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카페 프로필 이미지
구미텐인텐 (대구포항김천경북 부동산아파트정보)
카페 가입하기
 
 
 
카페 게시글
텐인텐 경제분석연구소 원유대전..우리 나라에 미치는 영향...부동산의 향방은??
굿머니 추천 0 조회 2,214 14.11.18 07:27 댓글 17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14.11.18 11:26

    첫댓글 잘 읽었습니다.
    휴... 견문을 넓히고 갑니다... 원유로 가격만으로도 이런 유추가 되다니... 대단하네요.. 내가 너무 모자란건가;;
    감사합니다.

  • 14.11.18 11:44

    감사합니다
    아직 반만 읽었어요
    오늘 밤에 다 읽어야겠어요

  • 14.11.18 11:48

    우리나라 고물가아닌가요?소비가 살아나지 않는게 쓸 돈이 없는것과 비싸서 인데요.

  • 작성자 14.11.18 13:54

    생활 물가는 ....소득 계층 별로 다 다른것이지요?...내가 느끼는 생활 물가와는 많은 괴리율이 나타 납니다...우리나라 같은 경우 물가 하방 관리 선이 약 2.5% 정도 이지요....지금 물가 상승율이 평균 1%대에서 전후로 움직이고 있는 말 그대로 심각한 상황 입니다.

  • 작성자 14.11.18 14:01

    디플레 혹은 디스 인플레 현상이 나타나게 되면....소비자들이 지갑을 닫게 되는 것이지요...이렇게 되면 기업들도 자본 투자를 하지 않고 현금을 쌓아 두게 됩니다....제일 먼저 일자리가 줄어 들게 되면서 소비 침체를 더욱 부채질 하게 되구요...이 소비 억제로 인하여 자영 업자들이 망하게 되는 겁니다....지금 우리나라가 격고 있는 현실이지요....이 디플레이션을 탈출 하기 위하여 돈을 쏟아 붓고 있습니다만....일본은 연속 2분기 마이너스 성장이지요....우리나라는 무역수지 흑자가 꾸준히 달성 되면서 일본 보다는 훨씬 더 상황이 좋습니다.

  • 14.11.18 13:32

    항상 느끼는 것이지만 정말 대단한 지식과 정보라 생각 되고요.
    굿머니님 덕분에 경제 흐름 이라는 큰 그림 속 부수적인 것들을 하나둘씩 이해 해 가는 것 같습니다.
    다음 글도 벌써 기대되네요.^^
    감사합니다.

  • 14.11.18 16:55

    와.. 대단하십니다.. 많이배웁니다^^

  • 14.11.18 18:33

    감사합니다.
    경제흐름에 조금이나마 눈을 뜨게되네요

  • 14.11.18 19:11

    미국 원유를 수출 못하게 하다가 이제는 퍼다 판다길래 이것이 어떤식으로 영향을 미칠까 잠깐 생각은 해봤었어요.
    이정도 일줄이야 ~ 미국에서 원유 수출 하는데 단가를 내리면 미국 자국 내에서 원유 생산하는 기업들은 단가가 안맞으니 손떼지 않을까 이런 단순한 생각도 해봤는데 흠... 대단하십니다.
    20년전 초등학생 일때 심심찮게 들었던 얘기가 몇십년 뒤에 기름은 고갈된다. 대체 에너지 개발해야 된다 이런 얘기 들었었는데 잉? 20년 지났는데 기름 고갈 된다는 소리는 안들리네요. ㅋ ㅋ ㅋ 미스테리 인듯...
    나중에 미국이 자국내에서만 원유나 가스를 싸게팔고 수출가는 높이면 이는 또 어떻게 될까요. 흠

  • 14.11.19 04:27

    좋은글 감사합니다~^^ 기름값 떨어진다고 야호를 외쳤는데 문제가 많네요~

  • 작성자 14.11.19 07:31

    경제 흐름적인 큰 그림으로 보면 너무 좋아 할일 아니지요...다만 올 겨울 난방비용은 걱정이 덜 할것 같습니다.

  • 14.11.19 09:27

    에너지와 경제상황을 연관지어 생각하게끔 하는 좋은글이네요^^

  • 14.11.19 10:08

    텐인텐 보면서 많이 배우는데, 님 글을 꼭 읽고 갑니다. 아직 저한테는 어려워서 이해가 다 되지는 않지만, 이렇게 조금씩 더 알아간다고 생각 합니다. 오늘도 모라토리움이란걸 알았네요.
    님 덕분에 좋은 공부 합니다^^

  • 14.11.24 12:26

    유가하락이 여러 경제적인 문제에도 원인이 있지만, 푸틴이 버티고 있는 러시아를 견제하기 위해서, 미국이 의도적으로 유가 하락으로 유도하는 면도 많습니다, 그동안 러시아가 높은 유가로 인해 경제적인 파워를 축적해서 우크라이나 사태와 같은 문제를 일으키니. 러시아(푸틴)의 힘을 빼기위한 목적도 일부 있습니다. 아무튼 미국은 대단한 나라면서. 미국의 의도를 잘 파악 하는것도 경제생활에 도움이 많이 됩니다.

  • 14.11.24 13:08

    저는 크게 현상황을 두 가지로 봅니다.
    1. 공급증가
    - 과거엔 국제석유기구.opec의 영향력 아래에 감산과 증산정책으로 국제 유가의 등락폭을 많이 좌지우지 했지만..지금은 비opec기구.
    즉.비중동국가에서 석유생산량의 비중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예) 러시아. 미국.베네수엘라등.. 대표적으로 미국의 원유증산이 큰 영항을 끼치고 있다고 보이네요.

  • 14.11.24 13:10

    2. 달러화의 강세
    - 국제원자재중 하나. 석유도 즉 소비재이자 투기재 현물자산입니다. 달러화의 강세로 원유를 도구로 한 금융소비의 수요가 많이 감소했죠. 국제자본이 달러화의 강세로 안정된 달러자산을 선호하기 시작하는데.. 금뭐하러 실물자산에 투자를 늘리겠나요?또한 공급보다 소비가 줄어드니 당연 가격은 하락하게 됩니다.

    당장 우리나라로서는 좁게 보자면 에너지수입비용이 줄어들어 무역수지 개선에 상당한 도움이 되고 .실소비를 하는 주 수요자. 국민입장에서도 가계소비의 능력을 더 넓혀주는 긍정적인 부분이 발생할수 있습니다.

  • 14.11.24 13:10

    하지만...장기적인 하락은 굿머니님 말씀처럼. 실물자산가치의 지속적 감소와 화폐가치의 하락을 일으키어 추가금리인하 및 부동산가격의 상승을 초래할수 있습니다. 양날의 검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