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우디아라비아 성지순례 압사 사고
①1959년 7월: 부산 공설운동장 압사사고
-시민위안행사 정리중 소나기가 내려 3만 명에 가까운 사람들이 출입구로 몰리면서 67명이 사망한 압사사고.
②1960년 1월: 서울역 압사사고
-설을 맞아 서울역에 몰린 사람들이 계단에서 넘어지면서 31명이 사망한 압사사고.
③ 2005년 10월: 상주시민운동장 압사사고
-MBC 방송사의 한 프로그램 중 출입문으로 몰린 사람들로 인해 11명이 사망한 압사사고.
④1980년 2월: 부산 용호 국민학교 압사사고
-1,000명에 가까운 학생들이 계단에서 넘어지며 5명이 사망한 압사사고.
⑤2002년 6월: 경기도 양주 중학생 압사사고
-2002년 한일 월드컵이 하고 있을 무렵 경기도 양주에서 장갑차로 중학생 2명을
깔고 지나간 끔찍한 압사사고.
⑥1996년 12월: 대구 우방타워랜드 압사사고
-대구 우방타워랜드에서 진행된 당시 MBC의 유명 라디오 프로그램인 별이 빛나는 밤 공개방송 시
2명이 사망한 압사사고.
⑦1992년 1월: 뉴키즈 온 더 블록 공연 압사사고
-당시 엄청난 미국의 인기 남자그룹의 공연이 열린 잠실 올림픽 체육경기장에서 10 대 1명이 사망한
압사사고.
⑧2001년 1월: 가수 클릭B 팬 압사사고
-당시 인기그룹이었던 클릭 B의 팬이 공연을 마치고 나오는 멤버들을 쫓아가다가 30여 명의 사람들에게
압사되어 1명이 사망한 압사사고.
그리고 이번에 발생한 용산 이태원 할로윈 참사.
우리나라에서 지난 60년이 넘는 기간 동안 발생한 여러 압사사고의 사망자를 다 합쳐도 이번 참사보다 적습니다.
그만큼 이번 용산 이태원 핼러윈 압사사고 한 건으로 지난 60년이 넘는 기간 동안 발생한
압사사고의 전체 사망자보다 많은 사망자가 단 하루 만에 발생을 한 것입니다.
참담하고, 너무나도 안타까운 일입니다.
건물이 무너져 내려 그 잔해에 깔려 사망한 것도 압사로 포함이 되지만, 삼풍백화점 붕괴 사건 같은
500명이 넘는 그런 사고는 포함하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이번에는 우리나라가 아닌 세계적으로
발생한 최악의 압사사고와 사례를 알아보겠습니다.
이 또한 사망자가 많이 나온 순서입니다.
ⓐ1990년 7월: 사우디아라비아 압사사고
-이슬람 성지인 사우디아라비아의 메카 인근 알 무아셈 터널에서 순례자들이 서로 엉켜서
1,426명이 사망한 인류 최악의 압사사고.
ⓑ2015년 9월: 사우디아라비아 하디 압사사고
-순례 기간 중 순례자들끼리 압사되어 발생한 717명의 사망자가 나온 압사사고.
ⓒ2005년 8월: 이라크 티그리스강 압사사고
-이라크 무아파 티그리스강의 난간이 무너지면서 발생한 640명이 사망한 압사사고.
ⓓ2010년 11월: 캄보디아 압사사고
-캄보니아 물 축제 기간 중 다리가 무너져서 350명의 사망자가 발생한 압사사고.
ⓔ1964년: 페루 축구 경기장 압사사고
-경기 중 페루가 넣은 골이 무효 처리되자 경기장에 난입한 관중들을 진압하기 위해 경찰이 쏜 최루탄을 피하기 위해 320명이 사망한 압사사고.
ⓕ1994년 5월: 사우디아라비아 자마라트 압사사고
-성지순례를 위해 몰려든 자마라트 다리로 몰려든 성지순례자들 270명이 사망한 압사하고.
ⓖ2005년 1월: 인도 마하슈트라주 압사사고
-인도 마하슈트라주 사원에서 발생한 265명의 사망자가 발생한 압사사고.
ⓗ2004년 2월: 자마라트 다리 압사사고
-1994년에서도 같은 자리에서 발생한 압사사고로 역시 순례자들이 몰리면서 251명이 인근에서
사망한 압사사고.
ⓘ2013년 1월: 브라질 산타마리아 압사사고
-브라질 산타마리아 나이트클럽에서 발생한 화재사고/ 피하려던 사람들이 압사되어 200명이 사망한 압사사고.
세계적으로 봐도 브라질 산타마리아 압사사고 다음
사망자가 많은 사고가 이번 이태원 압사사고입니다.
ⓙ2008년 9월: 인도 차문다 사원 압사사고
-인도 차문다 사원에서 힌두 순례자가 몰려 147명이 사망한 압사사고.
ⓚ2008년: 인도 나이나 데비 사원 압사사고
-인도 히마찰프라데시주 나이나 데비 사원에
몰린 순례자들이 산사태 소문으로 인해 최소 145명이 사망한 압사사고.
ⓛ2001년 5월 - 가나 축구 경기장 압사사고
-가나 수도 아크라 축구경기장에서 최루탄으로 발생한 130명이 사망한 압사사고.
ⓜ2022년 10월: 인도네시아 축구장 압사사고
-불과 한 달 정도 전인 10월 2일 인도네시아 축구장 에서 발생한 최루탄을 피해 달아나 출입구로 몰린
125명이 사망한 압사사고.
ⓝ1998년 4월: 사우디아라비아 하지 압사사고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이슬람 하지 기간 동안 발생 119명이 사망한 압사사고.
ⓞ1989년 4월: 영국 힐스버리 축구장 압사사고
-영국의 축구경기장인 힐스버리 축구장에서 96명이 사망한 압사사고.
ⓟ 2021년 4월: 이스라엘 압사사고
-유대교 축제 기간 중 44명이 사망한 압사사고.
ⓠ1985년 5월: 벨기에 브뤼셀 압사사고
-벨기에서 열린 리버풀과 유벤투스의 유러피언컵 경기에서 관중이 충돌하며 39명 사망한 압사사고.
ⓡ2021년 1월: 라이베리아 압사사고
-라이베리아 수도 몬로비아 한 교회에서 밤새 진행된 기독교 행사에서 29명 사망한 압사사고.
ⓢ201년 7월: 독일 뒤스부르크 압사사고
-독일 뒤스부르크 테크노 음악 축제에서
공연장 근처 터널을 지나던 관객이 서로 엉키며 21명이 사망한 압사사고
ⓣ2021년 1월: 인도 카슈미르 압사사고
-인도와 파키스탄 분쟁지역인 카슈미르에서 힌두교 순례자들이 몰려 12명이 사망한 압사사고.
ⓤ2021년 11월: 미국 텍사스주 휴스턴 압사사고
-미국 텍사스주 휴스턴에서 열린
힙합 스타 '트래비스 스콧' 콘서트 무대로 일부 팬들이 모여들면서 9명이 사망한 압사사고.
그럼 이런 엄청난 고통과 참혹한 일들이 발생하는 압사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될까요.
전문가들은 이렇게 말합니다.
*예방방법
1. 어깨가 거의 붙을 정도가 계속 유지되는 곳
약 15cm도 확보가 안되는 공간은 가지 말거나,즉시 빠져나올 것.
2. 유명인이 있는 한정된 공간은 될 수 있으면 피할 것
유명인이 있는 곳은 사람들이 몰릴 확률이 그만큼 높기 때문에 피하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3. 심리적으로 서있는 곳이 불편하다고 느낀다면 즉시 빠져나오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http://joongnyun4050.tistory.com/1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