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이제이(以夷伐夷)
以 | 夷 | 制 | 夷 |
써 이 | 오랑캐 이 | 제압할 제 | 오랑캐 이 |
자신의 힘은 쓰지 않고 다른 나라의 힘을 이용하여 또 다른 적국을 제어함
... 訓擁衛稽故, 令不得戰。議者, 咸以羌胡相攻, 縣官之利, 以夷伐夷, 不宜禁護。
(... 등훈은 병사를 보내 호족(胡族)를 보호하여, 강족(羌族)이 공격하지 못하도록 하였다. 주위의 책사(策士)들은, 강족과 호족이 서로 공격하는 것은 한나라 조정에 유리한 것이고 오랑캐로 오랑캐를 치는 것이니, 호족을 공격하는 것을 막아 그들을 지키는 것은 현명하지 못한 처사라고 여겼다.)
-《후한서》 권 16 · 열전 제6 · <등구열전>[1]
중국의 고사성어. 말 그대로 오랑캐를 오랑캐로 제압한다는 뜻으로, 《후한서》의 <등구열전(鄧寇列傳)>의 <등훈전(鄧訓傳)>에 나오는 구절인 '이이벌이(以夷伐夷)'에서 비롯하였다.
비슷한 사자성어(四字成語)로는 '이독제독(以毒制毒)'이 있다. 이독제독은 독으로 독을 다스린다는 뜻으로, '이독공독(以毒攻毒)'과 같은 말이다. 기미(羈縻)[2](회유) 정책과 함께 중원에 자리잡은 제국들의 기본적인 대이민족 정책이었다. 원교근공 전략과도 어느 정도 겹치는 부분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중국의 중원 북쪽에 자리잡은 이민족 세력은 엄청난 파괴력을 갖추고 있었으나, 단발적인 약탈은 있어도 제대로 된 중원 침공이 이루어지지 않은 것은 이민족들이 하나로 결집되지 못했기 때문이다. 이 점을 이용해서 중원의 제국들은 이민족들의 분열을 고착시켜 그들을 제어하려 했다. 그 결과 이민족들은 북방에서 자기들끼리 치고 받는 과정에 온 힘을 쏟아 부으며 중원을 위협하는 세력이 되지 못했다. 칭기즈 칸 등장 이전의 몽골이 그랬고 누르하치 이전의 만주가 그랬다.
물론 이이제이의 사례는 중국에 한정되지 않는다. 고대 로마의 경우에도 북방의 게르만족을 취급할 때 이이제이 방식을 도입하기도 했다. 그 외에도 각지에서 사례가 많다.
싸우지 않고 이길 수 있다는 점에서 정면 대결이 불가능할 것 같은 상대에게는 어찌되었건 대단히 효율적인 책략이다.
위험요소가 성장하는 것을 막는다
보통 상대방에 위험이 될만한 세력이 집결하면 곧 강대한 세력으로 성장하게 되는데, 서로 치고받고 싸우는 상황에서는 이런 과정이 크게 느려질 뿐 아니라 보통 이런 싸움중에 해당 세력이 전멸은 아니라도 상당히 손실을 겪으므로 강대해지는 꼴을 보지 않아도 된다. 여기에 이이제이를 실행하는 측에서 적절한 군사개입까지 가하면 혼란을 가중시킬 수 있으므로 자국의 안전을 오래 유지할 수 있다.
직접 싸우는 것보다 물량 및 비용의 소모가 훨씬 적다
말 그대로 적끼리 서로 싸우게 만드므로 적당하게 적들을 싸움붙일 미끼로서의 전력이나 비용만 소모해서 이득을 볼 수 있고, 외교능력이 높고 언변이 뛰어나며 사교술이 좋은 인재가 있을 경우 극단적으로는 세치 혀를 움직이는 것만으로도 실행이 가능하다.
전력증강을 위한 시간을 벌 수 있다
적들이 서로 충돌하는 동안 아군은 병력을 늘리고 훈련시키며 장비를 추가로 생산하고 식량등 군수물자도 많이 비축이 가능하다. 이렇게 되면 다음에 다시 이이제이를 쓸 경우에도 성공확률이 높을 뿐 아니라, 실패하더라도 충분히 대응이 가능한 전력을 확보할 수 있다.
어디까지나 지속적인 상황파악이 힘들고 사람들이 언제나 자신의 생각대로 움직여주지 않는다는 점에서 대개 비롯되는 문제들이다.
기본적으로 자국에 어느 정도의 힘이 없으면 생각하기도 어려운 전략이다
이이제이를 걸더라도 이들이 서로 싸우지 않고 아군쪽으로 일제히 화살을 돌려버리면 감당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이이제이를 거는 국가의 국력이 약하다고 느끼면 서로 어렵게 싸우기보다는 공격방향을 선회하는 쪽으로 돌아가는 경우가 많다. 일례로 서로마 제국은 게르만족들을 용병으로 고용해서 군사력을 보충하고 서고트족과 군사동맹을 맺는 등 이이제이를 써서 훈족의 아틸라까지 물리쳤지만,[3] 갈리아, 히스파니아, 아프리카 등지의 속주들이 이민족들의 점령으로 뜯겨져 나가는등 서서히 제국이 해체되면서 자국의 국력이 날로 저하하고 있었던 탓에 자국의 영토에서 준동하는 게르만족을 막을 수 없었고, 결국 훈족의 패배와 서로마 중앙군의 와해로 인해 더 이상 무서울 것이 없어진 게르만족 용병대장 오도아케르에게 망하게 된다.
실행하려다 역으로 자기가 함정에 빠질 수 있다
보통 군웅할거같이 고만고만한 세력들이 난립했던 유럽에서 흔히 벌어진 일로, 이이제이를 사용해서 어떤 세력이 서서히 성장하기 시작하면 위험성을 느낀 주변의 세력들이 일제히 동맹을 맺은 후 그 세력을 집중적으로 공략하려고 한다. 이렇게 되면 아무리 전력을 충실하게 쌓은 세력이라도 중과부적으로 괴멸당한다. 어설프게 하다가 들키면 마찬가지로 털리기 십상이며, 이를 잘 보여주는 예시로는 2015년 5월 기준 여성시대라는 사이트의 해명글 조작 사태가 있다.
상대방도 머리가 있기에 언제까지나 멍청하게 아군의 계략에 속는다는 보장이 없다
아무리 야만족이라도 지속적으로 혼란상태가 이어지면 그걸 획책하는 거대한 세력이 있다고 생각하기 마련이며 일단 일이 이렇게 돌아가면 이이제이를 당한 쪽은 서로 싸우느라 전투경험이 엄청나게 축적된다. 이이제이 과정에서 기본적인 국력이 위태로울 정도라거나 애초에 수준 차이가 크다면 몰라도 어중간하게 붙은 경우에는 이이제이가 틀어진 그 순간 상대는 오랜 전쟁으로 단련된 정예병을 이끌고 이이제이에만 치중해서 전쟁 경험이 적을 수밖에 없는 상대에 맹공을 가하게 된다.
잘못하면 여우를 잡자고 호랑이를 불러들이는 격이 된다
그 예로 남송은 금나라를 물리치기 위해 원나라를 끌어들이다 정복당했으며. 5세기 경 영국 잉글랜드를 주름잡던 켈트족은 스코트족을 물리치려고 앵글로색슨족을 끌어들이다 앵글로색슨족에게 정복당하고 말았다. 다행히도 신라는 그 호랑이를 두들겨 패서 쫓아내는데 성공했지만, 대한제국은 러시아 제국과 일본제국 사이에서 줄다리기 하다가 을미사변을 겪고 러일전쟁(쓰시마 해전)결과로 망했어요.
신라: 멸망한 옛 고구려 유민들을 옛 백제 땅인 금마저(전라북도 익산시)에 정착해 살게 해 반신라 감정이 강한 백제인들을 고구려인으로 제압했으며, 나당전쟁 당시 당나라와 싸우는데 고구려 부흥 세력으로 세운 보덕국을 이용하기도 했다. 나당전쟁에서 당나라를 물리친 이후 보덕국에서 반란이 일어나자 보덕국과 동족인 고구려 유민들로 구성된 부대인 황금서당(黃衿誓幢)을 투입해 진압했다.
진나라: 이이제이의 대표적인 성공사례. 소진의 6국 합종책을 장의의 연횡책으로 작살낸 후 약해진 나라부터 하나하나 잡아먹어 결과적으로 최후의 승자가 됐다.
위나라: 이릉대전 덕분에 황권등 촉의 명장을 얻었을 뿐더러, 촉과 오 두 적국의 국력이 쇠퇴하며 상대적으로 이득을 봤다. 허나 이때 위나라 황제 조비는 이릉대전 이후 국력이 약화된 오나라를 치러 친정을 시도했다가 오히려 패퇴하며 그 이익을 제대로 못 살렸다.
송나라: 이이제이의 대표적인 실패 사례로 꼽힌다, 앞문에서 짖어대며 으르렁거리는 늑대와 승냥이를 잡으려고 뒷문으로 굶주린 호랑이를 불러들인 셈이라고 보면 된다. 이런 송나라의 정책은 전통적인 이이제이와는 거리가 먼데, 전통적인 이이제이는 양세력중 한개만 남기는 것이 아니라 둘 다 남겨서 서로 지속적으로 싸우게 만드는 것이다. 자세한 상황은 아래 요나라·금나라 부분 참조.
요나라·금나라: 북방민족인 특징상 북방민족의 두려움을 가장 잘 알고 있었고 요나라는 여진족을 금나라는 몽골족의 분열을 획책하면서 힘을 합치지 못하게 만들었고 이를 통하여 간접지배를 공고히 하려고 하였다. 그러나 이런 장난질이 지속되자 부족 통합의 기운이 일어나게 되었고 요나라는 금나라에게 금나라는 몽골제국에게 멸망하게 되었다. 한편 이 상황을 이용하여 이익을 챙기려던 송나라는 신흥 강자에게 어그로를 끌어 꼬박 꼬박 나라의 반쪽을 넘겨주게 되었다.
인도 제국: 영국은 세포이 항쟁이후 인도인들이 뭉치면 무섭다는 걸 깨닫고 동인도 회사를 해체하고 직접 통치하면서 각 지방에 따라 판이하게 다른 문화와 언어, 종교를 이용해 인도에 미묘한 갈등을 부추졌으며 인도 아대륙을 오합지졸로 만들었다. 이 작전은 마하트마 간디와 인도 국민회의로 구심점이 모일 때까지 유용했다. 그러나 이슬람과 힌두교의 갈등은 점점 깊어만 갔고 독립 이후 인도 공화국, 파키스탄, 방글라데시로 분할되고 만다.
현대 일본: 집단자위권을 위시하여 재무장을 하고있지만 이는 미국의 대중국 견제를 위해 일부러 풀어준 면이 클 것일지도 모른다. 일본의 경제력을 군사력으로 전환하여 추가적인 예산투입 없이 대중국 포위망을 강화하는 것이 미국의 의도일지도 모른다.
바티칸: 교황이 프랑크 족의 능력자 왕 피핀에 SOS 요청, 경쟁자인 롬바르드 왕국을 견제했다. 피핀도 로마 교황에 환심을 보이고자 오늘의 바티칸을 선물했다. 그리고 후에 캉브레 동맹의 전쟁 때도 비록 오랑캐는 아니라지만 스페인, 프랑스, 신성로마제국과 같은 강대국들을 끌어들여 베네치아 공화국을 공격하였는데, 교황청 자체의 군사력이 약한 편이었기 때문에 오히려 신성로마제국에 의해 로마가 박살난다. 이것이 그 유명한 사코 디 로마. 후에 베네치아가 토해냈던 영토들을 다시 되찾고 이 일을 기점으로 교황청의 세가 많이 약해졌으므로 이이제이의 단점을 극명하게 보여주는 사건이다.
이탈리아(통일전쟁 당시): 주역은 카밀로 벤소 카보우르. 프랑스를 끌어들여 합스부르크 왕가를 몰아냈다.
영국, 프랑스(2차 세계대전 직전): 뮌헨 협정으로 체코슬로바키아를 내주고, 태생적으로 앙숙이었던 독일과 소련을 서로 싸우게 만들려고 했는데, 정작 소련에게 소흘하는 바람에 독소 불가침조약이라는 희대의 실패를 만든다.
핀란드(제2차 세계대전 당시): 제2차 대전 당시 나치 독일을 이용해 소련의 간섭을 물리치려고 했으며, 제2차 세계대전의 전세가 연합국으로 기울자 나치와의 동맹을 끊고 나치 독일을 몰아냈다.
불가리아, 세르비아(러시아-투르크 전쟁):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독립하기 위해 러시아-투르크 전쟁에서 러시아와 연합하여 오스만 제국을 물리치고 독립을 이뤘다.
더 라스트 오브 어스 래프트 비하인드: 엘리가 감염체에게 쫓길 때 감염체와 엘리를 쫓아간 사냥꾼들이 서로 싸운다.
록맨 제로 시리즈: 이레귤러 전쟁을 빨리 끝내기 위해서 다크 엘프와 오메가의 능력을 사용해 이레귤러끼리 내분을 일으켜 자멸하게 했고 효과가 있었던지 실제로도 전쟁이 조기에 종식되었으나 너무 과격했던 나머지 그 결과는 포스트 아포칼립스.
시드 마이어의 문명: 시리즈에서 종종 쓸 수 있는 전략인 전쟁 사주도 이이제이다. 특히 호전적 성향의 AI끼리 붙이는 전략이 효율적. 원교근공과 더불어 문명을 하다보면 뼈져리게 체득할 수 있는 외교전략이고 잘못 사용했을 때의 문제점도 그대로 체험해 볼 수 있다.
스타크래프트 2: 공허의 유산 알라라크: 정치적 계략으로 대규모 라크쉬르를 일으켜 참가자 4000명 중 800명이 죽게 만들어 자기는 어부지리로 순식간에 지위를 수직상승했으며, 아몬의 음모를 알아차렸지만 무모하고 성급히 반기를 든 누로카를 이용해 말라쉬의 어그로를 누로카에게 집중시켜 구라쉬와 제니즈를 공멸시킨 후 누로카를 죽게 만들어 자신도 아몬의 음모를 파악함에도 알지 못하는 척 속여넘겼다. 이후에는 아몬에 대항하는 댈람을 시험하여 아몬에 대항할만한 외부 세력임을 파악하자 끌어들인 후 말라쉬를 몰아내 탈다림을 장악해 아몬에게 복수한다는 계획을 성공한다.
배틀그라운드에서 세 명(또는 세 팀)이 한 곳에 있을 때 상대방이 다른 상대방을 따고 자신이 나머지 상대방을 딸 때 보통 이이제이 메타라고 한다.
변신 자동차 또봇 15기에서 이또제또(또봇은 또봇으로 제압한다)로 패러디되었다.
사다코 대 카야코 두 귀신을 없에기 위해 서로 맞붙게 했지만....
코믹 메이플스토리: 10권에서 주카가 델리키를 찾으러 망각의 마을로 가기 전 와일드카고 킹에게 들은 조언이 바로 이 고사성이여며, 이후 조언을 기억해내어[6] 마법사 에뜨랑과 그의 애완 도마뱀인 헤르미온느를 서로 싸우게 만들어 성에서 쫓아내 버렸다.[7]
Warhammer 40,000: 오크 vs 타이라니드. 인류제국의 이단심문관 크립트만이 오크와 타이라니드를 싸움붙이게 하여, 끝없는 전투본능과 식욕으로 계속 대치시킬 수 있으니 좋을 거 같긴 한데, 문제는 이 싸움에서 어느 한쪽이 이기는 순간 엄청 강해진 한 쪽에게 인류제국 아작크리가 날 가능성이 있다고 한다.
캡틴 아메리카: 시빌 워: 헬무트 제모
어벤져스를 무너뜨리기 위해 윈터솔저를 이용해서 계획을 세운다. 심지어 성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