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저먼 스피츠 자이언트 (German Spitz Giant, 그로스 스피츠)
► 이 명 : 그로스 스피츠(Gross Spitz), 그로셔스피츠(Großspitz), 라지 스피츠(Large Spitz), 저먼 스피츠 그로스(German Spitz Gross), 저먼 그로셔 스피츠(German Großspitz), 도이처 스피츠 그로스(Deutscher Spitz Gross), 도이처 그로스스피츠(Deutscher Grossspitz), 그레이트 스피츠(Great Spitz), 저먼 스피츠(German Spitz), 도이처 스피츠 자이언트(Deutscher Spitz Giant), 그로스(Gross), 그로셔(Groß)
► 외 관 : 자이언트 스피츠(Giant Spitz) 또는 그로스 스피츠(Gross Spitz)의 크기는 평균 체고가 42~50㎝이고, 평균 체중은 15~20kg 정도되는 중형견이다. 모색은 일반적으로 뚜렷하게 고정된 단일색의 백색, 흑색, 갈색 등 세 가지의 모색을 가지고 있다. 클라인 스피츠(Klein Spitz)와 포메라니안(Pomeranian)이 유사해 보이지만 이들은 같은 개가 아니다.
저먼 스피츠 종들은 겉모습이 대체적으로 비슷하지만 유형별로 거의 모든 개들의 모색은 다양하다. 보통 검은색, 흰색, 회색, 오렌지색, 갈색, 크림색, 그리고 거의 백색(white-ish)에 가까운 색깔 등 다양하다. 그러나 스탠더드, 스몰, 드워프 유형의 개들 또한 다양한 색의 조합을 가질 수 있다. 모든 저먼 스피츠는 늑대나 여우 같은 털, 이중모(더블 코트), 높이 선 삼각모양의 귀, 그리고 등 뒤로 동그랗게 말리는 꼬리를 가지고 있다.
► 설 명 : 저먼 스피츠 자이언트의 성격은 항상 집중력이 뛰어나면서도 생기발랄하며, 주인에게 지극히 헌신하고, 고분고분하여 훈련시키기가 수월하다. 주인뿐만 아니라 그 가족들 하고도 애정 어리는 귀여운 견종 이다. 적응력이 가장 뛰어나고, 주인을 즐겁게 해주는 가족의 한 구성원으로 손색이 없다. 늘 온화하고 대담하며, 신경질이나 적대감을 결코 나타내지 않는다. 반면에 낯선 사람을 싫어하고, 사냥 본능이 없어서 집이나 농장을 지키는 경비견이나 번견으로서도 적합하다. 낯선 이에게 주저하지도 않지만 그렇다고 공격적이지도 않다. 실내생활에도 잘 적응하므로 아파트나 공동주택 및 도심의 밀집 형 단독주택에서도 쉽게 기를 수 있다. 한적한 시골의 넓은 마당이 딸려있는 단독주택이나 전원주택 등에서 기르면 보다 건강하고 장수할 수 있다. 주인을 잘 따르므로 다양한 연령층에서 쉽게 기를 수 있다. 평균 수명은 13~15년 정도이다. 한재에 낳는 새끼 수는 4~6마리 정도이다.
► 주 의 : 특별히 알려진 유전적 질환은 없으며, 질병에 대한 내성도 비교적 강한 편이다. 다만, 관절 부위에 대한 질환과 슬개골 탈구, 여러 알레르기 등에는 조심해야 한다. 결막염 등 각종 안과관련 질병도 관심대상이다.
활발하고 영리하며, 순종적이고 학습 능력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흥분하거나 육체적인 에너지 소모를 위해 원을 도는 특징이 있으며, 가족에 대한 집착과 동반자 성격이 강하여 혼자 있는 것을 싫어하고, 지루할 경우 과도한 짖음이 문제가 될 수 있다. 분리불안증에 쉽게 노출될 수 있으므로 무엇엔가 열중하게 하는 것이 분리 불안증 예방에 도움이 된다. 운동량도 많은 편이지만 스트레스를 주지 않기 위해서라도 매일 30분 정도의 규칙적인 운동과 산책은 필수적이다. 주인과 함께 있거나 산책하는 것을 매우 좋아한다.
식탐은 그렇게 많은 편이 아니지만 개체에 따라서는 강한 식품을 보일 수 있으며 이러한 개체는 식사량을 적절하게 조절해야 비만견이 되지 않는다.
털이 긴 장모종이지만 털 빠짐은 그렇게 많은 편은 아니다. 평상 시에는 수시로 빗질을 해 주어서 빠진 털을 제거해 주는 것이 좋다. 미용은 일 년에 두세 번 정도면 충분하며, 목욕은 한 달에 두 번 정도는 해 주는 것이 좋다. 털이 이중모 구조이고 풍부한 털로 인하여 추위에는 비교적 잘 견딘다.
► 기 원 : 저먼 스피츠(German Spitz)의 원산국은 독일이다. 독일 스피츠(German Spitz)는 슈피체(Spitze)라고 하는 독일어에서 파생된 견명으로 저먼 스피츠(German spitz), 플루럴 스피체스(plural spitzes)라고도 하는 저먼 스피츠는 일부 켄넬 클럽에서 표준화된 개 품종과 몇몇의 개별 품종으로 구성된 개의 범주 또는 종류를 모두 가리키는 데 사용된다.
여러 가지의 다양한 현대 품종들은 원래는 저먼 스피츠로부터 개발되었으며, 켄넬 클럽에 따라 개별 품종으로 등록되거나 저먼 스피츠의 품종으로 등록된다. 저먼 스피츠 유형의 개들은 모두 독일을 기원으로 하는 폭넓고 광범위한 스피츠 유형의 개들이다.
저먼 스피츠 자이언트의 기원은 석기시대에 존재했던 토탄 견(토착 견, 토르프 훈트 또는 개과 동물의 일종)과 그 이후 등장하여 호숫가(수상가옥) 주민들이 키우는 스피츠로 불리던 개 등 유럽 중앙지역에서 가장 역사가 깊은 견종의 후손이다.
스피츠 유형의 저먼 스피츠 자이언트는 몸매가 콤팩트하고 조밀하며, 쭈뼛쭈뼛 서있는 털과 뒤쪽에는 꼬리가 말아 올려 지면서 휘어져 있고, 머리는 여우와 같은 모습을 하고 있다. 저먼 스피츠 자이언트의 고고학적인 연구 결과에 따르면 석기 시대의 유사한 체격과 크기를 가진 개들이라고 한다. 즉 저먼 스피츠가 중세 시대에 바이킹족들과 함께 독일로 넘어왔을 가능성이 가장 높은 북유럽의 사모예드와 라프훈트의 후손으로 추정되며, 스피츠들은 고대 품종이 되었다. 그 중에서도 저먼 스피츠 자이언트가 가장 원형에 가깝다. 그 이후 저먼 스피츠 자이언트는 유럽 전역에 퍼졌고, 거기서 다른 목양견들과 함께 길러졌다. 저먼 스피츠 자이언트들은 원래 목축 견 및 경비견으로 사용되었지만 지난 몇 세기 동안 주로 반려 견으로 많이 길러져 왔다.
► 비 고 : 저먼 스피츠 자이언트는 2013년 1월 17일자로 FCI(세계 애견연맹) 분류 그룹 5 스피츠 및 프리미티브 타입 그리고 섹션 4 유러피언 스피츠 스탠다드 No. 97로 등록이 되었다. 저먼 스피츠 중 저먼 스피츠 자이언트는 공인 번호 97b이다. 이 외에도 AKC – FSS, ANKC, KC (UK), NZKC , UKC 등을 비롯하여 세계 유수의 켄넬 클럽 및 애견 단체에 대부분 가입되어 있다.
세계 애견 연맹(FCI)에서는 저먼 스피츠를 크기에 따라 5가지로 분류하고 있다. 자이언트 스피츠는 라지 스피츠(Large Spitz), 그레이트 스피츠(Great Spitz), 그로스 스피츠(Gross Spitz) 또는 그로셔스피츠(Großspitz)라고도 하며, 양떼를 보호하는 스피츠 유형의 개들과 비교해 보면 평균 체고가 42~50㎝ 정이며, 실제로는 그다지 크지 않다. 저먼 스피츠의 다섯 가지 품종 가운데 두 번째로 큰 견종이다.
□ 공식 견종 표준
► 외형 : 저먼 스피츠 자이언트의 크기는 체고 42~50㎝, 체중 15~20kg 정도되는 중형견으로 수컷이 암컷보다는 조금 더 큰 편이거나 비슷하다. 저먼 스피츠 계열의 견종들 중에서는 두 번째로 크지만 실제는 자이언트라는 이름만큼 그렇게 크지는 않다. 일반적인 애완견 그룹인 토이 그룹에 속하지만 주로 가축 경비견으로 길러지고 있으므로 실제로는 일반적인 사역견을 의미하는 워킹 그룹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외모는 풍성한 하모와 바깥으로 뻗어 나온 아름다운 피모로 인해 보는 이들의 눈길을 사로잡는다. 특히 목둘레에 칼라처럼 두툼하게 형성된 털(러프)과 등 위로 바짝 들어 올린 두툼한 꼬리가 인상적이며, 여우를 닮은 머리, 기민하게 빛나는 눈, 서로 가까이 붙어 있는 작고 뾰족한 두 귀도 사뭇 당당해 보이는 스피츠만의 독특한 인상을 만든다. 신체 비율은 체고와 체장의 비율이 1:1정도이다.
► 머리 : 머리의 크기는 중간 정도이고, 위에서 내려다보면 후두부가 가장 넓고 코끝으로 갈수록 쐐기 모양처럼 폭이 좁아진다. 스톱은 적당히 정확하게 드러나지만 과도하게 두드러지지는 않는 편이다.
• 코 : 코는 둥글고 작은 편이며, 코의 색은 순수한 흑색이다. 다만 모색이 갈색인 경우에는 코가 진한 갈색이어도 허용이 된다.
• 입 : 주둥이는 지나치게 길지 않고 머리 전체와 비율이 잘 맞은편이며, 주둥이 길이와 머리 길이의 비율은 약 2 : 3 정도이다. 입술은 과도하게 드러나지 않고 턱에 밀착되어 있으며, 입 양쪽 가장자리에는 주름이 형성되지 않는다. 입술 전체의 색은 검은색이며, 모색이 갈색인 경우에는 입술도 갈색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빨과 턱은 적당히 발달한 수준이며, 이빨은 치식에 따라 42개가 모두 갖추어져 있다. 윗니가 아랫니를 덮고 단단하게 맞물리면서 턱과 정사각형을 이루는 협상교합이지만 절단교합도 허용된다. 볼은 약간 둥근 편으로 튀어나오지는 않았다.
• 눈 : 눈의 크기는 중간 정도이며, 길쭉하고 아래로 살짝 쳐진 형태이다. 눈의 색은 짙은 편이다. 눈꺼풀은 모색과 상관없이 모두 검은색이지만 털이 갈색인 경우에는 눈꺼풀이 진한 갈색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 귀 : 귀는 작으며, 두개골에서 높은 곳에 위치한다. 두 귀 사이의 간격은 좁고, 모양은 삼각형으로 끝이 뾰족하다. 귀는 항상 곧게 세워져 있으며, 끝부분도 꼿꼿하게 서 있다. 이러한 모습에서 전형적인 여우의 모습을 찾아볼 수 있다.
► 목 : 목의 길이는 중간 정도이며, 어깨와 만나는 부위가 굵고 약간 아치형으로 굽어 있다. 목 줄기는 늘어지지는 않는 편이며, 굵은 털이 커다란 갈기 모양을 이루면서 풍성하게 덮고 있어서 여우처럼 보인다.
► 몸통 : 등선은 위로 쫑긋 세운 귀 끝을 시작점으로 일자로 쭉 뻗은 짧은 등까지 완만한 곡선을 이루고 있으며, 털이 풍성하게 덮인 빗자루 모양의 꼬리가 등 일부를 덮고 있어서 그 부분의 등 윤곽이 둥그스름하게 보인다. 기갑과 등은 최대한 짧을수록 좋고, 일자로 탄탄하게 뻗어 있으며, 높이 튀어 나온 기갑과 등이 구분되는 지점 없이 자연스레 이어져 있다. 허리는 넓적하고 근육질이며, 엉덩이도 넓적하면서 짧은 편으로 길게 늘어지지 않았다. 가슴은 깊이가 길고, 늑골은 충분히 휘어져 있으며, 앞가슴은 잘 발달되어 있다. 복부윤곽과 복부는 가슴이 최대한 길게 이어질수록 좋으며, 복부는 약간 홀쭉한 편이다.
► 꼬리 : 꼬리의 길이는 중간 정도이며, 엉덩이에서 높은 곳에서 시작되고. 뿌리부터 곧게 위로 들어 올려서 말린 꼬리를 등 위에 올리고 있다. 꼬리를 등에 고정된 것처럼 올리며, 풍성한 꼬리털이 등에 드리워져 있다.
► 사지 : 앞다리의 전체적인 모습은 곧게 뻗어 있고, 정면에서 보면 제법 넓적한 편이며, 어깨뼈는 길고 뒤로 충분히 젖혀진 형태이다. 근육이 잘 발달되어 있고, 가슴과 이어지는 부위는 탄탄하다. 앞다리 상부는 어깨뼈와 길이가 거의 동일하며, 어깨와 90도로 만나는 모습이다. 무릎은 관절이 튼튼하고, 가슴과 매우 가까이 위치하며 방향이 안쪽으로나 바깥쪽으로 치우치지 않았다. 전완은 체고와 잘 맞는 적당한 길이로 단단하고, 완벽한 일자로 곧게 뻗어 있으며, 뒷부분에는 긴 장식 털로 덮여 있다. 앞다리 발목의 길이는 중간 정도이고 튼튼하며, 바닥과 이루는 각은 20도 정도이다. 앞발은 최대한 작을수록 좋으며, 둥글면서 발가락을 꼭 쥐고 있어서 고양이 발과 닮았다. 발가락은 위로 볼록하고, 발톱과 패드는 모색과 상관없이 검은색이지만 털이 갈색인 경우에는 진한 갈색이다.
뒷다리의 전체적인 모습은 근육이 상당히 발달되어 있고, 비절에는 긴 털이 풍성하게 덮여있다. 뒷다리는 일자로 곧게 뻗어 있으며, 두 다리는 평행을 이루고 있다. 허벅지 상부와 하부는 길이가 거의 동일하고, 무릎은 탄탄하고 약간 굽어 있으며 방향이 안쪽으로나 바깥쪽으로 치우치지 않았다. 비절의 길이는 중간 정도이고 매우 탄탄하며, 바닥과 수직으로 만난다. 뒷발은 최대한 작을수록 좋으며, 둥글고 발가락을 꼭 쥐고 있어서 고양이 발과 닮았다. 발가락은 위로 볼록하며, 패드는 두툼하다. 발톱과 패드의 색은 최대한 짙을수록 좋은 평가를 받는다.
► 털과 색 : 피부는 주름 없이 밀착되어 있는 편이다.
털은 이중모 구조이다. 상모는 긴 직모가 피부와 떨어져서 바깥쪽으로 뻗어 있고, 하모는 솜털 같은 짧은 털이 두툼하게 형성되어 있다. 머리, 귀, 앞다리와 뒷다리의 앞부분, 발에는 짧고, 두툼한 털(벨벳 느낌)이 덮여 있으며, 나머지 부분에는 긴 털이 풍성하게 나 있다. 털에 웨이브가 있거나 털이 곱슬거리거나 밧줄처럼 꼬이지 않아야 하며, 등에서 양 갈래로 나뉘지 않아야 한다. 목과 어깨는 두툼한 갈기로 덮여 있고, 앞다리 뒷부분에는 긴 장식 털이 자라며, 뒷다리도 엉덩이부터 비절까지 기다란 털이 가득 덮여 있다. 꼬리에도 털이 풍성하게 나 있다.
모색은 일반적으로 뚜렷하게 고정된 단일색의 흰색, 검은색 그리고 갈색 등 세 가지의 털 색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다만 갈색에서는 색상의 짙고 옅음에 대해서는 경우에 따라선 인정이 되지만 흰색이나 검은색의 경우 다른 색상의 혼색은 인정되지 않는다.
► 걸음걸이 : 걸음걸이와 움직임은 추진력을 충분히 받아서 일자로 곧게 걷는다. 걸음걸이는 유연하고 경쾌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