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문제가 뜨거운 감자입니다.
현재 월평균 수령금액이 58만원으로 노후생활에 부족하다는 것도 문제입니다.
더 심각한 문제는 저출산, 노령화로 2050년대에는 기금이 고갈된다는 것입니다.
연금수령시기를 늦추거나 보험료를 올리는 방법밖에 대안이 없어 보입니다.
젊은 유권자들의 반대가 커보이는 개선안을 어떻게 설득할지 관심을 끕니다.
Pay in longer, get paid out later: one way to prevent pension depletion
연금고갈을 막는 방법: 더 길게 내고 더 후에 받기
By Yi Whan-woo 이환우 기자
Posted : 2023-01-05 16:24 Updated : 2023-01-05 16:27
Korea Times
The younger the taxpayers are, the more they will pay over time and the longer they will have to wait to receive their retirement pensions.
납세자가 젊을수록 기간동안 더 많이 내고 연금을 받기위해 더 오래 기다려만 할 것이다.
That idea was brought up this week during a National Assembly-driven discussion, as the country's population is dwindling and aging rapidly, and it is feared that the state-run pension fund will be depleted by the 2050s.
국가의 인구가 감소하고 노령화가 빨라지면서 이번 주 국회에서 열린 토론회에서 이문제가 거론되었고 국가가 운영하고 있는 국민연금이 2050년대에 고갈될 것이라는 우려가 있다.
The discussion arose as politicians are increasingly aware of the seriousness of the pension fund's foreseeable depletion, but were reluctant to suggest bold solutions for fear of losing votes, especially from younger voters.
정치권이 연기금 고갈 사태의 심각성을 점차 인식하면서도 특히 젊은 유권자들의 표심을 잃을 것을 우려해 과감한 해법을 제시하기를 꺼리면서 이러한 논의가 시작됐다.
Under the circumstances, the advisory committee, operating under the wing of the Assembly's special committee on pension reform, reached the consensus that taxpayers should pay more in premiums while waiting longer before starting to receive their pensions.
이런 상황에서 국회의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에서 운영하는 자문위원회는 납세자가 연급수령시기를 늦추고 더 많이 부담해야 한다는데 의견일치를 보았다.
The 16-member advisory committee consists of macro-economists, sociologists and other relevant experts in the private sector.
16명의 자문위원회는 거시경제학자, 사회학자와 민간부문의 관련 전문가들로 구성되어 있다.
They jointly concluded that the National Pension Service (NPS), the state-run pension operator, should hike the premium rate from the current 9 percent, and also the receivable pension amount in proportion to their income prior to retirement from the current 42.5 percent.
그들은 국가의 연금운영기관인 국민연금은 현재 9%의 보험요율과 퇴직 전 소득에 비례하여 수령 가능한 연금수령액 또한 현재 42.5 %에서 인상을 해야 한다는데 동의했다.
Political circles have been divided over whether to increase the premium rate or the receivable pension proportion.
보험료율 인상 여부와 수령 가능한 연금 비중 등을 놓고 정치권이 의견이 엇갈렸다.
The 16 experts did not specify how high to raise the premium rate and the receivable pension proportion.
16명의 전문가들은 보험요율 인상과 연금수령금액에 대한 구체적인 안은 정하지 않았다.
Rep. Joo Ho-young, the floor leader of the ruling People Power Party (PPP), who also heads the Assembly's special committee on pension reform, noted the current average monthly pension amount of 580,000 won "falls far short of guaranteeing a secure and stable life after retirement."
국회의 연금개혁특별위원장을 겸임하고 있는 주호영 국민의 힘 원내대표는 현재 월평균 연금 580,000원이 “은퇴 후 안정적인 삶을 보장하기에 훨씬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And hopefully the consensus can help taxpayers better in planning for their retirement," he said.
“그리고 그 합의가 납세자들이 은퇴를 계획하는 데 더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고 그는 말했다.
Another conclusion jointly made by the experts was that taxpayers should be eligible to receive their pensions at age 68, up from the current 65.
전문가들이 공동으로 내린 또 다른 결론은 납세자들의 연금수령연령을 현재 65세에서 68세로 올려야 한다는 것이다.
The advisory committee assessed that raising the eligibility age by three years may delay the depletion of the pension fund possibly by two years from the currently estimated year of 2057.
자문위원회는 수령연령을 3년 올리면 연금 기금 고갈 시기가 현재 예상되는 2057년보다 2년 정도 늦춰질 가능성이 있다고 평가했다.
Concerning whether taxpayers will earn money and afford to pay premiums through the age of 65, the advisory committee said it will "seek measures for senior citizens to land jobs."
자문위는 65세까지 납세자가 돈을 벌고 보험료를 낼 여력이 있는지에 대해 "노인들이 일자리를 얻을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겠다"고 밝혔다.
Those aged 60 were eligible for retirement pensions in 1988 when the pension system was introduced and life expectancy in Korea was only 70.
60세는 연금제도가 도입된 1988년, 우리나라 기대수명이 70세에 불과했던 시절에 퇴직연금 수령 연령이었다.
Over the past 35 years, life expectancy in Korea increased by more than 13 years to 83.6 while the age of eligibility rose by merely five years.
지난 35년동안 한국의 기대수명은 83.6세로 13년 이상 증가한 반면, 자격 연령은 불과 5년 증가했다.
The policy makes it tough for the NPS raise the total sufficient funds to make pension payments, especially considering that Korea has the world's lowest birthrate, resulting in fewer people to pay premiums as well as more people who will need to receive pensions.
이 정책은 특히 한국이 세계에서 가장 낮은 출산율을 가지고 있어서 보험료를 내는 사람이 줄어들고 연금을 받아야 할 사람이 늘어나는 것을 고려할 때, 국민연금공단이 연금 지급을 위한 충분한 자금을 모으는 것을 어렵게 만든다.
#국민연금기금고갈 #2057년 #60세 #65세 #68세 #월평균수령액58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