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건적(紅巾賊)의 고려침입(1359년)
중국 원나라 말기 하북성과 복건성 일대에서 일어난 한족 반란군 중 하나로 백련교도들이 중심이 되어 봉기하였다. 본래 홍건군이라고 하지만 고려에서는 이들로 인해 피해를 많이 봤던 탓에 홍건적, 홍두적, 홍적 등 도적으로 부른다. 홍건이란 것은 황건적처럼 머리에 붉은 수건을 두르고 다닌 것에서 유래했다.
결국 원나라는 무너지고, 홍건적 출신의 주원장이 명교의 이름을 따서 명나라을 세웠으니 중국 역사에서 몇 안되는 성공한 반란이라고도 할 수 있겠다.
원나라 말기에 봉기한 세력은 장사성, 방국진 등을 제외하면 대부분 홍건적 계열의 세력이다.
현대는 민중 사관의 발현으로 황건적을 황건군이라 고친 것 같이 홍건적 역시 홍건군이라고도 칭한다.
2. 경과
13세기 전반에 몽골족의 원나라에 억압받던 한족 들이 반란을 일으키기 시작했다.
이 중 한 세력인 홍건군은 크게 동계 홍건군, 서계 홍건군으로 둘로 나뉘었다. 동계 홍건군은 송나라 (한송, 명송, 홍송) 재건을 선언하여 당시 유행하던 백련교를 업고 미륵불과 송휘종의 8세손이라 자칭했던 홍건적의 수령인 한산동이 원나라의 공격으로 붙잡혀서 참수당하자 1351년에 유복통이 한산동의 아들 한림아를 내세워 소명왕으로 칭하여 세력을 이어갔다. 서계 홍건군은 서수휘가 1351년에 황제를 자칭하면서 국호를 천완국이라 칭하였다.
동계 홍건군이 북벌을 시행하여 원이 수도를 옮기게 하는데 성공한 직후, 내분이 일어나고 그 안에서 따로 독립하는 세력까지 나타나면서 대부분이 원의 반격을 받아 1366년에 동계 홍건군의 대송국이 멸망하였고, 서계 홍건군도 내분으로 서수휘가 살해당하면서 1360년에 서계 홍건군의 천완국이 멸망했다.
이들이 멸망하자 대부분 홍건적에게서 독립한 세력들끼리 새 시대의 패권을 두고 싸웠는데 동계 홍건군에서 독립한 세력 중에서는 곽자흥 휘하에 있다가 그가 죽자 세력을 흡수한 주원장, 서계 홍건군에서는 서수휘를 죽이고 한(진한)을 건국한 진우량, 하(명하)를 세운 명옥진이 있으며 그 밖에 홍건적에 속하지 않은 방국진, 장사성, 진우정 등이 군웅할거를 벌였다.
그러나 결국 소명왕 한림아를 내세운 주원장이 최종적으로 승리하게 되었으며, 한림아는 주원장의 꼭두각시가 된 끝에 익사 사고를 가장하여 죽여버렸기 때문에 주원장이 명나라를 건국하게 된다.
모거경이 홍건적을 이끌고 고려 공민왕 4년 이후 여러 차례 고려를 침범해 들어와 수도인 개경을 함락시키는 등 많은 피해를 입혔으며 왕은 안동까지 몽진했다. 공격 이유로는 두가지 정도가 추측된다. 원의 반격을 피하기 위한 재기 공간이 필요한 상황에서 원보다 상대적으로 약한 한반도의 고려가 좋은 타겟이었고, 그 고려는 원나라의 부마국이므로 원• 고려가 동맹이라 간주할만한 관계였다. 실제로 갈등이 심화되던 양국은 홍건적의 준동 이후 공동 대응에 나서야 했다.
홍건적의 침입 와중에 고려는 많은 사회적 혼란과 변화를 경험하였는데 우선 경기 지방의 호적이 망실되는 등 국가의 지배력이 크게 약화되었고 권세가에 의한 토지와 인구의 탈점이 널리 행해지면서 신분제의 혼란과 농장의 발달 등이 더욱 촉진되었다. 홍건적을 물리치는 과정에서 최영과 이성계 등 새 무신들이 정치적으로 크게 부각되었다.
한편 공민왕의 개혁 정책도 이 때문에 상당 부분 실패하게 된다. 홍건적을 격퇴하는 과정에서 원의 힘을 빌리지 않을 수 없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런 관계는 이후 (북)원과 고려 모두 망할 때까지 이어지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