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흑삼릉.
약재로 쓰이는 삼릉에는 세 종류가 있다.
그 중에서도 "흑삼릉"은 굵고 짧은 덩이줄기와 매끄러운 줄기가 특징이다.그래서 다른 이름으로 "영근"또는 "광삼릉"이라 부르며 약재로써의 효과도 제일 좋다.
서리가 내리는 절기인 상강 이후에 뿌리를 채취하여 잎과 수염뿌리를
제거하고 깨끗히 씻어 껍질을 벗겨 햇볕에 말려 약으로 사용한다.
흑삼릉의 맛은 달고 맵다.그러나 "개보본초"에는 "맛이 쓰다"고 하였다.성질은 평한데 "본초습유"에는 "평하고 따뜻하다"고 했으며 다른 의서인 "일화자제본초"에는 성질은 서늘하다고 했다.
독성은 없다.
*.흑삼릉의 효과.
1.기체[氣滯]의 해소 작용.
흑삼릉은 기의 순환을 좋게하여,"기체"에 의한 통증을 감소시키는 효능이 있으며 "기체"에 의해서 복강 내에 생긴 응어리를 없애준다.
간경화에 의해 간장과 비장이 종대하고 흉협통이 있으며 복수가 찰 땓도 쓰이며,징가[주로 부인과 질환인 복강내 응어리]나 결괴[복강내 응어리]를 풀기도 한다.
2.어혈의 흡수촉진 작용.
기체에 의한 복강내 어혈이나 혈괴[비생리적인 피의 응어리]의 흡수를 촉진하는데,이를 "어혈의 파괴"작용이라고 해서 "파어"작용이라고 한다.따라서 어혈로 인해 복통이 있거나 월경통,월경불순,월경불통에 사용되며,부인과 질환의 종괴와 혈적[어혈 축적에 의한 염증 및 종양의 일종]에 쓰인다.또 유산 목적으로 쓰이거나 산후의 어지럼증,복통,오로불하[해산 후에 분비물이 원활히 배출되지 못하는 증상]에 쓰이며,타박상에 의한 어혈을 치료하는 데 쓰인다.
3.건위작용.
흑삼릉이 함유하고 있는 정유에는 방향건위 작용이 있어서 "기체"로 인한 가스 정체,명치 밑 통증과 그득함,장명[뱃속이 꼬르륵,출렁거리는 소리가 나는 증]등에 쓰인다.위장관의 연동운동을 강화하고 소화를 촉진하며 진통을 시킨다.
*.흑삼릉의 복용법.
1."징가"로 복부에 덩어리가 만져질 때.
"징가'는 주로 부인과 질환의 복강내 응어리를 말 하는데,삼릉 1 키로를 물 90리터로 끓여 18리터 정도가 될 때까지 달여서 찌꺼기를 제거한 다음 다시 달인다.그런 다음 9리터를 만들어서 구리그릇 속에 가마를 겹쳐 놓고 조청처럼 달인 다음 꺼내어 밀폐된 그릇에 넣고 청주 1컵에 약 1숟가락을 넣어 1일 2회 공복에 복용한다.
*.가정에서는 만들기가 힘듭니다.참고만 하세요.
2.어혈로 인한 월경불통 및 복부가 아픈 데.
삼릉 12그램/ 당귀 12그램/ 생지황 12그램/ 홍화 6그램을 물 500~700CC로 달여서 반으로 줄여 하루에 나누어 복용한다.
3.식후에 뭔가가 얹힌 듯한 데.
복부까지 팽만해지는 경우에 삼릉 12그램과 나복자[무우의 씨]12그램을 물 500C로 달여 반으로 줄면 하루에 나누어 복용한다.
4.여성의 "혈가"로 아픈 데.
"혈가"는 어혈 축적으로 월경불통하고,배꼽 밑에 컵 크기의 단단한 응어리가 있어 아프며,음부에 냉기가 느껴지고 등뼈가 아프고 허리가 아파 구부리거나 뒤로 젖히지 못하는 병증인데,삼릉80그램/ 봉출 80그램/원화 20그램/ 청피[속을 깨끗히 제거한 것]60그램을 콩알 크기로 잘게 썰어서 양질의 식초 1,8리터로 달여서 건조시켜 약한 불에 쬐어 말려 곱게 가루로 만들어 식초로 개어 녹두알 크기의 환을 만들어 1회에 50알씩 식전에 농도가 낮게 식초를 희석한 물로 복용한다.
5.부인과 질환에 좋은 "초삼릉"
부인과 질환에는 "초삼릉"을 만들어 쓰면 아주 좋다.
만드는 법은 냄비에 물을 끓이면서 삼릉을 넣고 끓여서 물이 반정도 줄었을 때 식초를 넣고 또 끓여서 수분이 8할 정도가 없어지고 나면 물은 더 넣지 말고 불을 끈 후 뚜꺼을 덮고 충분하게 남은 수분을 침투시킨 다음 꺼내서 외피에 수분이 없어질 때까지 건조시키고 얇게 썰어서 햇볕에 말린 것이 "초삼릉"이다.
삼릉과 식초의 비율은 10대 3으로 한다.
*.주의사항.
기가 허약하고 몸이 약한 사람,허약하여 월경이 끊긴 사람 및 임산부는 복용하면 안 된다.어혈을 풀어 주는 약들은 그 성질이 강하여 정기를 손상시키기 쉽기 때문이다.
*.함암제로서의 흑삼릉.
암[癌]자료란을 참고하세요.항암제로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검증이 된 약초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