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
관 직 명
해 설
감무(監務)
현령을 둘 수 없는 작은 현(縣)의 감독관.
감사(監史)
소부시(小府寺)·군기시(軍器寺)의 관원(官員).
감수국사(監修國史)
춘추관(春秋官)의 최고 관직(官職)으로 시중(侍中 : 종1품)이 겸임.
감창사(監倉使)
창고를 감찰하던 관리.
감후(監候)
서운관(書雲觀)에서 기후에 관한 사무를 맡아보던 정9품직.
검약(檢藥)
전의시(典醫寺)에 속한 정9품관.
검열(檢閱)
예문관(藝文館)·춘추관(春秋館)의 정8품에서 정9품의 벼슬.
경력(經歷)
4-5품의 관리. 조선 때 종4품의 관리.
경사교수(經史敎授)
교육기관인 국자감(國子監)에 속했던 관직(官職).
경학박사(經學博士)
지방관민의 자제를 교육(敎育)시키기 위해 둔 교수직.
고공원외랑(考功員外郞)
고공사(考功司)의 관직(官職)으로 정6품의 벼슬.
공수정(公須正)
지방 관청의 재무를 관할하던 지방관직(地方官職).
관군대장군(冠軍大將軍)
정3품 무산계(武散階).
광록대부(光祿大夫)
문산계(文散階)의 관계로 정2품의 상(上).
광정대부(匡靖大夫)
문산계(文散階)의 종2품 관계.
교감(校勘)
비서성(泌書省)에 속한 종9품의 관직(官職).
교서랑(校書郞)
비서성(泌書省)에 속한 정9품의 관리(管理).
국자박사(國子博士)
국자감(國子監)에 속해 있던 정7품의 관직(官職).
군공(郡公)
5등작(五等爵)의 하나로 종2품직.
궁문랑(宮門郞)
동궁(東宮)에 두었던 종6품의 관직(官職).
극편수관(克編修官)
춘추관(春秋館)에 있던 3품관 이하의 관직(官職).
금자광록대부(金紫光祿大夫)
문산계(文散階)의 하나로 종2품 관리.
금자숭록대부(金紫崇大祿夫)
문산계(文散階)의 하나로 종1품의 품계(品階).
금자흥록대부(金紫興大祿夫)
급사중(給事中)
중서문하성(中書門下省)에 소속된 종4품의 벼슬.
기거랑(起居郞)
문하부(門下府)의 관직(官職)으로 종5품의 벼슬.
기거사인(起居舍人)
문하부(門下府)의 관직(官職)으로 종5품, 후에 정5품이 되었다
기거주(起居注)
문하부(門下府)의 관직(官職)으로 종5품, 후에 정5품이 되었다.
나
낭사(郎舍)
문하성(門下省)에 소속된 간관(諫官)의 총칭.
낭장(郎將)
정6품의 무관직(武官職).
낭중(郎中)
6부(六部)에 소속된 정5품의 벼슬.
내급사(內給事)
전중성(殿中省)에 소속된 종6품의 벼슬.
내사사인(內史舍人)
내사문하성(內史門下省)에 소속된 종4품의 벼슬.
내사시랑평장사(內史侍郞平章事)
문하부(門下府) 소속의 정2품 벼슬.
내시(內侍)
재주와 용모가 뛰어난 세족자제(世族子弟)들을 임용하여 숙위(宿衛) 및 근시(近侍)의 일을 맡던 관원. 조선 때 환관의 별칭.
내직랑(內直郞)
동궁(東宮 : 세자의 거처)에 소속된 종6품의 벼슬.
녕원장군(寧遠將軍)
정5품의 무산계(武散階 : 무신의 품계).
녹사(錄事)
정5품의 무관 벼슬.
다
대장군(大將軍)
종3품의 무관직(武官職).
대정(隊正)
무관(武官)의 벼슬, 최하위 군관으로 종9품의 벼슬.
대학박사(大學博士)
국자감(國子監)을 설치하고 두었던 종7품의 품계(品階).
대호군(大護軍)
무관직(武官職)으로 종3품.
도사(都事)
종7품의 관직(官職).
도순문사(都巡問使)
외관직(外官職)으로 주(州)·부(府)의 장관을 겸하였다.
도원수(都元帥)
전시에 군대를 통괄하던 임시 무관직(武官職).
도첨의령(都僉義令)
도첨의사사(都僉議使司)의 으뜸 벼슬.
동지원사(同知院事)
중추원(中樞院)에 속한 종2품의 벼슬.
라
마
만호(萬戶)
외관직(外官職)으로 정4품의 무관직(武官職).
명위장군(明威將軍)
종4품의 무산계(武散階).
문림랑(文林郞)
문산계(文散階)의 종9품 상(上).
문사(文師)
유수관(留守官)이나 대도호부(大都護府)에 소속된 9품의 관직(官職).
문하녹사(門下錄事)
문하성(門下省)에 소속된 정7품의 관직(官職).
문하사인(門下舍人)
문하부(門下部)에 소속된 정4품의 관직(官職).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
문하부(門下府)에 소속된 정2품의 관직(官職).
문하시중(門下侍中)
문하성에 소속된 종1품의 관직(官職).
문하우시중(門下右侍中)
문하부(門下府)의 관직(官職)으로 문하시중(門下侍中)을 부르는 말.
문하좌시중(門下左侍中)
문하주서(門下注書)
문하부(門下府)의 종7품의 관직(官職)으로 첨의주서(僉議注書)라고도 한다.
문하찬성사(門下贊成事)
문하부(門下府)의 정2품의 벼슬로 찬성사(贊成事)라고도 한다.
문하평리(門下評理)
문하부(門下府) 소속으로 종2품의 관직(官職).
밀직판원사(密直判院使)
밀직사(密直司) 소속의 종2품의 관직(官職).
밀직원사(密織院事)
밀직지원사(密織知院事)·밀직사(密直司)의 종2품의 관직(官職).
밀직부사(密直府事)
밀직사(密直司)의 소속으로 왕명의 출납, 궁중의 숙위, 군기 등을 맡아보던 관청의 정3품의 관직(官職).
바
배융교위(陪戎校尉)
정9품의 무관(武官).
백호(百戶)
5·6품의 무관직(武官職)으로 청백(淸白)하고 무술이 능한 관원.
벽상삼한삼중대광(壁上三韓三重大匡)
정1품의 품계(品階). 벽상공신(壁上功臣)의 무관(武官).
별장(別將)
정7품의 무관직(武官職).
병마사(兵馬使)
동·북 양계(兩界)의 군권을 지휘하는 정3품의 벼슬.
병부상서(兵部尙書)
병부(兵部)의 장관. 지금의 국방부 장관과 같다.
보국대장군(輔國大將軍)
정2품의 무산계(武散階).
봉상대부(奉常大夫)
정4품의 문산계(文散階).
봉순대부(奉順大夫)
정3품의 문관품계(文官品階).
봉어(奉御)
각 관청 소속의 정6품의 관직(官職).
봉익대부(奉翊大夫)
종2품의 문산계(文散階). 영록대부(榮祿大夫).
부사(副使)
사(使)의 다음가는 관직(官職)으로 5-6품을 가리킨다.
부승지(副承旨)
광정원(光政院) 소속의 종6품, 밀직사(密直司)로 고친 후 정3품이 됨.
부정(副正)
각 관청 소속의 종4품 관직(官職).
부정자(副正字)
교서관(校書館)과 승문원(承文院)의 종9품의 벼슬.
부직장(副直長)
정8품 관직(官職). 조선 때 상서원(尙瑞院) 소속의 정8품 관직(官職).
부창정(副倉正)
각 군현(軍縣)에 소속된 지방 관직(官職).
부총제사(副摠制使)
삼군도총제부(三軍都摠制府)에 속한 정2품의 무관직(武官職).
부호장(副護長)
호장(戶長) 아래 관직(官職)이며 대등(大等)을 바꾸어서 부르는 말.
비서감(秘書監)
비서성(秘書省) 소속의 종3품 관직(官職).
비서랑(秘書郞)
비서성(秘書省)에 소속된 종6품의 관직(官職).
비서승(秘書丞)
사
사공(司空)
삼공(三空)의 하나로 정1품의 벼슬.
사도(司徒)
사사(司事)
밀직사(密直司) 소속의 종2품 벼슬.
사의대부(司議大夫)
문하부(門下府) 소속의 정4품의 관직(官職).
사의랑(司議郞)
동궁(東宮)에 있던 정6품관.
산원(散員)
군관 의 계급으로 정8품의 관직(官職).
산학박사(算學博士)
종9품으로 국자감(國子監)에 서 산술을 가르치던 교수.
삼공(三公)
사마(司馬)·사도(司徒)·사공(司空)의 총칭으로 정1품.
삼사(三師)
태사(太師)·태부(太傅)·태보(太保)를 말하며 임금의 고문 또는 국가 최고의 명예직(名譽職)으로 정1품의 벼슬이다.
삼사사(三司使)
삼사 (三司)에 속한 정3품의 벼슬.
상만호(上萬戶)
군직(軍職)으로 순군만호부(巡軍萬戶府) 다음의 벼슬이다.
상서(尙書)
6부에 두었던 정3품의 관직(官職)으로 판서·전서 등으로 변경되었다.
상서령(尙書令)
상서성(尙書省)의 우두머리로 종1품의 벼슬.
상서좌우승(尙書左右丞)
종3품의 관직(官職)으로 상서도성(尙書都省)에 속한 벼슬.
상시(常侍)
좌산기상시(左散驥常侍)·우산기강시(右散驥常侍)를 통틀어 산기상시(散驥常侍)라하고 약칭상시라 하였다.
상장군(上將軍)
조선초기의 정3품 무관직(武官職).
상주국(上柱國)
정 2품의 훈계(勳階)
상경(上卿)
정1품과 종1품의 판서(判書)를 가리키는 말.
상호군(上護軍)
무관직(武官職)
서학박사(書學博士)
국자감(國子監)에서 글씨를 가르치던 종9품의 벼슬.
선위장군(宣尉將軍)
종4품 무관의 관계(官階).
선의랑(宣議郞)
종7품 문관의 관계(官階).
선절교위(宣折校尉)
정8품의 무산계(武散階).
선절부위(宣折副尉)
세마(洗馬)
동궁(東宮)에 속한 종5품의 관직(官職)이며, 조선 때 정9품의 관직(官職).
세자부(世子傅)
세자의 스승.
세자사(世子師)
소감(少監)
4∼5품의 관직(官職).
소경(少卿)
종4품의 벼슬.
소윤(少尹)
소첨사(小詹事)
첨사부(詹事府)의 종3품의 벼슬. 첨사(詹事) 다음가는 벼슬.
수국사(修國史)
감수국사(監修國史) 다음으로 2품 이상이 겸임하는 사관이다.
수문하시중(守門下侍中)
문하부(門下府)의 대신(大臣).
수직랑(修職郞)
7품의 문산계(文散階).
수찬(修撰)
예문관(藝文館)에 속한 사관(史官)으로 정2품의 관직(官職)이었으나 후에 정8품이 되었다.
수찬관(修撰官)
한림원(翰林院) 소속의 3품 이하가 겸직한 사관(史官).
순무사(巡撫使)
안무사(按撫使)를 개칭한 것으로 지방관을 감찰하는 관직(官職).
순위관(巡衛官)
사평순위부(司平巡衛府)에 소속된 참상관 밑의 벼슬.
숭록대부(崇祿大夫)
종1품의 문산계(文散階).
승선(承宣)
왕명의 출납(出納)을 맡아본 정3품의 관직(官職)이다. 승지(承旨)·대언(代言).
승(丞)
각 관청에 소속된 정5품∼정9품의 관원.
승봉랑(承奉郞)
종8품의 문산계(文散階).
승지(承旨)
밀직사(密直司) 소속의 왕명을 출납하는 관리이다.
시독사(侍讀事)
동궁(東宮 : 세자 궁)에 소속된 관직(官職).
시랑(侍郞)
각 부의 정4품 관리(管理).
시중(侍中)
수상(首相)으로 종1품.
아
안무사(按撫使)
지방에 파견되어 수령을 감찰하는 임시 외관직. (지방에 변란이나 재난이 있을 때 왕명으로 파견되어 백서을 안무하던 임시 벼슬)
약장랑(藥臟郞)
동궁(東宮 : 세자가 사는 곳)에 속한 정6품의 관직(官職).
어모교위(禦侮校尉)
종8품의 상(上)인[위에 있는] 무관품계(武官品階).
어사(御使)
각 조(曹)의 장관 또는 수서원(修書院)의 장(長).
어사대부(御使大夫)
정3품으로 어사대(御史臺)의 장관. (조선 때 대사헌(大司憲)에 해당함. )
어사잡단(御使雜端)
어사대(御史臺)에 속한 종5품의 벼슬.
어사중승(御使中丞)
어사대(御史臺)에 속한 종4품의 벼슬.
어영대장(御營大將)
어영청(御營廳)의 으뜸가는 벼슬로 종2품의 무관직(武官職).
어영장군(御營將軍)
어영청(御營廳)의 당관(將官)으로 종4품의 무관직(武官職).
염문사(廉問使)
지방관리의 재판행정을 감독하기 위해 파견한 2품 관직(官職).
영(令)
고려 때 3품∼9품 관직(官職).
영도첨의(領都僉議)
수상(首相)급의 관직(官職). 영도첨의부사의 약칭.
영록대부(榮祿大夫)
종2품의 문산계(文散階).
영사(領事)
삼사(三司)·춘추관(春秋館)의 장(長).
영사복시사(領司僕侍事)
종 2품의 벼슬로 복시사(僕侍事)의 으뜸 벼슬.
영선공사사(領繕工寺事)
선공사(繕工司)의 장(長)으로 종2품의 관직(官職).
영원장군(寧遠將軍)
무산계(武散階)로 정5품 하(下).
영춘추관사(領春秋館事)
춘추관의 으뜸벼슬로 영의정(領議政)이 겸했다.
예의판서(禮儀判書)
예의사(禮儀司)의 으뜸벼슬로 정3품의 벼슬.
요무교위(耀武校尉)
정6품의 무산계(武散階).
요무부위(耀武副尉)
요무장군(耀武將軍)
우대언(右代言)
밀직사(密直司) 소속의 정3품 관직(官職).
우보궐(右補闕)
중서문하성(中書門下省) 소속의 정6품 벼슬.
우복야(右僕射)
상서도성(尙書都省)에 소속되어 상서렬(尙書令) 다음가는 정2품의 관직(官職).
우부대언(右副大言)
밀직사(密直司).
우부승선(右副承宣)
중추원의 소속으로 정3품이었다가 후에 종6품으로 되었다.
우부승직(右副承直)
내시부(內侍府)에 속한 종 6품의 관직(官職).
우사(右使)
삼사에 속한 정2품의 벼슬. 우복야(右僕射)를 고친 이름.
우사간(右司諫)
중서문하성(中書門下省)에 소속되어 간쟁(諫爭)을 맡아본 정6품의 벼슬.
우사낭중(右司郎中)
상서도성(尙書都省)에 소속된 정5품의 벼슬.
우사원외랑(右司員外郞)
상서도성(尙書都省)에 소속된 정6품의 벼슬.
우상시(右常侍)
중서문하성(中書門下省) 소속의 정3품의 벼슬.
우승(右丞)
상서도성(尙書都省)의 종3품의 벼슬.
우승직(右承直)
내시부(內侍府)에 속한 종5품의 벼슬.
우시금(右侍禁)
액정국(掖庭局) 소속의 정8품의 벼슬.
우첨사(右詹事)
왕비부(王妃府 )에 예속된 관직(官職).
운휘대장군(雲麾大將軍)
정 3품의 무산계(武散階).
원사(院使)
중추원(中樞院) 소속의 종2품의 벼슬.
원외랑(員外郞)
각 기관의 정6품의 관직(官職).
위(尉)
정9품의 무관직(武官職).
위수(衛率)
춘방원(春坊院)에 소속된 좌·우위수로 정5품 무관(武官).
유격장군(遊擊將軍)
종5품의 무산계(武散階).
유기장군(遊騎將軍)
율학박사(律學博士)
상서형부(尙書刑部)와 국자감(國子監)에 소속된 종8품직.
은청광록대부(銀靑光祿大夫)
문관의 품관.
응교(應敎)
예문춘추관(藝文春秋館)에 속한 정5품의 관직(官職).
의동삼사(儀同三司)
정1품 하(下)의 문산계(文散階).
이마(理馬)
품계는 6품이 1명, 8품이 2명, 9품이 1명이었으며, 모두 체아직(遞兒職)이다.
익선(翊善)
정5품의 관직(官職). 조선 때 세손강서원(世孫講書院)에 소속된 종3품직.
익휘부위(翊麾副尉)
종7품의 무산계(武散階).
인진부사(引進副使)
각문(閣門)에 소속된 종5품의 관직(官職).
인진사(引進使)
각문(閣門)에 소속된 정5품의 관직(官職).
자
자덕대부(資德大夫)
종2품 하(下)의 문산계(文散階).
자의(諮議)
정6품의 관직(官職).
장군(將軍)
정4품의 무관직(武官職)이다
장령(掌令)
사헌부(司憲府)·감찰사(監察司)의 종4품의 관직(官職).
장무장군(將武將軍)
정4품 하(下)의 무산계(武散階).
장사(長史)
종 6품의 무관 벼슬.
장사랑(將仕郞)
종 9품 하(下)의 문산계(文散階).
절도사(節度使)
지방장관, 뒤에 안무사(按撫使)라고 했다.
절제사(節制使)
원수(元帥)를 개칭한 이름으로 각 주(州)·부(府)의 장관(壯觀)직.
정당문학(政當文學)
조선 초기의 종2품의 관직(官職).
내사문하성(內史門下省) 소속이며 조선 때는 문하부(門下府) 소속이었다.
정랑(正郞)
6조(六曹) 소속의 정5품 벼슬.
정봉대부(正奉大夫)
정순대부(正順大夫)
정3품의 문산계(文散階).
정언(正言)
중서문하성(中書門下省)에 속한 종6품의 관직(官職). 뒤에 정6품이 되었다.
정윤(正尹)
종친(宗親)에게 종2품, 훈신(勳臣)에게 정3품으로 내리던 봉작(封爵).
정원장군(定原將軍)
정5품의 무산계(武散階).
정조(正祖)
향직(鄕職)의 7품 벼슬.
제거(提擧)
관직(官職).
제학(提學)
정 3품의 벼슬로 대제학 다음 벼슬.
조교(助敎)
태의감·국학에 소속된 벼슬.
국학박사(國學博士) 다음가는 벼슬.
조봉랑(朝奉郞)
종5품의 문반품계(文班品階).
조산대부(朝散大夫)
4품 또는 5품의 문관품계(文官品階).
조산랑(朝散郞)
종7품 하(下)의 문관품계(文官品階).
조열대부(朝列大夫)
종4품 하(下)의 문관품계(文官品階).
조의대부(朝議大夫)
정5품 상(上)의 문관품계(文官品階).
조의랑(朝議郞)
정6품 상(上)의 문관품계(文官品階).
조전원수(助戰元帥)
고려 말기의 무관직(武官職), 도원수(都元帥)·상원수(上元帥)를 돕는 구실을 담당.
조청대부(朝請大夫)
정5품의 문반품계(文班品階).
조청랑(朝請郞)
정7품의 문반품계(文班品階).
조현대부(朝顯大夫)
문반품계(文班品階).
종사랑(從仕郞)
7품의 문반품계(文班品階).
좌간의대부(左諫議大夫)
정4품의 관직위계(官職位階). 조선 때 정3품.
좌대언(左代言)
밀직사(密直司). 조선 때 승정원(承政院)에 소속된 정3품의 벼슬.
좌랑(左郞)
6조(六曹)에 소속된 정5품의 벼슬.
좌반전직(左班殿直)
액정국(掖庭局)의 남반(南班)에 예속된 정3품.
좌보궐(左補闕)
시대에 따라 정5품에서 정6품의 벼슬.
좌복야(左僕射)
상서도성(尙書都省) 소속의 정2품의 벼슬로 상서령(尙書令) 다음의 관직(官職).
좌부대언(左副代言)
좌부승선(左副承宣)
정3품의 벼슬.
좌부승직(左副承直)
내시부(內侍府)에 속한 정6품의 벼슬.
좌사간(左司諫)
문하부(門下府)에 소속된 관직(官職). 뒤에 좌헌납(左獻納)으로 개칭.
좌사낭부(左司郎部)
상서도성(尙書都省)에 예속된 정2품직.
좌사낭중(左司郎中)
좌산기상시(左散騎常侍)
조선 초 문하부(門下府) 소속의 간관(諫官).
좌상시(左常侍)
좌습유(左拾遺)
내사문하성(內史門下省) 소속의 종5품에서 정6품.
좌승직(左承直)
정5품으로 내시부(內侍府)에 소속된 관직(官職).
좌시금(左侍禁)
좌위수(左衛수)
춘방원(春坊院) 소속의 정5품의 무관직(武官職).
좌윤(左尹)
삼사 소속의 종3품 벼슬. 조선 때 한성부의 종2품의 벼슬.
좌윤(佐尹)
향직(鄕職)으로 6품의 벼슬.
좌찬선대부(左贊善大夫)
동궁(東宮)에 소속된 정5품의 벼슬.
좌첨사(左詹事)
첨사부(詹事府)에 소속된 벼슬.
주사(注事)
중대부(中大夫)
종4품 하(下)의 문산계(文散階).
중랑장(中郞將)
조선 초 각 영(領)에 소속된 정5품의 무관직(武官職).
중무장군(中武將軍)
정4품 상(上)의 무산계(武散階).
중봉대부(中奉大夫)
은청광록대부(銀靑光祿大夫)를 고친 정3품의 문산계(文散階).
중부(重副)
대제상(大帝相)의 다음 가던 벼슬.
중사인(中舍人)
정5품으로 동궁의 속관관직(屬官官職)
중산대부(中散大夫)
정5품 상(上)의 문산계(文散階).
중서령(中書令)
문하부(門下府) 소속의 종1품의 관직(官職).
중서사인(中書舍人)
중서문하성(中書門下省) 소속의 종4품의 벼슬.
중서시랑평장사(中書侍郞平章事)
중서성(中書省)의 정2품 관직(官職).
중정대부(中正大夫)
종3품의 문산계(文散階).
주서(注書)
중현대부(中顯大夫)
정3품 하(下)의 문산계(文散階).
중호(中護)
도첨의사사(都僉議使司)에 예속된 정2품 품계.
지부사(知部事)
6부(六部)에 속한 종3품의 관직(官職).
지사(知事)
각 도(道)의 도통사(都統使)에 딸린 5품에서 6품의 벼슬이며 또한 각 관청의 2품에서 5품의 벼슬.
지성사(知省事)
상서성(尙書省) 소속의 종2품의 관직(官職).
지원사(知院使)
지제고(知制誥)
조서(詔書)·교서(敎書) 등을 지어 왕에게 올리던 관직(官職).
지주사(知奏事)
중추원(中樞院) 소속의 정3품의 벼슬.
지평(持平)
정5품의 관직(官職).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중추부의 정2품 무관(武官) 벼슬.
지후(祗侯)
정7품의 벼슬.
직문하(職門下)
문하부(門下府)에 소속된 종3품의 벼슬.
직사백(職詞伯)
예문춘추관(藝文春秋館) 소속의 정4품의 벼슬.
직장(直長)
6품에서 9품까지의 관직(官職).
직제학(直提學)
정4품의 관직(官職).
직학(直學)
국자감(國子監)에 둔 종9품의 관직(官職).
직학사(直學士)
중추원(中樞院) 소속의 정3품의 관직(官職).
진국대장군(鎭國大將軍)
종2품의 무산계(武散階).
진덕박사(進德博士)
성균관(成均館)의 종8품의 관직(官職).
진무(振撫)
도통사(都統使) 소속의 종2품과 정3품이 있었다.
진무부위(振武副尉)
종6품 하(下)의 무산계(武散階).
진장(鎭將)
각 진(鎭)에 배치된 으뜸벼슬로 7품이상 관원중에서 임명됨.
집사(執事)
말단 관리.
진위교위(振威校尉)
종6품 상(上)의 무관(武官)관계.
집의(集義)
사헌부(司憲府)의 3품관. 조선 때 사헌부의 종3품관.
집주(執奏)
추밀원(樞密院) 소속의 관직(官職).
징사랑(徵事郞)
정8품 하(下)의 문산계(文散階).
차
찬선대부(贊善大夫)
동궁(東宮:세자 궁)에 소속된 정5품의 관직(官職).
찬성사(贊成事)
문하부(門下府) 소속의 정2품의 관직(官職).
참리(參理)
관직(官職)으로 참지정사(參知政事 : 종2품)를 바꾼 이름.
참지문하부사(參知門下府事)
문하부(門下府)에 소속된 종2품의 관직(官職).
참지정사(參知政事)
중서문하성(中書門下省)의 종2품의 벼슬.
천호(千戶)
순군만호부(巡軍萬戶府 : 후에 의금부)에 소속된 관리.
첨사(詹事)
동궁(東宮 : 세자 궁)의 종3품의 벼슬.
첨서원사(添書院使)
중추원 소속의 정3품의 벼슬.
첨절제사(僉節制使)
첨사(僉使)의 원래의 관직(官職).
총제사(摠制使)
삼군도총제부(三軍都摠制府)의 관직. 재신(宰臣) 이상이 맡음.
치과교위(致果校尉)
정7품 상(上)의 무산계(武散階).
치과부위(致果副尉)
정7품 하(下)의 무산계(武散階).
카
타
태보(太保)
삼사(三師)에 속한 정1품의 관직(官職).
태부(太傅)
태사(太師)
통사(通事)
내시부(內侍府)에 속한 9품의 벼슬. 문하부(門下府)에 속한 이속(吏屬).
통사랑(通仕郞)
9품의 문관관계(文官官階).
통의대부(通議大夫)
시대에 따라 정3품에서 정4품까지의 문산계(文散階).
통직랑(通直郞)
시대에 따라 정5품에서 6품 하(下) 까지의 문관관계(文官官階).
통헌대부(通憲大夫)
종2품의 문산계. 조선 때 정2품의 의빈관계.
특진보국삼중대광(特進輔國三重大匡)
문산계(文散階). 정1품 상(上).
파
판관(判官)
5품에서 9품까지의 벼슬.고려 및 조선 때 6품 이상의 지방관직(地方官職).
판사(判事)
각 6부(六部)의 장(長)으로 종1품관. 각 관청의 정3품.
판서(判書)
각 관청의 6조(六曹)의 으뜸벼슬로 정3품관.
판원사(判院事)
중추원(中樞院) 소속의 종2품의 관직(官職).
판전교시사(判典校寺事)
전교시의 으뜸벼슬로 정3품의 관직(官職).
판추밀원사(板樞密院事)
추밀원의 으뜸 벼슬로 종2품.
평장사(平章事)
문하부(門下府) 소속의 정2품의 벼슬. 내사시랑평장사(內史侍郞平章事).
평장정사(平章政事)
중서문하성(中書門下省) 소속의 정2품의 벼슬.
표기대장군(驃騎大將軍)
종1품의 무산계(武散階).
하
학사(學士)
종2품에서 정4품까지의 벼슬.
학사승지(學士承旨)
한림원(翰林院) 소속의 정2품에서 정3품의 관직(官職).
학유(學諭)
국자감(國子監)의 종9품의 관직(官職).
학정(學正)
국자감(國子監)의 정9품의 관직(官職).
한림학사(翰林學士)
한림원(翰林院) 소속의 정4품의 관직(官職).
헌납(獻納)
문하부(門下府) 소속의 5품의 벼슬.
현감(縣監)
지방장관으로 고려 때는 7품. 조선 때는 종6품직.
호부시랑(戶部侍郞)
호부의 정4품 관직(官職).
호장(戶長)
향직의 우두머리.
흥록대부(興祿大夫)
정2품의 문관품계(文官品階).
출처: 한산이씨 목은(牧隱) 이색(李穡)의 후손들 원문보기 글쓴이: 매일하우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