 광화문 기초석이 올려진 모습이 그대로 드러나, 흥선 대원군이 경복궁 창건 당시 모습을 바탕으로 훼손된 경복궁을 재건했다는 사실을 알 수 있게 합니다. 경복궁 소주방지가 실제 발굴, 복원되고 생생한 과정 또한 현직 고고학자이기에 들려 줄 수 있는 특별한 이야기입니다.
■ 저자 소개
글 최인화
부산대학교 고고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석사 학위를 취득했습니다. 이후 문화재청의 학예연구사로국립문화재연구소 고고연구실, 문화재청 발굴제도과 등에서 근무하였고, 현재는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학예연구실장으로 근무하고 있답니다. 2008~2009년에는 건국대학교 사학과에서 고고학개론과 교양고고학에 대해 강의했습니다. 2010~2011년에는 미국 보스턴 대학교 동아시아 고고학·문화사센터(ICEAACH)의 방문 학자로 경복궁 등 조선 시대 궁궐과 도성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관련 연구 성과를 하버드 대학교 등에소개했습니다.
대표 발굴 조사 경력으로는 경복궁 소주방지, 흥복전지, 함화당 집경당 행각지, 광화문지와 숭례문 발굴 등이 있고, 대표 논문으로는 <조선의 정궁, 경복궁의 건물지에 대한 소고>, <경복궁을 통해 본 조선>, <조선후기 경복궁 도면, 북궐도형의 고고학적 재해석>, <경복궁 건물 유형에 따른 적심 연구> 등이 있습니다.
그림 김태현
추계예술대학 동양화과를 졸업했습니다다. 1997년 한국출판미술대전 금상을 수상했으며 꿈 이야기전, 이미지전 등 여러 전시회에 작품을 출품했습니다. 지금은 한국출판미술협회 회원으로 프리랜서 일러스트레이터로 활동 중이며, 그동안 그림을 그린 책으로는 《한국사 탐험대》, 《울산에 없는 울산바위》,<이야기가 숨어 있는 어린이 문화유산 답사기 1, 2>, 《고구려》, 《왕건》, 《광개토대왕》 등이 있습니다.
감수 장재혁
세종대학교 건축공학과를 졸업하고, 한양대학교에서 건축학 석사 학위를 취득했습니다. 이후
국립문화재연구소 건축문화재연구실 연구원을 지냈고, 세종대학교에서 강의를 했습니다. 현재는 문화재청 경복궁관리소 학예연구사이며, 경복궁 변천사 학술 조사 연구, 경복궁 장기 복원 기본 계획 연구, 궁궐 용어 해설 학술 연구, 경복궁, 창덕궁 홍보 영상 제작 자문 등에 참여했습니다.
대표 논문으로는 <조선 전기 경복궁의 건축 형식에 관한 연구>, <경복궁의 건축 공간에 관한 연구>, <의례를 통한 근정전 일곽의 의미와 공간 사용 특성에 관한 연구> 등이 있고, 발간 참여 도서로는 《조선의 법궁,경복궁》, 《사진으로 보는 경복궁》, 《궁궐》 등이 있으며, 경복궁 안내 해설서 <경복궁 이야기> 발간에 참여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