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금융시장: 대선 불안 및 국채 매도세 속 연착륙 기대에 위험자산 약세 제한
주가 하락[-0.03%], 달러화 강세[+0.3%], 금리 상승[+3bp]
ㅇ 주가: 미국 S&P500지수는 대선을 앞둔 관망세 속에서 연착륙 기대에 힘입어 약보합
유로 Stoxx600지수도 기업실적 부진의 영향으로 0.03% 하락
ㅇ 환율: 달러화지수는 트럼프 트레이드, 국채금리 상승 등의 영향으로 강세
유로화와 엔화 가치는 모두 0.3% 하락
ㅇ 금리: 미국 10년물 국채금리는 경기지표 호조에 따른 금리인하 지연 우려에 상승
독일은 일부 ECB 인사들의 성급한 금리인하에 대한 경계감을 반영하며 2bp 상승
※ 뉴욕 1M NDF 종가 1386.4원(스왑포인트 감안 시 1388.45원, 0.1% 하락). 한국 CDS 강보합
금일의 포커스
n ECB 주요 인사들, 12월 금리인하 및 인하폭에 대한 의견 차이 분분
○ 라가르드 ECB 총재, 임금 상방압력이 여전히 높지만,
소비자물가 둔화가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음을 재차 강조.
경제성장에 대해서는 경기심리 악화가 소비 및 투자 반등에 걸림돌이 될 수 있음을 경고
○ 심쿠스 리투아니아 중앙은행 총재, 금리가 여전히 제약적인 수준에 머물고 있어
12월 금리인하에 대해 찬성.
다만, 최근 데이터를 감안하면 50bp 인하는 정당화하기 어려우며,
시장은 단일 금리 인하폭에 집중하기보다
최종 금리에 대해 더 많은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고 주장
○ 나겔 독일 중앙은행 총재, 성급한 금리인하를 경계해야한다는 전날 발언에 이어
유로존 인플레이션이 기존 예상인 2025년 4분기보다 빠르게
ECB의 목표치인 2%에 근접할 가능성이 있다고 평가
○ 바슬레 슬로베니아 중앙은행 총재, 금리인하에 동의하나
경제 지표에 기반해 신중하게 접근할 필요가 있으며
금리인하를 서둘러서는 안된다고 강조하는 등 특정 입장에 치우치는 것을 경계
○ 부이치치 크로아티아 중앙은행 총재의 경우에도
아직 12월 금리인하에 대해 어떠한 결정도 내리지 않았으며,
추후 발표되는 경제지표에 따라 유연하게 대응해야 한다는 입장.
최근 경기둔화에 대해서는 구조적인 영향이 크기 때문에
금리인하 외에도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음을 강조
글로벌 동향 및 이슈
n 무디스, 재정적자 우려에 프랑스 신용등급 전망 ‘부정적’으로 하향
○ 무디스는 예상보다 광범위한 프랑스 정부의 재정적자와
이를 방지하는 조치의 부재를 이유로 신용등급 전망을 하향.
신용등급은 Aa2로 유지
n 미시건대 10월 소비자심리지수 확정치, 6월래 최고 수준 기록 등 연착륙 기조 강화
○ 미시건대 소비자심리 지수는 금리인하에 따른 소비여건 개선에 힘입어
9월 70.1에서 10월 70.5로 소폭 상승하고 예비치 68.9 대비 상향
○ 한편, 9월 내구재수주는 전월대비 0.8% 하락했으나,
예상 하락폭 -1.1%에는 못미치는 수준.
기업투자의 대용치로 여겨지는 항공기 제외 비방위산업 자본재수주 증가율의 경우
8월 0.3%에서 0.5%로 개선
n 게오르기에바 IMF 총재, 재정여력 확충과 금리인하 시기에 신중할 필요
○ 그동안 많은 국가가 재정여력을 소진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재정지출 압력이 큰 상황으로,
재정 여력 재확충이 가장 시급한 과제라고 경고
n 중국, 내달초 전인대 상무위원회 회의 예정. 경기부양 세부조치에 대한 관심 고조
○ 신화통신 보도에 따르면, 국무원의 금융업무 상황 보고서와 함께
광물 자원, 에너지, 자금세탁 방지 등에 대한 법안 초안를 검토할 계획.
회의는 11.4일부터 개최되며 의제에 대한 투표는 회의 마지막 날인 8일에 진행
○ 공개된 회의 의제에는 경기 부양책 관련 사안이 명시적으로 포함되지 않았으나,
일각에서는 10월초 재정부장이 발표한 지방정부의 부채 차환 계획 확정과
국유 은행 지원을 위한 특별국채 발행에 대한 세부 사항이 발표될 것으로 기대
n 러시아 중앙은행, 정책금리 21%로 200bp 인상. 2003년 이후 최대 수준
○ 러시아 중앙은행은 여전히 인플레이션 상방 위험이 높아
다음 통화정책 회의에서도 기준금리를 인상할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음을 표명하고
인플레는 기존 전망인 2025년이 아닌
2026년에야 목표치 수준으로 하락할 것으로 전망
n 튀르키예, 외국인 자본 유치 위해 공매도 금지 규제 완화 논의
○ 관계자에 의하면 터키 당국은 지난해 초 도입되었던 공매도 금지 규제를
BIST50지수 기업들을 시작으로 점진적으로 완화 혹은 완전한 해제를 고려 중
주요 경제지표 n 다음주 주요 경제 이벤트(10/14~10/18, 현지시각 기준)
○ 미국 10월 소비자신뢰지수(29일), 3분기 경제 성장률(30일),
10월 ISM 제조업지수(1일), 10월 비농업고용자수(1일), 중국 제조업 PMI(1일)
○ EU·독일·이탈리아·프랑스 3분기 경제성장률(30일), 10월 인플레(30~31일)
첫댓글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
감사합니다.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