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불안장애를 겪고 있는 고2
Q. 저는 전형적인 사회불안장애를 겪고 있는 것 같아서 치료를 받고 싶은 고등학교 2학년입니다. 단순히 수줍음이나 소심함이 아니라, 극심한 사회불안이 있는 것 같습니다. 또 사람을 잘 믿지 못하고요. 상담을 받는 게 창피해서 엄마에게도 이 사실을 숨기고 싶습니다. 엄마에게 말하면 가족 모두가 알게 될 텐데, 그럼 저를 문제 있는 사람으로 볼까 봐 걱정입니다. 혼자서 상담을 받을 수 있을지 궁금하고, 월, 수, 금 오후 4시 이후로 상담이 가능한지 알고 싶습니다.
A. 사회불안장애로 고통을 받고 계시는군요. 병원에서 진단받은 것도 아니고 스스로가 사회불안장애라고 생각하신 것 보면 많이 알아보시고, 그만큼 불안장애로 인해서 많이 고통을 겪고 있는 것 같아요. 사회불안장애는 주로 사람과의 관계에서 생기는데 어머니에게도 숨기고 싶고, 가족이 알게 될까봐 걱정이신 것을 보면 정말 도움을 받으셔야겠다고 봅니다.
사회불안장애는 치료만 잘 받는다면 비교적 치료가 용이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런데 많은 사람들이 ‘그냥 수줍어서 그렇다. 성격이다. 나이 먹으면 좋아진다.’ 라고 하면서 치료받기를 늦추다가 사회생활에 곤란을 겪을 수도 있습니다.
저희 상담센터는 월요일과 화요일, 일요일을 제외하고는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
빨리 도움을 받으시고 행복한 날을 보내시기 바랍니다.
불안장애를 느끼는 아동과 청소년에게 어떤 도움을 줄 수 있을까요?
1. 사회적 지지
청소년기는 소속 욕구가 가장 강하고 예민한 시기로, 소속 욕구가 만족 되지 못하면 반항적인 집단과 유대를 형성할 만큼 정서적으로 불안정한 경향을 보입니다. 또래나 교사의 지지 등의 사회적 지지가 부족하여 소속감을 느끼지 못하는 청소년은 학업 활동을 하는 동안 쉽게 지루해하고, 걱정하고, 좌절하며 싫증을 느낍니다. 사회적 지지를 통해 소속감을 느끼게 되면 우울, 불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2. 인지행동치료
불안장애의 치료에서 약물치료를 제외한다면, 불안장애의 종류별 진단 특이적 인지행동치료가 가장 효과적이고, 비용대비 효율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불안 완화를 위한 인지행동치료는 불안과 동반된 우울 증상에도 직, 간접적으로 치료 효과를 보인다는 연구가 있습니다. 내담자의 불안이 경감됨에 따라 회피를 하지 않게 되면, 긍정적 상황에 노출되거나 사회적 관계를 맺을 기회가 증대되고, 자연히 행동활성화 치료가 되면서 우울 증상도 경감된다고 합니다.
3. 다양한 매체를 이용한 심리치료
놀이치료는 불안한 아동이 다양한 게임을 통해 게임이 주는 긴장을 견디며 점차 자신의 불안을 조절하고, 게임에서 성취하는 경험을 가지며 자신의 유능감을 획득하는 과정을 거치며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타인 및 세상에 대해 갖는 두려움과 자신을 보호하고 싶은 욕구를 표현하고, 평소 자신의 욕구를 적극적으로 표현하지 못하고 긴장하고 위축이 되는 것을 치료과정에서 표출하며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4. 집단상담프로그램
자기존중감이란 자신을 존경하고 가치 있는 존재로 여기는 것이며, 자아탄력성은 변화하는 상황적 요구나 스트레스 상황에서 융통성 있게 반응하여 보다 잘 적응할 수 있도록 하는 개인의 조절 능력을 말합니다. 많은 연구에서 자기존중감과 자아탄력성은 우울과 불안에 많은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사회적 지지는 한 개인이 대인관계로부터 얻을 수 있는 모든 긍정적 자원을 의미하며, 심리사회적 스트레스로 인한 다양한 정신적 문제들에 많은 도움을 준다고 합니다. 안전한 치료 환경에서 또래들과 함께 활동을 진행하며 지지를 받고, 다양한 성취를 경험하는 것은 이러한 부분에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본 센터는 아동과 청소년을 비롯한 모든 연령의 상담을 진행하는 센터로 사회성 발달을 위한 집단상담, 치료놀이 및 각종 상담방식이 다양한 치료센터입니다. 또한 전문 치료사가 배치되어 고민하고 어려워하는 부분을 정확하고 친절하게 상담을 해드리고 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홈페이지를 방문하시어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이향숙 소장님 인터뷰 및 칼럼] >> 학습부진에 시달리는 아이
[상담 후기] >> 학교 부적응 청소년이 소장님 개별 상담을 종결하며
[온라인 상담하러 가기]
[이향숙 소장님]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아동복지학과 박사 (아동심리치료전공)
상담 경력 25년, 대학교수 및 외래교수 경력 30년
현) KG 패스원사이버대학교, 서울사이버평생교육원 외래교수
KBS, MBC, SBS, EBS, JTBC, 조선일보, 동아일보, 중앙일보, 청와대신문 등 아동청소년가족상담 자문
자격) 미국 Certified Theraplay Therapist (The Theraplay Institute)
심리치료 수련감독자 및 상담전문가 1급 (한국상담학회)
부부가족상담 수련감독자 및 상담전문가 1급 (한국상담학회)
사티어 부부가족 상담전문가 1급 (한국사티어변형체계치료학회 공인)
청소년상담 수련감독자 및 상담전문가 (한국청소년상담학회 공인)
재활심리치료사 1급 (한국재활심리학회 공인)
사티어의 의사소통훈련 프로그램 강사/ 사티어 부모역할훈련 프로그램 강사
MBTI 일반강사/ 중등2급 정교사/ Montessori 교사/ 유치원 정교사/ 사회복지사/ 보육교사 등
인터뷰) 이향숙 박사 “아이 사회성 교육의 중요성”
https://tv.naver.com/v/15458031
저서) 초등 사회성 수업 , 이향숙 외 공저. 메이트북스 (2020)
>> 언제까지 아이에게 친구들과 사이좋게 잘 지내라는 뜬구름 잡기식의 잔소리만 할 것인가? 초등학생인 우리 아이의 사회성을 길러줄 수 있는 답이 이 책에 담겨 있다. 사회성에 대해 20여 년간 상담하고 관련 프로그램을 개발해 아이의 사회성에 대한 고민을 해결해온 이향숙 박사의 오랜경험과 노하우가 이 책 한 권에 고스란히 담겨 있다. (책 소개 中)
*참고문헌
이성은, 김승곤, 김상훈, 박상학, 서은현, 윤형준. (2020). 의과대학생의 사회불안장애 증상과 자기존중감, 자아탄력성 및사회적 지지 사이의 연관성. 대한불안의학회지. 16(2). 98-105.
김선영, 김은진, 전상원, 신동원, 신영철, 오강섭. (2019). 불안장애에 동반된 우울증상에 대한 Psychotherapies의 효과비교 : 체계적 문헌고찰. 대한불안의학회지. 15(1). 20-28.
김다정, 선우현. (2016). 놀이치료 내담 아동의 놀이 주제 비교.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27(2).
9-36.
김현주, 김자경, 신보희. (2015). 중·고등학교 통합학급 장애학생의 학교소속감과 우울, 불안 간의 관계. 정서·행동장애연구. 31(3). 153-175.
*사진첨부: pixabay
*작성 및 옮긴이: 한국아동청소년심리상담센터 인턴 박소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