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마추어무선의 교신 방법
1. 아마추어무선 교신(QSO)에서 지켜야 할 사항들
① 아마추어무선국의 허가장에 기재된 바대로 호출부호를 또렷하고 정확하게 밝혀야 합니다.
② 신호리포트는 무선기기의 시그널 미터에 의한 것이 나니라 주관적인 판단에 희한 리포트를 통보하여야 합니다.
③ 이름 주소 등에 대하여 자신을 소개하고 임시 이동 중일 때는 현재의 위치를 알려주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④ 사용하는 기기의 출력, 사용안테나 형식과 높이 등을 소개하되, 사용하고 있는 무선기기의 자랑은 가급적 피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⑤ 교신 일지(Log)를 기록하고, 교신증(QSL)을 발급합니다.
⑥ VHF/UHF 밴드의 차량이동국의 경우, 송신출력은 가급적 10W 이하로 낮은 것이 바람직합니다. 운용자의 1.5m 정도 뒤에 안테나가 있기 때문에 거기에서 발생되는 전자파가 <뇌(腦)> 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가 있기 때문입니다.
2, 아마추어무선 교신에서의 금기(禁忌) 사항 ⇨ 아마추어무선사의 준수사항 참조
3, HF 및 VHF/UHF Band에서 전파 발사전의 준비
가. 전파발사전의 조치
① 아마추어무선사로서의 기본적인 준비, 즉 안테나, 전원, 송수신기, 시계 등의 이상유무를 확인하고, 교신일지와 콜북 등을 준비하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햄생활을 즐겁게 할 수 있는 첩경이며, 교신을 여유 있고 원활하게 하는 방법입니다.
② 전파법 제45조에 <무선국은 상대국을 호출하고자 할 때에는 전파를 발사하기 전에 수신기를 최량감도로 조정하여 자국이 발사하고자 하는 전파의 주파수 기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주파수에 의하여 청취하고 다른 통신에 혼신을 주어서는 아니 하는 것을 확인하여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습니다.
나. 주파수의 확인
그러므로 각 밴드에서 충분한 시간동안 워치(watcg)하고, 사용하고자 하는 주파수의 상황을 확인합니다.
1. HF Band의 주파수 확인 :
① 3.5, 3.8, 7, 10, 14, 18, 21, 28MHz의 단파대에서의 주파수 확인은, 교신을 하고자 하는 주파수에서 충분한 시간(10분이상) 동안 청취(watch)하여, 그 주파수는 현재 누구도 사용하고 있지 않다는 것을 확인 후 그 주파수에서 CQ호출을 하여야 합니다. 그러나 충분한 시간동안 청취할 수 없는 상황에서는 사용하고자 하는 주파수에서 <QRL?>( Is this frequency in use?) 또는 <Is this frequency occupied?>라는 메시지를 내어 주파수가 비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 Tr식 Rig는 전원을 넣자마자 송수신 상태가 되므로, 주파수 확인 후 곧 송신이 가능하지만, 진공관식 Rig는 전원을 켠 후 진공관의 필라멘트가 가열되어야 송신이 가능하므로 어느 정도의 시간이 필요하다는 것을 염두에 둘 필요가 있습니다.
2. VHF/UHF Band의 주파수 확인 :
① VHF/UHF Band의 송수신기의 전원을 켜고, 교신하고자 하는 주파수에서 충분한 시간(적어도 10분 이상) 동안 청취하고, 그 주파수가 현재 누구도 사용하고 있지 않다는 것을 확인 후에 호출주파수에서 CQ호출 또는 특정국을 호출하고 곧장 그 주파수로 이동하여 응답자가 있는지를 확인 합니다. 그러나 충분한 시간 동안 청취할 수 없는 상황에서는 <이 주파수 사용하십니까?>라고 확인하는 경우도 있으며, 어떤 방법으로건 그 주파수가 사용하고 있지 않나는 것을 확인 후 호출주파수에서 호출하고 그 주파수로 이동하여 응답자를 확인 합니다.
② 호출주파수에서 CQ호출 또는 특정국을 호출하기 전에 사용여부를 확인한 주파수가 145.06MHz라고 한다면, 다음과 같이 호출합니다.
ⓐ CQ호출 : < CQ여기는 Hotel Lima 5 Bravo Delta Yankee, HL5BDY입니다. 145.06에서 수신합니다.> 전파법시행규칙 46조 - CQ 1회, 여기는 1회, 호출부호 2회
ⓑ 특정국 호출 : <HL5FHR, 여기는 Hotel Lima 5 Bravo Delta Yankee, HL5BDY입니다. 145.06에서 수신합니다.>(전파법시행규칙 46조 - CQ 1회, 여기는 1회, 호출부호 2회)라고 호출을 합니다.
③ 반드시 KARL BAND PLAN 에 의하여 사용하지 않는 주파수에서 그 사용여부를 확인한 후, 호출주파수에서 CQ호출 또는 특정국을 호출을 하여야 한다는 점이 햄 생활에서 가장 중요한 포인트 이며, 즐거운 햄 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첩경이라는 점을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처음부터 습관이 잘 못 들면, 좀처럼 고쳐지지 않으므로 햄 생활을 시작하면서 사정이 허락한다면 처음 6개월 정도는 교신 내용을 녹음을 하였다가 한가한 시간에 재생시켜 들으면서 잘못된 습관을 고치도록 노력하시기 바랍니다.
④ 이 때, 교신을 원하는 주파수에서 적어도 10분 이상 청취하여야 합니다. 왜냐하면, 만일의 경우, 같은 지역의 A라는 무선국이 B라는 DX국과 교신을 하고 있다고 가정한다면, 청취하는 무선국에서는 A무선국의 신호는 들을 수 있지만, DX국인 B무선국의 신호는 들을 수 없는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경우, 청취하고 있는 무선국이 주파수를 확인할 그 시간에 DX국의 B무선국이 송신을 하고 있다면, 그 주파수는 교신을 하고 있지 않은 주파수로 오인할 수가 있으므로 DX국의 B무선국이 같은 지역의 A무선국에게 마이크가 넘어 올 수 있는 충분한 시간 동안 청취를 하여 「주파수 사용 여부」를 확인한 후 결정을 하여야 합니다.
⑤ 요즈음의 현대인들은 불과 몇 분 동안만이라도 청취를 할 수 없을 정도로 인내심이 부족하여, 주파수를 확인하지 않고 교신하고 있는 주파수에서 2중으로 전파를 발사하는 경우가 허다합니다. 어떤 방법으로든 주파수 사용여부를 확인한 후 교신을 하도록 습관화하여야 하며, 호출주파수에서 CQ호출을 하면서 교신할 주파수를 미리 지정하여, 더 많은 무선국이 CQ 호출을 할 수 있도록 그 지방의 얼굴인 호출주파수를 확보하도록 다 같이 노력하도록 신경을 썼으면 합니다.
3. VHF/UHF Band의 호출 및 비상주파수 :
145.500 MHz. 144.100 MHz, 438.500MHz
가. VHF BAND
① 호출주파수(Calling Frequency) 및 비상주파수 : 145.000 MHz:
② 제2비상주파수 : 144.100 MHz, 145.500 MHz
나. UHF BAND
① 호출주파수(Calling Frequency) 및 비상주파수 : 438.000 MHz:
② 제2비상주파수 : 438.500 MHz
다. HF BAND : 호출주파수가 별도로 지정되어 있지 않으므로 KARL BAND PLAN에 의거하여 각 모드(Mode)별 주파수 범위 내에서 주파수의 사용여부를 확인한 후 임의의 주파수에서 CQ호출 및 특정국 호출을 할 수 있습니다.
4. HF대 및 VHF/UHF BAND에서의 호출
① HF대 및 VHF/UHF대에서의 호출은 ⓐ CQ 호출과 ⓑ 특정국의 호출방법이 있습니다.
② CQ는 영어의 Come Quickㅣy의 약어로, ARRL의 자료에 의하면 「CQ means ‘I wish to contact any amateur station.’」입니다.
CQ호출은 불특정 다수의 무선국을 부르는 것이며, 그 신호를 수신하는 어떤 무선국과도 교신하기를 희망한다는 것입니다.
Table 12. HF 및 VHF/UHF Band에서의 CQ호출(전파법 시행규칙 제 46조(호출) 참조)
주 파 수 대 | CQ | DE | Call Sign | K |
단 파 대(HF) | 3회 이하 | This is... 1회 | 3회 이하 | Over 0회 |
초단파대(VHF)/극초단파대(UHF) | 1회 | 여기는 1회 | 2회 | Over 0회 |
✌전파법 시행규칙 제 46조 제5항 제1호 : VHF/UHF의 호출방법
✌전파법 시행규칙 제 46조 제5항 제2호 : HF의 호출방법을 규정하고 있습니다.
③ 전파법 시행규칙 46조에서는 HF, VHF/UHF 밴드에서 CQ 호출 또는 특정국 호출시에는 자국의 호출부호 뒤에 Over는 붙이지 않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상대국과 교신이 성립된 후 교신 중에는 상대방에게 마이크를 넘길 때 전파상태가 양호한 근거리 교신(Local QSO)에서는 <상대방의 호출부호 + 여기는 + 자신의 호출부호 >를 말하면 마이크를 상대방에게 넘긴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굳이 송신 종료의 뜻으로 ‘Over’를 붙이지 않아도 무방합니다.
그러나 HF대의 DX교신이나 VHF/UHF 대에서도 전파상태가 나빠서 상대방이 마이크를 넘겼는지 안 넘겼는지를 분간할 수 없는 경우에는 호출부호 또는 대화 뒤에 ‘Over’를 붙여서 송신종료를 명확하게 알려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가) HF Band CQ호출 :
「CQ, CQ, CQ, This is HL5BDY, Hotel Lima five Bravo Delta Yankee, HL5BDY, CQ and Standing by」
「CQ, CQ, CQ, 여기는 HL5BDY, Hotel Lima five Bravo Delta Yankee, HL5BDY입니다. 수신합니다.」
④ 이 경우, CQ호출이나 특정국의 호출에서 「CQ and Standing by」나 「수신합니다」라고 하는 것은 송신의 종료를 의미하므로 그 뒤에 또 한번 더 송신종료를 알이는 ‘Over’는 필요가 없으므로, 붙이지 않는 것이 바람직 합니다.
⑤ 「CQ and Standing by」 대신에 「CQ and Listening」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⑥ HF대에서는 CQ의 법정 회수가 3회 이항 이므로 자신의 판단에 따라 1회~3회까지 임의로 조정 가능합니다.
⑦ 단파대에서 DX교신이 이루어지면, 가장 중요한 것이
ⓐ 서로의 호출부호이며, 신호 리포트입니다.
ⓑ 그 다음에 사정이 허락되면 서로의 핸들(이름 이외의 별칭)이나, 이름, 주소 등을 주고받는데, 혹자는 호출부호, 신호 리포터만 주고받으면 그 다음에는 「QSL?」이라고 억양을 올려서 말하고, 교신을 끝내려고 합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이쪽에서도 <QSL>이라고 억양을 내리면서 응답을 하면서 교신을 끝내는 것이 좋다. 상대방이 「QSL?」이라고 하는 뜻은 「당신은 나에게 교신증을 보내 주시겠습니까?」 또는 「저와의 R 신을 확인하여 주시겠습니까?」라는 뜻이며, 이쪽에서 「QSL」이라고 응답을 하는 것은 「저도 교신증을 보내드리겠습니다.」 또는 「교신을 확인합니다.」라는 뜻입니다.
⑧ HF(단파대)에서도 근거리/원거리의 호출에서 「당국(×)의 신호 입갑(카피)되는 스테이션 계시면 응답바랍니다.」라는 등등의 표현은 주로 일본국이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이것 역시 필요 이상의 군더더기 이므로 가급적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그러나 항상 위와 같이 호출하다가 간명하게 호출하게 되면, 처음에는 뭔가 서운한 느낌이 들겠지만, 그 호출방법이 익숙하게 되면 새로운 맛을 느낄 수 있을 것입니다. 그리고 항상 호출은 「짧고 간단 명료하게」하여야 하며, 「on the air」에서의 잘못된 한마디 한마디는 또 다른 앵무새 햄을 유발시킨다는 것을 명심하여, 교신 중에 하여야 할 말과 하지 않아야 할 말을 구분할 줄 아는 햄, 그리고 후배에게 모범을 보일 수 있는 햄이 되도록 다 같이 노력하여야 할 것입니다.
⑨ 특정국 호출(Schedule QSO) : 호출은 항상 간단명료하게 하고, 끝에 「Over」는 붙이지 않습니다.
「CQ Schedule, CQ Schedule, CQ Schedule This is HL5BDY, Hotel Lima five Bravo Delta Yankeecalling JA1PFJ Juliet Alfa one Papa foxtrot Juliet calling and listening (standing by)」
✌ 이 경우에도 특정국의 호출에 해당하므로 끝에 ‘Over’는 붙이지 않습니다.
4, 호출부호의 전송과 법파법규 관련
가. 전파법 시행규칙
① [전파법 시행규칙 제 195조]에 「아마추어국은 그 전송 중 짧은 간격을 두고 그 호출부호를 전송하여야 한다.」라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여기에서의 짧은 간격이라함은 전화 1통의 시간인 [3분]정도의 시간으로 간주하는데, 교신 중 적어도 3분 정도의 간격을 두고 자신의 호출부호를 말하여야 한다.」라고 이해하면 좋을 것입니다.
그러면 제 3자가 교신 중인 주파수를 청취(watch)할 때, 그 주파수에서 어느 무선국과 어느 무선국이 교신하고 있는가를 인지(認知)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② 차리리 「서픽스」만을 주고 받으려고 한다면, 「아예 3분 이하의 시간에서는 오우버어(Ovwe)로써 마이크를 넘기면서 교신하라.」고 권고하고 싶습니다.
왜냐하면, 3분 정도 사이에 짧게 짧게 어떤 질문 등을 주고받을 경우에는 그 질문 뒤에 「Over」를 붙여서, 마이크를 넘기고, 여유 있는 시기에 자신들의 호출부호를 정확하고 또렷하게 한 번만이라도 말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 교신법이고, 후배들에게 모범을 보일 수 있는 방법이기 때문입니다.
“어디가십니까?”Over
“서울갑니다. Over
“언제 오십니까? Over
“내일 오후쯤에 내려올 겁니다. Over
③ VHF/UHF 밴드에서의 교신을 들어보면, 서로의 호출부호를 주고받는데, 너무 많은 시간을 허비하고 있다는 느낌을 받을 때가 많습니다. 마이크를 넘기는 무선국이 「상대국의 호출부호」를 부르고 「여기는 HL5BDY입니다.」라고 하면, 이것은 「저의 이야기는 끝났으니, 마이크를 넘깁니다. 마이크를 받으십시오.」라는 뜻이므로, 굳이 「마이크 넘깁니다.」, 「마이크 받으십시오.」라는 말은 하지 않아도 자연스럽게 상대국이 마이크를 넘겨받아서 교신을 할 수가 있습니다. 그런데, 마이클 받은 무선국이 또다시 「상대국의 호출부호」를 부르고 「여기는 DS5XYZ입니다.」라고 자신의 호출부호를 말한 후 이야기를 시작하는 것이 거의 관례가 되어 있습니다.
아주 짧은 시간, 즉 간단한 물음이나 몇 십초 동안 말하고, 마이크를 넘기고 받을 때마다 서로의 호출부호를 말하게 되면, 서로 간에 주고받은 「정보」나 「대화의 내용」보다는 서로의 호출부호를 말하는데 소비된 시간이 더 많게 되어 귀중한 시간을 소비하게 되므로, 그 교신은 비경제적이 되는 경우가 허다합니다.
④ 이와 같은 경우, 좀 더 그 교신을 경제적으로 운용할 수 있도록 기지(奇智)을 발휘하는 햄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상대방이 굳이 짧게 이야기 하거나 어떤 질문을 한 후 서로의 호출부호를 말하면서 마이크를 넘긴다면, 마이크를 받는 무선국은 또다시 서로의 호출부호를 말하지 말고, 질문에대한 응답만을 하고 「Over」라고 하면서 마이크를 넘기거나, 근거리통신(Local QSO)에서는 그냥 PTT를 놓으면서 마이크를 넘기도 좋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 그리고 평상적인 교신에서도 마이크를 넘기는 무선국이 서로의 호출부호를 말한 후 마이크를 넘기면, 마이크를 받는 무선국은 단순히 「여기는 HL(DS, 6K)□ ○○○입니다.」라고 자신의호출부호만을 말고 대화를 계속하도록 하는 것을 권고합니다. 그러면 제3자가 그 교신을 청취하더라도 어는 무선국과 어느 무선국이 교신 중이라는 것을 충분히 인지(認知)할 수가 있을 것이므로 이 점을 충분히 혜량(惠諒)하시어 널리 홍보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⑤ 위의 내용을 이해하신다면, 어느 정도의 시간이 경과하고, 햄의 경력이 쌓이게 되면, 교신 당사자 스스로 그 교신을 컨트롤할 수 있는 능력이 형성되어 짧은 간격을 두고 충분히 자신의 호출부호를 전송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교신 상대방에게 마이크를 받을 수 있는 여유시간을 주기 위한 예고로써 할 경우에는 「마이크를 넘기겠습니다.」라고 전한 후 마이크를 넘기는 것이 바람직할 것입니다.
5, 호출주파수에서의 바람직한 CQ호츨 방법
가. 먼저, 교신하고 있지 않은 주파수를 찾은 후 호출 주파수에서 CQ호출을 합니다.
나. 「CQ여기는 HL5BDY, Hotel Lima five Bravo Delta Yankee. 145.12에서 수신합니다.」라고 간명(簡明)하게 호출하고, 지정한 주파수로 이동하여
다. 「QRZ? 여기는 HL5BDY입니다.」라고 2회 정도 반복 후 응답무선국이 있으면 교신하고, 만일응답국이 없을 경우에는 다음에 설명하는 「응답이 없을 때의 호출] 방법에 따리 재호출 한다.
✌「QRZ?」=「누가 나를 부르고 있습니까?(Is someone calling me?)」라는 의미입니다.」
라. 호출주파수에서 「수신합니다.」와 「QSY」의 구분
① 호출주파수에서 「CQ호출」이나 「특정국 호출」을 할 경우에는 끝에 「수신합니다.」라고 하여 송신의 종료를 알리는 것이고, 호출시 지정한 주파수에서 상대국을 만나 교신이 이루어진 후에 전파상태가 악화되어 다른 주파수로 옮길 때는 「QSY」라고 합니다.
② 그런데, 호출주파수에서 CQ호출이나 특정국을 호출하여, 아직 상대국과 교신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145.12 MHz QSY」라고 하는 것은 잘못입니다. 왜냐하면, 이것은 호출주파수에서 바람직하지 못한 방법으로 호출을 하였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이며, 정상적인 방법으로 호출을 하였다면, 호출주파수에서는 「QSY」라는 용어를 사용할 필요가 없는 것입니다.
마. 호출주파수에서의 바람직한 근거리(Local) CQ호출 – 호출은 간단 명료하고 끝에 Over붙이지 않음
①“CQ 여기는 HL5BDY, HL5 Bravo Delta Yankee(입니다). 145.06에서 수신합니다.”
②“CQ 여기는 HL5BDY, HL5 Bravo Delta Yankee(입니다). 145.06에서 응답바랍니다. 수신합니다.”
그러나 근거리 교신에서 호출부호를 1회 전송하더라도 상대국이 충분히 인지할 수 있는 상태의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할 수도 있습니다.
③“CQ 여기는 HL5BDY(입니다). 145.06에서 수신합니다.”
④“CQ 여기는 HL5BDY(입니다). 145.06에서 응답바랍니다. 수신합니다.”
✌ ②,④와 같은 호출보다는 가급적이면 ①, ③과 같은 방법으로 호출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이 경우도 「수신합니다.」는 송신의 종료를 의미하므로 그 뒤에 「Over」를 붙이지 않아야 합니다.
✌KARL BAND PLAN에 의하면 VHF/UHF대에서 교신할 수 있는 주파수는 대략 다음과 같습니다.
① VHF대 : 144.800~145.100 15 channel, 145.200~145.600 20 channel 총계 35개 channel
② UHF대 : 432.100~433.480 69 channel 총계 69개 channel
✌ 이것은 무선기기에서 20kHz(0.02MHz) 단위로 설정을 하고 있으며, 스텝(Step)이라 칭함.
바. 호출주파수에서의 바람직한 원거리(DX) CQ호출 – 호출은 간단 명료하게 하고 끝에 Over는 붙이지 않음
①“CQ DX 여기는 HL5BDY, HL5 Bravo Delta Yankee(입니다). 145.06에서 수신합니다.”
②“CQ DX 여기는 HL5BDY, HL5 Bravo Delta Yankee(입니다). 145.06에서 응답바랍니다. 수신합니다.”
그러나 원거리 교신 또는 임시 이동운용시에서는 교신을 희망하는 지역을 호칭하거나 이동위치(지역)을 나타낼 수도 있습니다.
③“CQ 포항 여기는 HL5BDY, HL5 Bravo Delta Yankee대구입니다. 145.06에서 수신합니다.”
④“CQ 포항여기는 HL5BDY, HL5 Bravo Delta Yankee대구입니다. 145.06에서 응답바랍니다. 수신합니다.”
⑤“CQ여기는 HL5BDY 포러브을, HL5 Bravo Delta Yankee 지리산 정상입니다. 145.06에서 수신합니다.”
사. 호출주파수에서의 바람직한 특정국 호출 – 호출은 간단 명료하게 하고 끝에 Over는 붙이지 않음
①“코을링(Calling) HL5FHR 여기는 HL5BDY, HL5 Bravo Delta Yankee. 145.06에서 수신합니다.”
②“코을링(Calling) HL5FHR 여기는 HL5BDY(입니다).145.06에서 수신합니다.”
③ 특정국을 호출하면서 코을링(Calling)이라고 하는 것은 「CQ호출」과 구분하기 위함이며, 또한 「특정국의 호출」과 「교신 중 마이크를 넘기는 것」을 구분하고 식별하기 위함입니다.
어떤 주파수에서 단순히 「DS1ABC 여기는 DS2XYZ」라고 하였다면, 어떤 햄이 무선기기의 전원을 넣자마자 그 신호를 수신하였을 경우에는 그 주파수에서의 전후 상황을 알 수가 없으므로
ⓐ 「DS1ABC」국이 「DS2XYZ」국에게 마이크를 넘겼는지 또는
⒝ DS2XYZ」라는 무선국이「DS1ABC」국을 호출하고 있는 것인지를 분간할 수가 없을 것입니다.
물론 잠시 그 주파수를 워치하게 되면 전, 후 사정을 파악할 수가 있겠지만, 특정국을 호출하는 경우에는 가급적 「Calling」을 전치하고, 특정국을 호출하는 깃이 보다 바람직한 호출방법이라고 사료됩니다.
예전에는 CW에서 특정국의 호출 시에는 「CP」를 사용하였으나, 지금은 거의 사용되지 않고 있는 실정입니다.
아. 호출주파수에서의 바람직한 특정 네트 호출 – 호출은 간단 명료하게 하고 끝에 Over는 붙이지 않음
①“CQ 동그라미네트 여기는 HL5BDY, 145.10에서 수신합니다.”
✌ 그러나, 이와 같은 특정 네트의 호출에는, 아직 이와 같은 호출방법에 익숙하지 않은 타 무선국에게 거부감을 불러일으킬 수가 있으므로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호출하는 것도 고려할 수가 있습니다. 여기에서 「동그라미 네트」라고 하는 것은 「그 신호를 수신한 동그라미 네트 회원이나」 또는 「동그라미네트의 교신에 참여하고자 하는 모든 무선국을 호출」하고 있다는 의미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② “CQ 스케쥴(Schedule). 여기는 HL5BDY입니다. 동그라미회원은 응답바랍니다. 145.10에서 수신합니다.」라고 할 수도 있습니다.
자. 호출주파수에서의 바람직한 다수의 특정국 호출 - 호출은 간단 명료하게 하고, Over는 붙이지 않음
①“콜링 DS5UWJ, HL5NWF, HL5NFC, 여기는 HL5BDY(입니다). 145.06에서 수신합니다.”
✌ 흔히, 특정 무선국을 여러 국 호출할 때, 일본 햄들이 많이 사용하는 「각국(各局)」이라는 표현을 흉내내어 사용하는 무선국이 있는데, 이것도 군더더기로서 하루 빨리 버려야 할 일본식 표현입니다.
6, 바람직하지 못한 예들
가. 바람직하지 못한 호출부호의 사용 및 발음
① 호출주파수에서 「EHW EHX」라고 하면, 「HL3EHW」를 호출하는 것인지 「HL5EHW」를 호출하는 것인지를 알 수가 없으며, 교신하고 하는 주파수를 지정하지 않아 바람직하지 못합니다.
✌이것은 「코을링 DS5EHW 여기는 DS5EHX입니다. 145.12에서 수신합니다.」라고 주파수를 지정하여 특정국을 호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렇지 않으면, 「전파법 제39조」, 「전파법 시행규칙 제36조 및 46조」에 위배되어 위법합니다.
② 원탁교신(Round Table QSO)에서 「HL5FHR, 사이드(x) AXK, BBD 여기는 BDY」라고 하면, 「HL5FHR」국과 교신하고 있는 무선국이 HL5AXK인지, HL5BBD인지 DS5BBD인지 또한 마이크를 넘긴 무선국이 HL5BDY인지, DS5BDY(DS1BDY, DS2BDY, DS3BDY, DS4BDY)국인지를 분간할 수가 없으므로 호출부호는 허가장에 기재된 바대로, 「프리픽스(Prefix)」와 「서픽스(Surfix)」 모두를 정확하게 발음하고 분명하게 밝혀야 합니다. 그리고 여기에서 「사이드」 또는 「옆에」라는 용어는 바람직하지 못합니다. 이것은
ⓐ “HL5FHR, DS5AXK, HL5BBD 여기는 HL5BDY입니다.” 또는
ⓑ “HL5FHR, 그리고 DS5AXK, HL5BBD 여기는 HL5BDY입니다.”라고 하거나
ⓒ “HL5FHR, 그룹(Group) 여기는 HL5BDY입니다.” 또는
ⓓ “HL5FHR, 앤~드 그룹(and the group) 여기는 HL5BDY입니다.”또는
ⓔ “HL5FHR, 위~드 그룹(with the group) 여기는 HL5BDY입니다.”라고 하거나
ⓕ “HL5FHR, 그리고 함께하는 여러분 여기는 HL5BDY입니다.”라고 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③ 호출주파수에서
ⓐ ABC XYZ
ⓑ 교신 중 마이크를 넘길 때,ABC XYZ라고 한다면 전파법에 위배됩니다.
이것은 ⓐ′「calling, DS1ABC 여기는 DS1XYZ입니다. 145.12에서 수신합니다.」라고 하고
ⓑ′「DS1ABC 여기는 DS1XYZ입니다.」라고 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④ 교신 중 마이크를 넘기면서 「ABC Over」라고 하는 것도 자신의 호출부호를 송출하지 않았기 때문에 전파법에 위배됩니다. ④′이것은 마이크를 넘기면서 「DS1ABC 여기는 DS1XYZ입니다.」라고 하여야 바람직한 교신 방법입니다.
⑤ 「DS5EHW」국을 발음함에 있어, 「디 에스 파이브 이 에이치 위스키」라고 발음하는 것도 잘못된 습관이다. 「디 에스 파이브 이 에이치 더뷰(더브을 유)」라고 하든지 「디 에스 파이브 에코우 호우테을 위스키」라고 발음하여야 합니다.
✌이것 역시 「전파법 제39조」 및 전파법 시행규칙 제36조」에 위배되어 위법합니다.
✌아마추어무선의 교신에서 HL5BDY의 호출부호를 「에이치 에을 파이브 브라보우 델터 앵키이」라고 발음하는 것이 원칙이나, 이 Phonetic code는 음성통신에서 alphabet 발음만으로는 상대방이 알아듣지 못하는 경우, 또는 그 호출부호 중에 식별하지 곤란한 문자(M과 N, P와 F 등)가 있는 경우에 사용합니다. 그러나 호출부호 중 「HL」과 「DS」는 그 인식에 착오가 발생할 우려가 없으므로 굳이 「HL」을 「호우테을 리이머」, 「DS」를 「델터 시에러」라고 Phonetic code로 표현하지 않아도 좋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나. 바람직하지 못한 주파수 숫자의 발음
① 호출주파수에서 CQ호출 또는 특정국을 호출하는 경우에 교신할 주파수를 지정하면서 그 주파수의 숫자, 즉 145.100MHz를 발음함에 있어, 「510(오백십)」, 144.900MHz를 「490(사백 구십)」 등으로 표현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② 이것은 원칙적으로 145.100MHz(일사오쩜 일공공), 144.900MHz(일사사 쩜 구공공) 등으로 불러야 하나, VHF밴드에서 140MHz대라는 것은 공통된 주파수대이므로, 「14(일사)」는 공통의 숫자는 생략하여 「145.02MHz ⇨ (일사) 오공이, 145.04MHz ⇨ (일사) 오공사, 145.06MHz ⇨ (일사) 오공육, 145.08MHz ⇨ (일사) 오공팔, 145.10MHz ⇨ (일사) 오일공, 145.12MHz ⇨ (일사) 오일이」 등으로 표현하고 있으나 이것도 통일된 안이 정립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③ 그러나 상대방이 숫자를 인지하지 못한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숫자 구문통화표」에 의거 재인식시킬 필요가 있습니다.
<표 > 숫자 구문통화표
1 | 2 | 3 | 4 | 5 | 6 | 7 | 8 | 9 | Ø | . | , | ( | ) |
하나 | 둘 | 삼 | 넷 | 오 | 여섯 | 칠 | 팔 | 아홉 | 공 | 마침표 | 쉼표 | 괄호열고 | 괄호닫고 |
다. 바람직하지 못한 억양(Intonation)과 발음
① Roger(라저어, 로저어) : 마이크를 넘겨 받자 마자 습관적으로 이 용어를 사용하는 분들이 많은데, 로자, 로저와 같이 뒷음절에 강세가 있는 것이 아니라 앞음절 「라」와 「로」에 강세를 주어 입술모양을 둥글게 하여 「라」와 「로」를 발음하면서 뒤끝의 억양은 내려서 발음하여야 합니다.
② 우리말이나 영어에서 뒤끝을 올리는 것은 뭔가를 물을 때 의문문의 형태에서는 억양을 올려서 말하나, 「Roger(라저어)」의 뜻은 「당신이 하는 말은 모두 알아들었다(OK, All right)」은 의미이므로 억양을 내리면서 「라저어」 또는 「로저어」로 발음하는 것이 바람직 합니다.
③ 그러나 이 용어는 가급적 아껴서, 가끔 한번씩 적재 적소에 사용하면 교신의 분위기가 더욱 돋보이게 될 것입니다.
④ Over(오우버어, 오버, 오바) : 이것도 위와 같은 이치(理致)입니다. 이 「Over」는 교신에서 송신 종료를 의미하므로, 뒤끝의 억양은 내리면서 발음하되, 「ㅂ」의 발음은 「B」가 아니라 「V」의 발음으로 정확하게 하여야 합니다. 그런데 거의 대부분 Over가 아니라 「Ober」로 발음하고 있습니다.
이 「V」는 「F」와 같이 윗입술과 아랫입술이 닿지 않도록 하되, 아랫 입술이 윗 이빨에 가볍게 닿도록 하여 「오우버어������」 또는 「오~버어������」로 발음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11, 바람직한 자기소개(성명, 주소, Rig, 출력 등)
가. 호칭 : OM, YL 등
① OM님 : 이것은 「Old Man」의 약자로서, 흔히 OM이라고 하면 「햄의 경력이 오래된 분을 일컫는다.」고 오인(誤認)하고 있는 분이 많은데, 우리말의 「~씨」, 「~님」의 뜻도 포함되어 있다고 하므로, 「국장님」이라는 호칭보다는 「OM님」이라는 호칭이 더 친근감이 있어 바람직한 호칭이라고 생각됩니다. 그러나 이 용어는 남자에 한하여 사용하여야 하되, 최근에 개국한 햄의 초보자에게도 「OM」이라고 부를 수 있다는 것을 기억하기 바랍니다.
② 「YL」님 : 이것은 「Young Lady」의 약자로서 교신에서의 상대방이 여성일 때 무리없이 사용할 수 있는 용어입니다. 그 상대방이 여중생이든 여대생이든, 결혼한 여성이건, 또는 나이 많은 할머니건 모두 통칭하여 「YL님」이라고 부를 수 있다. 그러나 자녀 중의 따님을 결코 「YL」이라고 부르지 않는 다는 것을 기억하여야 할 것입니다.
③ 「~님」과 「~씨」 : 남성이건 여성이건 그 서픽스 뒤에 「님」이나 「씨」를 붙여서 사용하는 것도 좋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예를 들면 「BDY님」 또는 「BDY씨」라고 하는 것도 무난할 것이나, 이것보다도 「OM님」 또는 「OM」이 햄에게는 더 정감이 가고 무난할 것으로 생각합니다.
④ 「국장님」 : 이 국장(局長)이라는 용어는 일본 무선국 사이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어, 일본으로부터 국내로 전파되어 통용되고 있는 용어 중의 하나인데, 다른 나라에서는 존재하지 않는 용어입니다. 「아마추어무선국의 장(長)」이라는 차원에서 본다면 개긴국 보다는 오히려 단체국에서, 여러 명의 운용자(Operator) 중의 장(長)을 「국장(局長)」이라고 하는 것은 타당성이 있다고 생각됩니다. 그러나 개인국에서는 그 운용자가 혼자이므로 우두머리(長)의 개념을 적용시키기에는 합리성이 결여되어 보입니다. 그러므로 그 무선국을 운용하는 운용자(Operator)라고 호칭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지만, 이것도 언어의 관습에서 오는 차이라 생각되어 차리리 「OM(Old Man,~씨, ~님)으로 부르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것입니다.
⑤ 「OT님」 : 일반적으로 「30년 이상 햄 생활을 하신 OM을 일컫는다」고 합니다만, 이는 「Old Timer」 또는 Old Top」의 약어로서 OM보다는 햄 경륜이 많은 분들의 호칭에 사용한다고 생각하였습니다. 그러나 미국에 계신 「HM1AJ 조동인 OM」께 이 「OT님」의 호칭을 사용하였다가 호되게 나무람을 들었습니다. 햄 용어에는 「OT」는 없으니 자신에게 두 번 다시 「OT」라는 호칭을 사용치 말라는 경고를 들었습니다. 언제부터인가 연맹의 행사에서 이 「OT님」의 용어를 사용하고 있는데, 이것에 대하여 검정을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 혹자는 「OM」도 존칭인데, 거기에 「님」자를 붙이는 것은 「역전(驛前) 앞」과 같다고 하는 분이 계셨습니다. 그렇다면 「국장(局長)」에 「님」자를 붙여 「국장님」리라고 하는 것도 마찬가지일 것입니다. 그러나 이것은 우리말의 언어 습관상 어느 회사에서 사원이 사장보고 「김사장」, 「박사장」이라고 하지 않고 「김사장님」, 「박사장님」이라고 하지만, 사장님께서는 부하 직원에게 「김계장」, 「김과장」, 「김부장」이라고 부르고 있는 우리 언어의 관습에서 유래된 것이라고 생각하여야 할 것입니다. 그러나 연령적으로 손윗 분이 손아래 사람에게 「BDY OM」이러고 하는 것도 무난할 것으로 생각합니다.
✌ 영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나라에서는 그들의 언어 관습대로 「존칭」이 거의 없으므로, 우리가 사용하는 호칭을 사용하지 않고 서로 상대방의 「이름」이나 「성」을 부르고 있는 것을 상기하여야 합니다.
✌ 「XYL」은 교신 상대국의 호칭으로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단지, 「자신의 아내」 또는 제3자의 「아내」를 호칭할 때만 사용합니다.
나. CQ호출시의 자기 소개 및 신호 리포트
① CQ호출한 무선국이 먼저 자기소개를 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이 때, 「저의 이름은 홍길동, 클홍, 길할길, 동녘동. 홍길동입니다.」 「그리고 저는 대구시 달서 본동에 살고 있습니다.」라고 소개합니다. 그리고 자세한 것은 「콜북」을 참조하라고 하고, QSL은 본부나 연맹을 통하여 보내달라고 하고, 만일 사서함이 있다면 그 사서함 번호를 알려주면 좋습니다. 만일 상대방이 QSL 발송을 하겠다고 주소를 요구한다면, 그 때에는 자세한 주소를 알려주거나 휴대폰을 알아서 문자로 전송하는 것도 좋을 것입니다.
혹자는 이름을 소개할 때, 「저의 이름은 홍길동, 홍짜 길짜 동짜입니다.」라고 소개하는 것은 「자신을 높이는 것」이어서 잘못이라고 하나, 이것은 얼굴을 마주하여 본인을 소개하는 것이 나이라 서로의 얼굴을 보지 않고 무선을 통하여 소개하고 있는 상황이므로 상대방에게 본인의 이름을 보댜 분명하게 전달하기 위한 수단이라고 생각되어 굳이 잘못이라고 생각되지는 않습니다.
✌ 주소의 번지를 말할 때, 59-5를 [오십구 대쉬(dash) 오」라고 하여야 하며, 대쉬를 하이픈(hyphen)이라고 하는 것은 일본식 표현이므로 착오 없으시길 바랍니다.
✌ 하이픈 : 이음표의 하나. 사전 등에서 파생어·합성어를 나타낼 때, 접사·어미임을 나타낼 때 쓰는 ‘-’의 이름《영어의 ‘하이픈’과 같음》. 접합부(接合符).
② 이동 중인 무선국인 경우에는 자신의 「현재의 위치(location)」를 알려주어야 하고, 송신기의 출력(W)을 알려주는 것이 일반적인 관례입니다. 그런데 교신이 성립되었음에도 「자기소개」는 하지 않고 「다음 마이크 때 소개드리겠다.」는 무선국이 있는데, 이것은 좋지 않은 습관입니다. CQ호출 후 상대방이 응답하여 교신이 이루어지면 가장 먼저 자신의 소개부터 하는 것이 햄으로서의 가장 초보적인 예의입니다.
③ 미국아마추어무선연맹 ARRL의 권고에 의하면, 음성통신에서 가급적 「What is your location?」, 「My location is .....」으로 표현하도록 권장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동 중일 때에는 현 QTH가 어니냐?」고 하기보다는 「현재의 위치가 어디냐?」고 묻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④ 그 다음으로는 상대방의 「신호 리포트」를 알려주어야 하는데, Rig의 시그널 미터의 눈금을 보고 「five one(5/1)」 또는 「five two, five three」라고 주는 것은 잘못입니다.
<Table 12> 신호 리포트의 해독도(Readability)와 신호 강도(Signal Strength)
해독도(Readability) | |
R1 | 해독할 수 없음(Unreadable) |
R2 | 수시로 해독할 수 있음(Barely readable, occasional words distinguishable) |
R3 | 해독은 되나 곤란(Readable with considerable difficulty0 |
R4 | 해독할 수 있음(Readable with practically no difficulty) |
R5 | 완전히 알아들을 수 있음(Perfect Readable) |
강도(Signal Strength) | |||
S1 | 거의 안 들리는 약한 신호 | S6 | 양호한 신호(Good Signal) |
S2 | 아주 미약한 신호(Very Weak Signal) | S7 | 약간 강한 신호(Moderately Strong Signal |
S3 | 미약한 신호(Weak Signal) | S8 | 강한 신호(Strong Signal |
S4 | 대단히 약한 신호(Fair Signal) | S9 | 아주 강한 신호(Extremely Strong Signal |
S5 | 약한 신호(Fairly Good Signal) |
똑 같은 신호를 수신하더라도 무선기기의 종류(모델) 또는 메이커에 따라 그 눈금은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입니다.
위의 예에서 「5/1」, 5/2」, 5/3」는 앞뒤가 맞지 않는 신호리포트입니다.
「해독도 5」는 「완전히 알아들을 수 있음」의 의미이지만, 「S1~S3」는 「거의 안 들리는 약한 신호」, 「아주 미약한 신호」, 「미약한 신호」이므로 상대방의 말을 알아들을 수 없는 것을 뜻합니다.
그러므로 「신호리포트」는 무선기기의 시그널미터의 눈금이 가리키는 수치가 아니라 수신자의 주관적인 판단에 의한 신호리포트를 주어야 합니다. 즉,
ⓐ 상대방의 이야기를 모두 알아들은 경우 : 「Five nine」 즉 5/9이며
ⓑ 상대방의 이야기를 모두 알아들었으며, 강한 신호라고 느끼면 「Five nine Plus」 즉, 「5/9+」를 주면 무난합니다.
ⓒ 알아듣기는 들었으나 약한 신호라고 생각되면 – 「4/4~4/5」(four four ~ four five) 정도로 주어야 하나 이런 신호리포트를 주는 분이 받았다고 입장을 바꾸어 생각하면 그 답은 뻔한 노릇입니다. 더 이상 교신을 계속하기 힘든 상태이므로 재빨리 다음을 기약하고 파인얼을 주고 교신을 끝내는 것이 서로에게 유익할 것이며, 시간은 낭비하지 않는 것일 것입니다.
다. 이동 운용 중의 주의 사항
① 이동운용 중일 경우, 메모가 불가능 한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요즘에는 휴대폰의 녹음기능이 우수하므로 교신내용을 녹음하여 후에 교신일지(LOG)를 정리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것입니다.
② 이동 중인 차량에서는 휴대폰의 사용이나, 핸디 마이크를 이용한 교신은 「도로교통법」에서 금지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차량에서 교신을 하고자 할 경우에는 정차시킨 상태에서 교선을 하거나, 핸디 마이크가 아닌 VOX마이크를 사용하여 교신하되, 항상 안전에 유의하여야 할 것입니다. 주위의 많은 분들이 사고를 당하거나 일으킨 것을 듣고 보아 왔으므로 가급적 운행 중에는 교신을 하지 않는 것이 좋을 것입니다.
③ 상대국이 이동 중이어서 주소를 적을 수 없는 상황인 것을 알면서도 주소를 통, 반까지 상세하게 말하는 것은 상식에 벗어나는 행위이므로 자제하여야 할 것입니다. 상대국으로부터 이동 중인 차량을 정차시켰으므로 메모를 할 수 있으니 주소를 알려달라고 요청할 경우 또는 QSL 발송을 위하여 요구하는 이외에는 자기소개는 간략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④ 국내 교신에서 자기소개를 할 때, 흔히 주소를 아파트 동수와 호수와 전화번호까지 아주 상세하게 일러주는 무선국이 있는데, 가급적이면 자세한 것은 Call Book을 참조하라고 하는 것이 좋으며, 임시 이동시에는 「저의 주소는 ...입니다.」라고 하는 것 보다, 「저는 현재 대구시 달서구 본동에 살고 있습니다.」라고 하는 것이 바랍직 합니다. 왜냐하면, 만일의 겨우 좋지 않은 사고가 발생할 소지가 있으며, 또한 많은 무선국이 피해를 호소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라. 자신을 상대방에게 소개할 때 바람직한 표현방법
① 「저의 이름은 홍길동입니다.」
② 「저의 이름은 홍길동, 클 홍, 길할 길, 동녘 동, 홍길동입니다.」
③ 「저의 이름은 홍길동, 홍 짜, 길 짜, 동 짜, 홍길동입니다.」
혹자는 ③과 같이 소개하는 것은 「자신을 높이는 것」이어서 잘못이라고 말하기도 하나, 이것은 직접 얼굴을 마주하고 대화를 하는 것이 아니라 무선을 통하여 상대방에게 본인의 이름을 보다 분명하게 전달하기 위한 표현이어서 굳이 잘못이라고 생각되지는 않습니다.
마. 자신을 상대방에게 소개할 때 바람직하지 못한 표현
① 「당국의 QRA는 홍길동입니다.」(×)
② 「당국의 핸들네임은 홍길동입니다.」(×)
③ 「당국의 QRA는 홍길동 오펴레이터입니다.」(×)
④ 「당국의 핸들은 홍길동 오피입니다.」(×)
⑤ 「당국의 이름은 홍길동입니다.」(×)
⑥ 「본국의 이름은 홍길동입니다.」(×) ⇨ “저의 이름은 홍 길동입니다.”(○)라고 하여야 합니다.
⑦ 「당국의 QRA는 ~대학 아마추어무선국이구요, 저의 이름은 홍길동 오퍼레이터입니다.」
QRA가 「무선국 명칭」이라고 하여, 각 대학의 단체국에서 사용하고 있으나, 미국아마추어무선연맹(ARRL)에서는 음성통신에서는 가급적 QRA를 사용하지 않도록 권고하고 있으므로 다음과 같이 표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 「저의 무선국 명칭은 ~대학 아마추어무선국입니다. 그리고 저의 이름은 홍 길동입니다.」
ⓑ 「여기는 HLØO , 경북대학교 아마추어무선국입니다. 그리고 저의 이름은 홍길동입니다.」
⑧ VHF/UHF 교신을 들어보면, 「당국의 이름은 홍길동이구요.....」라고 자신을 소개하는 경우를 자주 듣게 되는데, 「당국(본국)의 이름은...」보다는 「저의 이름은...」이라고 표현하고, 아마추어무선에서의 대화는 집안에서 어른들과 대화한다는 마음가짐을 가지고, 대화 중에 「...구요, ...네요, ...좋겠네요, ...같네요」 등의 사용은 가급적 그 횟수를 줄이고, 「...입니다.」, 「...습니다.」, 「...합니다.」라고 표준어를 사용하여 표현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⑨ 또한 「저의 이름은 홍길동 오퍼레이터(Operator)구요」 또는 「저의 이름은 홍길동 오피(OP)구요.」라고 자신을 소개하는 것을 자주 듣게 되는데, 이것도 잘못된 표현입니다. 「저의 이름 홍길동입니다.」라고 소개하여만, 「홍씨 성을 가진 길동」이라는 자연인을 뜻하는데, 「홍길동 오퍼레이터」나 「홍길동 오피」라고 하면, 「홍씨 성을 가진 길동 오퍼레이터」나 「홍씨 성을 가진 길동오피」라는 괴상한 이름이 되어 버립니다. 이것은 「운용자(오퍼레이터)」가 「홍 길동」이지, 결코 「이름」이 「길동오퍼레이터」나 「길동오피」가 아니므로 바람직하지 못한 표현입니다.
⑩ VHF/UHF의 FM방식의 교신에서 자신을 소개할 때, 「QRA」, 「핸들」, 「핸들네임」 등의 용어를 사용하는 무선국이 많은데, 이것은 순전히 「앵무새 햄」의 잘못된 표현이므로, 가급적 흉내 내지 않길 기대합니다.
바. 자신이 사용하고 있는 무선기기의 소개 등
① 자신이 사용하고 있는 무선기기의 출력과 안테나 종류 및 높이 등을 소개합니다.
② 그러나 사용하고 있는 Rig 등을 소개하라는 것은 「어느 회사의 어느 모델」 또는 무선기기의 대수(臺數)를 자랑하라는 것이 아닙니다. 그러데 흡사 자신의 부(富)를 과시라도 하듯, 메이커를 들먹이면서 주워대는 리그 자랑은 「나는 돈마추어」라고 광고하는 것과 같으니, 일본상품의 세일즈맨은 되지 않도록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15. 신호리포트(Signal Report, 시그널 리포트)
① 아마추어무선사들이 사용하고 있는 무선기기는 그 제조회사(Maker)에 따라 기기의 특성이 차이가 있습니다. 따라서 송수신기의 시그널 미~터어(Signal Meter, S-meter)도 기기마다 다르므로, 같은 주파수에서 같은 교신을 수신하더라도 S-meter의 눈금은 각기 다르게 나타납니다.
그러므로 송수신기의 시그널 미~터어의 눈금은 단지 참고 사항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을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② 따라서, 상대방의 이야기를 모두 알아들을 수 있는 상태라면 그 신호리포트는 「59」입니다. 이것은 어디까지나 상대방의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국 운용자의 주관적인 판단에 의해서 주어지는 리포트입니다.
③ 가끔 VHF, UHF대의 교신에서 「5/0」 「5/1」, 「5/2」라는 신호 리포트를 주는 무선국을 만나게 되는데, 이와 같은 신호 리포트는 잘못된 리포트입니다. 「해독도(Readability) 5」는 「상대방의 신호를 완전히 알아들을 수 있다.」는 뜻이며, 「강도 0(R0)」이라고 하는 것은 존재하지도 않으며, 「강도1(R1)」는 「거의 안 들리는 아주 약산 신호 즉, 해독할 수 없음(Unreadable)」, 강도2(R2)」는 「아주 미약한 신호 즉, 수시로 해독할 수 있음(Barely readable, occasional words distinguishable)강도3(R3)은 「미약한 신호」로 거의 알아들을 수 없는 상태를 의미하므로, 앞의 숫자 「해독도 5(R5)」와는 상반되어 모순이 되므로 잘못된 신호 리포트입니다.
④ 이것은 무선기기에 부착되어 있는 S-meter의 눈금을 보고 신호리포트를 주었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으로서, 비록 S-meter의 수치가 거의 나타나지 않거나, 2~3을 나타내더라도 상대방의 신호를 완전히 알아들을 수 있는 상태라면, 신호리포트는 「5/9」이며, 약간의 잡음이 동반되지만 완전히 알아들을 수 있는 상태라면 「5/7」 또는 「5/8」정도가 될 것입니다.
⑤ 그러나 알아듣기가 곤란한 경우에는 「34」 또는 「35」, 알아들을 수는 있으나, 약한 신호는 「4, 4」 또는 「4, 5」정도의 신호리포트를 줄 수 있습니다.
⑥ 신호가 아주 강한 경우, 「59 full」 또는 「59 꽉 찼습니다.」라는 신호리포틀 주는 경우를 들을 수 있는데, 이것은 「59+」로 표현하여야 하며, 「59+10 dB」, 「59+20 dB」 등도 「59+」(five nine plus)로 표현하여야 합니다.
⑦ 「19」이라는 신호 리포트가 있을 수 있습니다. 상대국이 외국인이어서 신호는 아주 강한데, 그 내용이 외국어이므로 전혀 알아들을 수 없는 경우, 그 리포트는 「19」(내용은 해독할 수 없으나, 아주 강한 신호)」이 됩니다.
16. 교신시간 기록
① 아마추어무선국이 상대국을 만나 교신을 시작하면, 교신일지(Log)에 「교신일자」, 「교신 시간」, 「교신상대국 호출부호」, 「성명」, 「교신주파수」 등을 기록하여 보관하여야 합니다. 이 대 국내 교신에서는 교신시간을 「한국 표준시(KST)」로 기록하며, 외국의 무선국과 교신에서는 「우주표준시(UTC) 또는 세계표준시(GMT)를 적용하여 기록합니다.
② 한국포준시(KST: Korean Standard Time) ⇨ GMT + 9시간 : 이것은 동경 135°(일본 효오고현 아카시시) 자오선상을 지나는 시간을 기준으로 한 것으로, 세계표준시(GMT)에서 9시간을 더한 시간이다. 예를 들면, 영국의 햄과 교신한 경우, 한국의 시간이 2013년 1월 1일 저녁9시라고 하면, 영국의 시간은 21시-9시간 즉 1월1일 12시, 정오가 된다. 이것은 위의 식 GMT+9시간이 한국표준시이므로 바꾸어 표현하면, 세계 표준시는 한국표준시에서 9시간을 빼주면 되므로, 위와 같은 결과가 됩니다. 따라서 외국과의 교신시간은 한국표준시로 표시하지 않고, 세계표준시 또는 우주 표준시로 바꾸어 기록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③ 우주표준시(UTC; Universal Time Coordinated) ⇨ KST - 9시간 : 이것은 본초 자오선인 동경 0°가 런던 교외의 그리니치(Greenwich) 천문대를 지나는 것을 기준으로 한 것이다. 한국 표준시에서 9시간을 뺀 시간입니다. 그러니까, 한국표준시는 우주표준시보다 9시간이 빠른 시간이 됩니다.
④ 세계표준시(GMT; Greenwich Mean Time) ⇨ KST – 9시간, UTC 시간과 같음.
17. 파인얼(Final, Final Message)
가. 파인얼(Final)의 두가지 의미
① 송신기에서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안테나를 통하여 송출하는 종단관을 영어로 Final Tube(진공관 무선기기의 경우) 또는 Final Transistor(TR 무선기기의 경우)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② 아마추어무선의 교신에서 더 이상 교신을 계속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한 경우 또는 그 교신을 끝내고자할 때, 상대방에게 「교신을 끝냅시다.」, 「교신을 정리합시다.」, 「교신을 마무리합시다.」라는 뜻으로 상대방에게 통지하는 「교신 종료 예고」 즉 「Final Message」의 줄임말이며, 자신이 처한 상황을 판단하여 상대방에게 통지하는 것이지, 달라고 요구하는 것은 아닙니다.
❖그러나 이것도 한국과 일본의 언어 주조 및 관습상, 파인얼(Final Message)드립니다.」 또는 「파인얼 보냅니다.」라고 표현하고 있는데, 영어로는 「Now, back to you for your final.」이라고 표현하기도 합니다.
나. 파인얼(Final)은 가급적 짧고 간결하게
① 이 「파인얼」은 CQ를 낸 무선국이든 CQ를 받은 무선국이든 누구든지 먼저 교신을 끝내기 위한 예고로서 짧고 간단명료하게 「파인얼 드립니다.」라고 하면서 마이크를 넘기면, 마이크를 넘겨받은 무선국은 시간을 지체하지 말고 가능한 한 신속하게 그 교신을 끝맺음을 한 후, 「교신 감사합니다.」라고 하면서 「73」(세븐티 쓰리 또는 세븐 쓰리) 또는 「88」(에이리 에잍 또는 에잍 에잍)」의 작별 인사를 하고 교신을 끝냅니다. 그런데, 파인얼을 받은 무선국이 마이크를 받고서 장황하게 이야기를 늘어 놓는 것은 예의에 어긋나는 행위이므로, 상대국이 파인얼을 보내오면, 비록 할 이야기가 많다고 하더라도 다음 기회로 미루도록 하고, 가급적 빨리 그 교신을 끝맺음하도록 노력하여야 합니다.
② 「다음번 마이크 때 정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라고 표현하는 것이 이 파인얼에 해당되는데, 우리는 예로부터 동방예의지국(東方禮儀之國)이어서 인지, 자신이 판단하여 더 이상 교신을 계속할 수 없는 경우에는 먼저 「파인얼」을 주어야 하는데, 굳이 상대방에게 「파인얼」을 달라고 한다거나, 「마이크(×)를 정리하여 달라.」고 요구하는 것은 하루빨리 고쳐 져야할 나쁜 습관이라고 생각합니다. 이것 또한 아무런 생각 없이 남이 하는 말을 주워듣고 앵무새처럼 따라 흉내 내는 좋지 못한 습관이므로 하루 빨리 버려야 할 것입니다.
다. 파인얼(Final)과 작별 인사의 순서
① 비록 CQ호출한 무선국(그 주파수의 임시 주인)이라고 하더라도, 주위에서 긴급한 상황 또는 피치 못할 상황이 발생하여 먼저 「파인얼 드립니다.」라고 하고, 그 교신에서 빠지면서 그 주파수의 관리권을 다른 무선국에게 인계할 수도 있습니다.
② 따라서 어떤 무선국이 먼저 파인얼을 보내어도 무방하며, 이 때 파인얼을 받은 무선국은 비록 할 말이 많이 있다고 하더라도 가능한 한 그 교신을 끝내는 것이 예의입니다. 왜냐하면, 상대 무선국이 지금 어떤 급박한 상황에 처해 있는가를 알 수 없기 때문입니다.
③ 그러므로 파인얼을 받은 무선국은 가급적 빨리 그 교신을 끝맺음하면서 「교신 감사합니다. 세븐티 쓰리」라고 교신을 정리하면, 파인얼을 보낸 무선국도 「교신 감사합니다. 세븐티 쓰리」라고 하면서 교신을 끝내는 것이 순서입니다.
④ 그리고 이때, 파인얼을 받은 무선국도, 파인얼을 보낸 무선국도 다시한번 더 「네, 감사합니다. 73!」라고 인사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왜냐하면, 그 최종의 인사를 듣고서야 또 다른 무선국이 「나」 또는 「상대국」과 교신하고자 호출하여 올 수 있기 때문입니다.
⑤ 정리를 하면,
ⓐ 파인얼을 먼저 보낸 무선국 : 「. . .오늘 교신 감사드리며, 먼저 파인얼 보냅니다. DS1OIT 여기는 HL5BDY입니다.
ⓑ 파인얼을 받은 무선국 : (상대국 호출부호는 생략하고) 「여기는 DS1OIT입니다. ... 교신 감사드립니다. 세븐티 쓰리!」
ⓒ 파인얼을 먼저 보낸 무선국 : 「네, 감사합니다. 세븐티 쓰리」(서로의 호출부호는 말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 파인얼을 받은 무선국 : 「네, 감사합니다. 세븐티 쓰리」(서로의 호출부호는 말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 파인얼을 먼저 보낸 무선국 : 「네, 감사합니다.」
ⓕ 파인얼을 받은 무선국 : 「네, 감사합니다.
☞ⓑ~ⓓ의 경우에서 대부분의 무선국들이 또다시 서로의 호출부호를 말하는데, 이 때에는 자연스럽게 「네, 감사합니다. 73!」로 응답하고, ⓔ~ⓕ경우에도 간단히 응답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작별인사의 교환에서는 서로의 호출부호를 말하지 말고, 인사만 교환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또 다시 서의 호출부호를 말하면, 교신을 끝내고도 가슴이 답답해 오는 느낌을 받을 수 있습니다.
라. 바람직하지 못한 파인얼(Final Message) ☞파이날(×)
ⓐ 파인얼 감사히 잘 받았습니다.
ⓑ 파인얼 잘 받겠습니다.
ⓒ 파인얼 고압습니다.
ⓓ 파인얼 감사합니다.
ⓔ 다음번 마이크 때 파인얼 주시기 바랍니다.
ⓕ 파인얼 주십시오.
① 파인얼은 물건처럼 주고받는 것이 아니라, 작별을 아쉬워하면서 더 이상 교신을 할 수 없으니 교신을 끝내야겠다고 상대방에게 통지하는 「교신 종료 예고」입니다.
② 「파이날(×) 고맙다.」는 말을 잘 못 이해하면, 「나는 당신이 교신을 빨리 끝내 주기를 몹시 기다렸는데, 이제야 끝내자고 하니 고맙기 그지없습니다.」라고 생각될 수도 있는 일입니다.
☞이것도 대부분의 무선국들이 「Pinal」이라고 파열음(破裂音)으로 발음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파(Fa)]에 강세를 주면서 아랫입술이 윗 이빨에 가볍게 닿도록 하여 「V」와 같이 발음하되, 「파인얼(Final)」로 발음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18. 작별인사
① 햄들이 ‘On The Air」에서 만나 대화를 나누고, 헤어지면서 주고받는 작별인사에는 「73」과 「88」이 있습니다.
ⓐ 73 : 남성이 남성 또는 여성에게 보내는 인사 : 발음 – 세븐티 쓰리 , 세븐 쓰리
ⓑ 88 : 여성이 여성 또는 남성에게 보내는 인사 : 발음 – 에이리 에잍 , 에잍 에잍
② 이 「73」과 「88」의 질의에 대한 IARU의 회신에 의하면, 남성도 여성에게 「88!」이라고 인사를 할 수가 있다고 해석하지만, 햄들의 전통적인 관습상 남성들은 「88!」을 거의 사용하지 않고 있는 설정입니다. 그러나 남성이 자기 부인, 연인, 딸에게는 「88!」을 사용하는 것을 가끔 볼 수 있습니다.
③ 언제부터인가 작별 인사 때에 사용하는 아라비아 숫자 「73」의 발음을 「칠삼」, 「칠십삼」 「일곱개 세 개」, 심지어는 「합이 열 개」 ,「망통」으로 까지 부르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호출부호도 HL1을 「에이치 에을 일」 HL2는 「에이치 에을 이」, HL3은 「에이치 에을 삼」, HL4는 「에이치 에을 사」, HL5는 「에이치 에을 오」라고 발음하여야 이치에 맞을 것이 아니겠습니까? 그러나 이것은 FCC의 규정에 호출부호는 영어로 발음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므로 HL5BDY를 「에이치 에능 파이브 비~비~와이」로 발음하는 것이 옳다면, 당연히 작별인사도 칠삼이 아니라 「세븐티 쓰리」 또는 「세븐 쓰리」로 발음하여야 할 것입니다.
☞미국의 FCC(Federal Communications Commission; 연방통신위원회)의 규정(Regulation) §97-119에 「By a phone emission in the English language. Use of a phonetic alphabet as an aid for correct station identification is encouraged.」라고 명기되어 있습니다.
④ 여성들이 여성 또는 남성에게 보내는 작별인사인 「88」을 「팔팔」이라고 발음하는 경우는 거의 들어보지 못했는데, 어떻게 하여 남성들이 여성 또는 남성에게 보내는 작별인사인 「73」는 이렇듯 다량하게 부르고 있는지 백보를 물러서서 생각하더라도 도저히 이해가 안 됩니다. 아마 이것도 앵무새를 닮은 앵무새 햄들에 의한 영향이 아닌가 추측이 됩니다. 그러므로 햄의 세계에서 사용하는 햄 용어는 국제적인 약속이므로 가능한한 토박이(Native Speaker)발음에 가깝게 하여야 합니다.
19. 교신 일지 기록
1. Date의 월/일은 한국식으로 표기하여도 좋습니다. 예) 12/25(12월 25일)
2. Time의 시작과 종료는 교신의 시작과 끝을 기록하되, 가급적이면 24시간제로 표기합니다. 예) 20:30
3. Call Sign은 Prefix와 Suffix를 구분하여 기록합니다. 예) HL5/FHR, JA1/PFJ
4. His Signal(RST)과 My Signal(RST) : [59], [59+] 등으로 표기하되, 59Full, 59+20dB 등으로는 적지 않음.
5. Our Freq.(Frequency) : 교신한 주파수를 적되, kHz 단위까지 기록하여도 좋다.
6. Emission Type(송신방식) : CW, FM, SSB, RTTY, AMTOR 등으로 표기한다.
7. Ourput PWR(Power) : 송신 출력을 와트(Watt) 단위로 표기한다.
8. Remarks(비고), Name(성명), QTH(주소), Rig(사용기기), Ant(안테나의 종류와 높이, Hobby(취미) 가타 자료)
9. QSL S(Send: 발송), R(Receiver: 수신) 각 난에 체크를 하거나 발송일 또는 수신일을 기록한다.
Tablel 14. 교신 일지 양식
Date | Time | Call Sign | His Signal | My Signal | Our Freq | Emission TYPE | Out put | REMARKS | QSL | QSL | ||||
월 | 일 | 시작 | 종료 | Prefix | Suffix | RST | RST | MHz | (W) | Name | QTH,RIG,ANT,HOBBY | S | R | |
20. QSL(교신증) 발행 – 자신의 고유한 카드를 제작한다.
가. 규격 : 14~15cm × 9~!0cm, 2~6g(weight)
나. QSL CARD : 자신의 고유한 카드 제작
다. 기재 및 주의 사항
① 발행국의 호출부호
② 교신 상대국의 호출부호(만일 정정하AIS AWARD 신청시 무효로 처리된다.)
③ 교신 확인의 문장이 있어야 한다.(영문 표시 가능)
④ 교신 연, 월, 일.
⑤ 교신 주파수
⑥ 교신의 전파 형식
⑦ 교신 상대국의 신호리포트
⑧ 자신의 사용 Rig 및 출력
⑨ 무선국의 주소
⑩ 교신 감사의 문장(영문 표시 가능)
⑪ 발행국의 사인(Sign)
라. 교신증의 예
① 여기에서 「To Radio : 직접교신한 상대국의 호출부호 또는 단체국의 호출부호를
Via에는 QSL 매니저의 호출부호 적습니다.
② Ur(Your) Reception Report(수신보고서) : SWL(Short Wave Listener; 단파 청취자)의 교신 청취보고서
③ BAND : 교신한 주파수대, 160M/80M/40M/...2M/ 또는 144MHz, 430MHz, 7MHz, 14MHz, 21MHz, 28MHz,50MHz, 등
KST : 한국표준시, UTC : 우주표준시, RST : 신호리포트
MODE: FM, SSB, CW, RTTY, ATV, PACKET 등의 교신 방식
Pse = Please, Tnks = Thanks, Rig= 사용기이과 송신 출력, Ant=안테나의 종류와 높이, Rmks-비고
즐거운 햄 생활을 위한 아마추어무선 교신 |
초판 발행 : 1995년 6월 1일 수정 9판 : 1997년 4월 10일 수정 10판 : 2013년 7월 31일 저 자 : 이 순 린(李 淳 麟, HL5BDY) ❖여기의 이 자료는 우리 모두의 것이므로, 햄의 교신 질서를 바로 세우는 목적에 사용한다면, 누구든지 복사하여도 좋습니다. |
[출처] 제5장 아마추어무선의 교신 방법 (아즐사(아마추어 무선을 즐기는 사람들)) | 작성자 HL2VX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