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나무숲 속에
부처님 은혜가 바다 같다는,
"영천 팔공산 은해사(銀海寺) 탐방..,"
"일제강점기 조선31본산, 경북 5대 본산, 조선 4대 부찰(富刹)의
하나 그리고 현재 대한불교 조계종 제10구 본사~역사가 신라 헌덕왕 1년까지
거슬러 오르는 *은해사(銀海寺)* 를 수식하는 말들입니다. 현존하는 암자만도
여덟개나 거느린, 산 너머 동화사와 더불어 팔공산 안의 절집들을팔
대표하는 큰 절이기도 합니다."
(팔 공 산 전 경)
"영천 방면에서 바라본 팔공산입니다.
파도가 흐르듯 이어지는 긴 능선은 팔공산의 위용을 보여주며,
겹겹이 싸인 능선 어딘가에 은해사가 자리하고 있습니다."
(은해사 사하촌 입구 숲길 표지석)
(숲길~~팔각정)
(석가산 : 石假山 전경)
"석가산이란 정원 따위에 돌을 쌓아 만든 산을 말합니다."
(팔공산 은해사 : 銀海寺 표지석)
"부처님의 은혜가 은빛바다 처럼 펼쳐져 있는
절이라는 뜻에서 붙혀진 이름이라고 합니다."
(은해사 사천왕문)
(다문천왕 : 多聞天王과 지국천왕 : 持國天王)
~~~(다문천왕 : 多聞天王)~~~
"손에는 지물로서 비파를 들고 수미산 북방을 수호하는 북방 다문천왕으로
언제나 부처님의 도량을 지키면서 부처님의 설법을 듣는다고 하여
다문천왕이라고 합니다."
~~~(지국천왕 : 持國天王)~~~
"손에는 지물로서 칼을 들고 수미산 동방을 수호하는 동방 지국천왕은 안민의 신입니다.
선한 이에게는 복을, 악한 이에게는 벌을 주고 인간을 고루 살피면서 국토를 수호하는
서원을 세웠습니다."
(증장천왕 : 增長天王과 광목천왕 : 廣目天王)
~~~(증장천왕 : 增長天王)~~~
"손에는 지물로서 용과 여의주를 들고 있으며, 수미산 남방을 수호하는
남방 증장천왕은 자신의 위덕으로 만물을 소생시키는 덕을 베풀겠다는
서원을 세웠습니다."
~~~(광목천왕 : 廣目天王)~~~
"손에는 지물로써 탑과 창을 들고 서 있으며, 수미산 서방을 수호하는
서방 광목천왕은 죄인에게 벌을 내려 심한 고통 속에서 도를 구하는 마음을
일으키도록 하겠다는 서원을 세웠습니다."
(은해사 금포정 : 銀海寺 禁捕町)
"은해사 천왕문을 지나 보화루까지의
울창한 소나무 숲길을 금포정(禁捕町)이라 합니다."
"기록에 의하면 1714년 조선 숙종 임금 때에 소나무숲 일대의 땅을 매입하였으며,
이곳에 소나무숲을 조성하여 오늘에 이르렀다고 합니다."
"약 500년생의 높이 10여 미터의 송림이 2km정도 울창한 이곳에는
일체의 살생을 하지 않았다 하여 *금포정(禁捕町)* 이라 했다고 합니다."
"은해사 랜드마크인 수령 500년이 넘는 소나무,
비바람에 쓰러지지 않으려고 서로 엉켜 500년을 지켜온 나무들,
은해사의 역사를 다 알고 있는 나무들입니다."
(은해사 부도원)
"소나무숲을 지나면 온통 낙엽으로 뒤덮은 바위 아래
역사의 흔적이 묻어 있는 부도들이 줄지어 서 있습니다. 잎을 떨군 나무들이
안간힘을 쓰며 부도를 보호하는 것 처럼 보였습니다."
"떨어진 낙엽을 머리에 이고 켜켜히 쌓여 있는 바위는 세월의 흐름 속에서도
은해사로 인도해주는 길잡이가 되고 있습니다."
(은해교에서 바라본 은해사 전경)
(보화루와 범종루)
(보화루 : 寶華樓)
"보화루(寶華樓)는 절에서 대중들과 함께 집회나 설법을 할 때
사용되는 전각이며 보화루 현판은 *추사 김정희* 의 친필이라고 합니다."
(범종루 : 梵鐘樓)
"은해사의 명물이며 일타스님이 북을 만들 때
동물의 가죽을 사용하지 말라고 하여 쇠북으로 만들었다고 합니다."
(심검당 : 尋劒堂)
(설선당 : 說禪堂)
(극락보전 : 極樂寶殿)~아미타전, 무량수전
"서방극락정토의 주재자인 아미타불(阿彌陀佛)을 본전불로 모시는 당우 중 하나로
대웅전 다음으로 많으며 대웅전, 대적광전과 함께 3대 불전으로 꼽히고 있습니다."
(지장전 : 地藏殿)~명부전,시왕전
"지장보살을 주불로 봉안하고 있으므로 지장전이라고 하며, 지장보살을 중심으로
그 주위에 염라대왕 등 시왕(十王)을 모셔놓은 절 안의 전각입니다."
(조사전 : 祖師殿)
"조사(祖師)에 대한 신앙을 기리기 위한 전각입니다."
(산신각 가는 길)
(산신각 : 山神閣)
"불교사찰에 있는 산신각(山神閣)은 고유 신앙의 수용 차원에서
만들어진 것으로, 민간 신앙인 칠성(七星)도 모셔져 있습니다.
명칭은 산신각, 칠성각으로 불립니다."
(산신각에서 바라본 전경)
(은해사 전경)
"순교자들이
살고, 죽고, 묻힌 곳"
"영천 팔공산 천주교 한티 순교 성지 탐방..,"
"대구에서 북쪽으로 24km 쯤, 행정구역으로는 경북 칠곡(漆谷)군
동명면 동명동에 자리하고 있는 *한티* 는 산골 중에서도 깊은 산간입니다.
산 줄기로 치면 팔공산괴의 맥에 걸쳐 있고 해발 600m를 넘는 이 깊은 심심산골은
박해 때 천주교 교우들이 난을 피해 몸을 숨긴 곳이요, 그들이 처형당한 곳이며,
또 그들의 유해가 묻혀 있는 완벽한 순교 성지입니다."
(팔공산 한티 성지로 가는 길에서 바라본 풍경)
(한티 순교 성지 입구 표지석)
"이곳 *한티* 는 순교자들이 살고, 죽고, 묻힌 곳입니다.
을해박해(1815)와 정해박해(1827)를 전후하여 박해를 모면한 천주교 교우들이
숨어들기 시작하여 1850년 말경에는 큰 교우촌이 형성 되었다고 합니다."
(한티 성지 안내판)
"병인박해(1866)가 진행 중이던 1868년 배교하지 않은 교우들을
현장에서 처형하고 마을을 불태워 버렸으며, 지금까지 확인된 순교자의
묘(墓)는 모두 37기로 박해 때의 교우촌과 그 주위에 넓게 흩어져 있다고 합니다."
(성지 가는 길)
"평화가 항상 여러분과 함께"
(순교자 묘역 입구)
"이곳은
순교자들이
살고
죽고
묻힌 곳이다."
(입석 : 立石)~~한티마을 사람들
"서 있는 돌(입석)은 이곳에서 살고, 순교한 한티마을 사람들을 상징하는 것이며
입석 앞에 있는 작은 돌은 어린 아이들을 표현한 것입니다."
(순례자 성당)
(성 모 동 산)
(십 자 가 의 길)
(한 티 공 소~~억새마을)
(피 정 의 집)
"청 풍 명 월~~성지 탐방(20) : 은해사. 천주교 한티 성지..............................................,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