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인천향교(仁川鄕校) 추기석전제(秋期釋奠祭)
<제관(祭官) 소개>
최승원(대축관) 장의, 신건범 장의, 성기민 전교 / 구청장 소개 / 의회의장 소개 / 이제만(李濟滿) 집사(執事)
금년(2022년)이 공자님이 태어나신 해로 보면 공기(孔紀) 2573년, 인천향교에서는 9월 28일에 추기석전대제(秋期釋奠大祭)를 올렸고 황공하게도 참례하는 행운을 잡아 기록으로 남겨본다.
인천향교의 역사를 살펴보면 인터넷에서는 건립시기가 조선시대로 추정되며 정확한 연도의 기록은 없지만 인천향교의 자료를 보면 최초건립시기가 고려인종 5년(1127)이라 추정되고, 이 또한 구전(口傳)으로 전하는 내용으로 정확한 문헌(文獻)은 없다고 한다. 인천향교는 인천시 미추홀구(彌鄒忽區) 매소홀가(買召忽街)에 위치한 인천시 문학동(文鶴洞) 문학산(文鶴山) 기슭에 위치하며 우선 건물의 배치부터 살펴본다.
※미추홀(彌鄒忽)과 매소홀(買召忽)은 신라(新羅)시대 인천을 부르던 지명(地名)이다.
인천향교(仁川鄕校)는 문학산 기슭 맨 위쪽 가운데 대성전(大成殿)이 있고 좌우에 동무(東廡)와 서무(西廡)가 있고 이곳은 성현(聖賢)들의 위패(位牌)를 봉안(奉安)하고 제례(祭禮)를 올리는 제향공간(祭享空間)이다. 10여 계단 아래로 내려오면 작은 마당이 있고 좌우에 동재(東齋)와 서재(西齋), 그리고 아래쪽에 잇닿아 명륜당(明倫堂:敎室)이 들어서 있으며 이곳은 유생(儒生)들이 공부하던 강학공간(講學空間)이다.
동재(東齋)는 양반 자제들이 기거하던 방이고 서재(西齋)는 평민자제들이 기거하던 방이며, 명륜당과 맞붙어 재실(齋室)이 있는데 이곳은 제례(祭禮)를 준비하는 공간이다.
제관(祭官) 입장 / 진설(陳設-다례상 차리기) / 고축(告祝) / 관세위(盥洗位-손 씻는 곳)
인천향교는 비교적 단출한 구조이지만 주요 건물들이 골고루 갖추어져 있다.
나는 작년의 추기석전제도 참관했었는데 코로나(Covid-19)로 인해 극소수의 제관들만 참여하고 일반 관광객은 일체 금지하여 초간소(超簡素) 제향고유제(祭享告由祭) 형식으로 치러졌으며 제관 15~6명이 전부였다. 그러나 금년은 크게 성대하지는 않았지만 모든 절차를 엄숙히 준수하고 일무(佾舞)까지 빠뜨리지 않았으며 초헌관(初獻官)으로 인천 미추홀구 구청장(區廳長) 이영훈(李泳勳)님, 아헌관(亞獻官)은 미추홀구 의회의장(議會議長)인 배상록(裵相錄)님, 그리고 종헌관(終獻官)은 장의(掌議)이신 장기빈(張基彬) 님이 맡았고 제례(祭禮) 진행자(司會者)인 집사(執事)는 향교 사무국장(事務局長) 이제만(李濟滿)님이다.
이 모든 제례의 총책임을 맡은 봉행위원장(奉行委員長)은 제26대 전교(典校)인 성기민(成耆敏)님이셨다. 제례를 봉헌하기 전 간략한 참례자(參禮者/奉獻者) 소개가 있었다.
제례의 봉행(奉行)을 순서대로 약술(略述)해 본다.
사배(四拜) 올리기 / 폐백(幣帛) 올리기 / 격고(擊鼓-시작) / 망예(望瘞:燒紙-끝맺음)
<봉행(奉行) 차례> 집사(執事:司會者) - 향교 사무국장(事務局長) 이제만(李濟滿)
- 시보격고(時報擊鼓) : 시작을 알리는 북 울리기 -
1. 영신례(迎神禮) - 집례자(執禮者)들은 4배(四拜)하고 모든 참례자들은 일어서서 머리를 수그린다.
2. 전폐례(奠幣禮) - 초헌관(初獻官:미추홀구청장 李泳勳)
◆관수(盥手) - 헌관(獻官)은 관세위(盥洗位)에 나아가 손 씻기
<대성전(大成展)으로 들어가 가운데 공자 위패(位牌) 앞에 나아가>
◆봉향(奉香) - 삼상향(三上香) - 화로에 향을 넣어 올리기 ◆독축(讀祝) - 축문(祝文) 낭송(朗誦)
3. 초헌례(初獻禮:初獻官) : 대성위(大聖位:孔子)와 4성위(四聖位:顔子,曾子,子思子,孟子)
◆궤향(饋香) - 술(祭酒) 올리기(封爵) ◆독축(讀祝) - 축문(祝文) 낭송(朗誦)
4. 아헌례(亞獻禮:亞獻官: 아헌관(미추홀구 의회의장 裵相錄) : 5성위(五聖位)
◆궤향(饋香) - 술(祭酒) 올리기(封爵)
5. 종헌례(終獻禮:終獻官) : 5성위(五聖位)
◆궤향(饋香) - 술(祭酒) 올리기(封爵)
6. 동서종향분헌례(東西從享分獻禮:分獻官) - 한국 18현(十八賢)에 잔 올리기(封爵)
◆봉향(奉香) - 삼상향(三上香) : 화로에 향을 넣어 올리기 ◆궤향(饋香) - 술(祭酒) 올리기(封爵)
7. 행음복(行飮福) : 수조례(受胙禮) - 초헌관(初獻官)
◆행음복(行飮福) - 술을 따라 복(福)을 마시는 절차(飮福)
◆수조례(受胙禮) - 제사 올린 고기를 맛보는 절차(受胙) ◆독축(讀祝) - 축문(祝文) 낭송(朗誦)
8. 철변두(徹籩豆) : 다례상 정리하기(치우기) <오른쪽으로 조금 옮겨 놓는다.>
9. 망예례(望瘞禮:燒紙) : 축문(祝文)을 불사르는 절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