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t1.daumcdn.net/cfile/cafe/267E473C555427E12D)
BBS 불교방송 라디오
'법상스님의 목탁소리'(평일 07:50~08:00)
2015년 05월 13일 방송
' 지금 이대로이길 바란다 '
위의 글을 클릭하시면 불교방송으로 연결됩니다.
불교방송 라디오에 로그인후 다시듣기 해보세요.
(스마트폰으로 불교방송 앱을 다운받으시면 바로 다시듣기 됩니다.)
지금 이대로이길 바란다
‘내가 이렇게 바뀌면 좋겠다, 저렇게 바뀌면 좋겠다, 남들처럼 부자가 되면 좋겠다'라고 생각하는 것은 지금 이 순간 자기 자신으로 피어난 부처 성품을 죽이는 것과 다르지 않습니다. 사실은 지금 이대로의 ‘나 자신’의 자연스러운 천연 성품이야말로 내가 그렇게 찾아왔던 부처이기 때문입니다. 그렇기에 진정한 부처를 찾는다는 것은 나 자신을 완전히 사랑하고, 완전히 수용하고, 지금 이 순간에 주어진 나를 완전히 받아들이는 일입니다.
우리 삶은 지금 이 순간 완성되어 있고 온전합니다. 다른 것을 더 기다리거나 기대할 필요가 없습니다. 지금 여기라는, 지금 이 순간이라는 현실이야말로 우리 삶에서 가장 눈부신 순간이고, 가장 위대한 순간입니다. 지금 이 순간이라는 것 자체는 완전한 진리가 나로 피어나고 있는 순간입니다. '어떤 일이 벌어졌다‘라는 것은 지금 이 순간 나에게 바로 그 일이 필요했기 때문에 일어난 것입니다. ‘삶의 모든 일들은 일어나야 할 바로 그 때'를 정확히 알고 일어납니다. 삶 자체가 진리의 드러남 곧 법계(法界)이기 때문이지요.
다른 누군가가 되거나, 어떤 사람이 되는 것, 부자가 되는 것 등 그 무엇이 되었든 ‘다른 누군가가 되길’ 바라기 보다는, ‘지금 이대로의 나’이길 바라야 합니다. 지금 이대로 이길 바랄 때 그 바람은 언제나 완전히 이루어진 상태로 존재합니다. 더 이상 바랄 그 무엇도 없게 되지요. 지금 이대로 완전해 지는 것입니다.
다른 사람은 일이 쉽게 잘 풀리고 나는 안 풀린다는 것은 지금은 그 사람이 스포트라이트를 받아야 될 시간인 것이고 나는 그 사람에게 박수쳐 줘야 할 때인 것입니다. 나는 아직 조명을 받을 때가 안 되었을 뿐입니다. 비록 내가 생각하는 그런 성공의 순간은 오지 않았지만 사실 우리는 이미 그 자리에 도착해 있습니다. 언제나 '매 순간이라는 삶의 진실'에 우리는 도착해 있습니다. 이것을 깨닫게 되면 다른 때, 다른 순간, 다른 성취의 순간, 다른 사람, 이런 것을 기대하지 않고 지금 이 자리에, 지금 이 순간, 자기 자신으로 존재하게 됩니다.
'다른 때를 구할 것이 없다'라는 것을 깨닫는 것이 우리가 해야 할 전부입니다. 우리가 할 것은 지금 이 순간이 나에게 주는 무한한 감동과 감사할 것들과 찬란한 빛들을 충분히 가슴을 열고 받아들이는 것에 있습니다.
아침에 창을 열면 눈부신 아침 햇살이 우리를 축복하듯이 온 존재 위로 쏟아집니다. 법회를 끝내고 밖으로 나가면 상서로운 바람이 우리 몸을 감싸는 것을 느낍니다. ‘아! 한 줄기 바람이 사람을 이렇게 행복하게 해 줄 수 있구나’라는 생각에 감동이 밀려옵니다. 바람은 누구에게나 불어오고, 햇발은 누구에게나 내리쬐지만 우리가 마음을 닫고 있을 때, 자꾸 다른 사람의 가치를 좇아가려고 할 때 지금 이 순간 나에게 충분히 드러나고 있는 행복감들을 잃어버리게 됩니다.
우리가 불행한 것은 더 나은 사람과 비교하기 때문입니다. 아프리카에서 밥 한 끼 제대로 먹지 못하는 아이들과 나를 비교한다면 우리는 밥 한 끼를 먹을 수 있다는 것만으로도 무한히 풍요로운 사람이 될 것입니다. 하지만 '남들은 저렇게 일이 잘 되는데, 남들은 뭐든 하면 잘 되는데 나는 못한다'는 비교에서 오는 어리석은 착각은, 남의 부처를 좇아감으로써 나의 부처를 죽이려고 하는, 즉 자기 자신의 삶을 죽이려고 하는 허망한 생각일 뿐입니다.
BBS불교방송 라디오 법상스님의 목탁소리'(평일 07:50~08:00)중에서
첫댓글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사랑합니다![꽃](https://t1.daumcdn.net/cafe_image/pie2/texticon/ttc/texticon2_7.gif)
감사합니다 사랑합니다.
"다른 때를 구할 것이 없다" 지금 여기에서 행복하라~~ 귀한 법문 감사합니다
언제나 '매 순간이라는 삶의 진실'... 감사합니다.
조선 청백리 박수량의 묘에는 백비가 있는데
명종이 그의 청렴함을 글로 표현하면 잘못 알 수 있으므로
글자없이 백비를 세우라고 했다고 합니다.
스님의 글을 읽으면서 느껴지는
감동과 행복과 감사함의 백비는
"감사합니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