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상님의 호칭과 내.외척의 호칭
-[조상님의 호칭과 나와의 관계호칭 그리고 내외척과의 호칭은 어떠한가?]-
(1)직계(直系)
-0대-나; 나(나는 0대 이지)
-1대-아버지(父); 나를 낳은 사람 (나와는 아버지와 아들 사이-아버지와 나와 사이는
1대 사이지)
-2대조-친할아버지(祖); 아버지를 낳은 사람 -(나와는 할아버지와 손자 사이-할아버
지는 나의 2대조)
-3대조-증조할아버지(曾祖); 할아버지를 낳은 사람 -(나와는 증조부와 증손자 사이- 증조부는 나의 3대조)
-4대조-고조할아버지(高祖); 증조할아버지를 낳은사람 즉 할아버지의 할아버지(174-고조) 가 나의 고조. 고손을 현손이라고도 하는데 현손은 손자의 손자(2392-현손;
손자의 손자)라 하였으니 또한 이분 할아버지의 할아버지가 나의 고조라는 뜻이다
-(나는 이분 4대조를 고조할아버지라 하고 이분은 나를 고손(高孫) 또는 현손(玄孫)(169-고손)이라 부르도록 되었으니-고조 할아버지는 나의 4대조)
-5대조-현조(玄祖)할아버지; 현조를 고조의 아버지(1570-5대조;고조의 어버이)라 하였으니-(현조는 나의 5대조(2394-현조; 5대조) 나는 5대손 또는 내손(來孫)이 된다.
-6대조;6대조- 곤손(昆孫)에 대한 설명을 보면 곤손은 6대손(1687-6대손)이라 설명이 되어 있으니 나의 6대조는 나를 6대손(1687-6대손) 또는 곤손이라 부르시지.
(2)방계(傍系)
-2촌(2寸)-친형제(親兄弟); 친형제는 2촌 사이지.
-3촌(3寸)-숙(叔)질(姪); 친 할아버지가 낳은 나의 아버지 형제분들은 나의 숙부이고, 나는 그분의 숙질사이..
-4촌(4寸)-종(從)형제; 아버지 형제가 낳은 아들 들과 나와는 종형제 사이-나와는 4촌 사이.
-5촌(5寸)-당숙(堂叔)질(姪); 아버지 4촌들은 나의 당숙이고, 나는 그분들의 당질 -나의 5촌 사이.
-6촌(6寸)-재종(再從)형제; 당숙부가 낳은 아들 들과 나와 사이는 재종형제 사이- 나와는 6촌 사이.
-7촌(7寸)-재당숙(再堂叔 )질(姪); 나는 아버지의 재종형제분 들을 재당숙이라하고,그분들은 나를 재당질
-8촌(8寸)-3종(3從)형제; 나의 재당숙부가 낳은 아들과 나 사이는 3종형제 -나와는 8촌 사이.
-3종형제(3從兄弟)-고조는 같고 증조가 다른 형제들을 8촌 또는 3종형제라한다.
-9촌(9寸)-3종숙(3從叔)질(姪); 내 아버지의 3종형제는 나의 3종숙이고 나는 그분의 3종질-나와는 9촌사이.
-10촌(10寸)-5대조의자손.사종(4從)형제 자매.
-종조(從祖)-친 할아버지의 친형제-그러니까 이분을 나는 종조 할아버지라 부르지.
-재종조(再從祖)-친 할아버지의 4촌형제 - 그러니까 이분을 나는 재종조 할아버지.
-3종조(3從祖)-친 할아버지의 6촌형제 - 그러니까 이분을 나는 3종조 할아버지.
-대부(大父);-통칭 할아버지라는 뜻으로사용 - 8촌 이상의 할아버지 뻘 항렬의 어른을 보통 대부라 부른다.
-족조(族祖); 가까운 친척이 아닌 먼 동족으로서 유복친(有服親) 이외의 먼 일가 할아버지뻘 항렬의 사람을 호칭할때 존댓말(尊待語)로 보통 족조라는 말을 쓴다.
-족손(族孫);위와 같은 유복친 이외의 손자 항렬의 사람.
(3)기타
(내척;內戚)
=내척이란 우리 본집 딸이 다른 성씨의 집으로 시집가서 이루어지는, 본집과의 척분관계.
-고모부(姑母夫) ; 내 아버지 여동기 즉 내 고모의 남편을 보고 나는 그를 고모부라 하지.
-고종(姑從); 고모의 아들을 보고 나는 그를 고종 또는 고종4촌이라 하지.
-외종(外從); 고모의 아들인 고종은 나를 보고 외종 또는 외4촌이라 하지.
-생질(甥姪); 내 누이가 낳은 아들을 보고 나는 그를 생질이라 하지.
-척질(戚姪); 내 조카 뻘 되는 인척의 겨레붙이.
-처 조카(妻조카); 내 아내의 친정 조카를 보고 나는 처조카라 부르지.
(외척;外戚)
=외척이란 외가 쪽 친척 즉 어머니 생가 쪽을 말하고 인척(姻戚)이라고도 하지.
-외할아버지와 외할머니; 내 어머니를 낳은 사람.
-외삼촌(外3寸); 어머니의 남자 동기간 - 나의 외삼촌이지.
-외4촌(外4寸); 외삼촌이 낳은 사람들 - 나의 외4촌이지.
-이모(姨母); 내 어머니 여자형제 - 내가 이모라 부르지.
-이종(姨從); 내 이모가 낳은 아들 - 내가 그를 이종 또는 이종4촌이라 부르지.
-이질(姨姪); 내 이종이 낳은 아들 - 내가 그를 이질 또는 이질조카라 부르지.
(인척;姻戚)
-외가와 처가의 혈족.
(친척;親戚)
- 친족과 내.외척의 총칭.
촌수 (寸數) :친족 간의 멀고 가까운 정도를 나타내는 수.
부부(夫婦), 즉 내외간은 한몸과 같은 일신(一身)이라 해서 무촌(無寸)입니다.
부모와 자식 사이는 한 마디, 곧 1촌 관계로 파악하며, 직계는 1촌이다.
형제는 2촌, 아버지 형제는 3촌, 아버지 형제의 자녀는 4촌 관계가 된다.
촌수가 4촌·6촌·8촌과 같이 짝수일 경우는 같은 항렬이고,
촌수가 3촌·5촌·7촌과 같이 홀수일 경우는 위 항렬이거나 아래 항렬이다.
촌수호칭 접두사(종,재종,삼종,사종)
곁가지 방계친족은 어근이 되는 호칭이 무엇이 됐건 어근 호칭
(= 직계 존비속 호칭)에 관계없이, 나와 4, 5촌 지간에 있으면 무조건 접두사 종(從)자를 붙이고, 6, 7촌 지간에 있으면 무조건 접두사
재 종(再從)을 붙이고, 8, 9촌 지간에 있으면 무조건 접두사 삼종(三 從)을붙이고, 10, 11촌 지간에 있으면 무조건 사종(四從)이라는 접 두사를 붙인다. 2, 3촌 방계지간에는 접두사를 붙이지 않고 고유 명사만을 그대로 쓴다.
■친족(親族): 촌수가 가까운 같은 姓으로 사종(四從:십촌 형제자매) 이내.
■친척(親戚): 친족과 외척. 姑從고종, 外從외종, 姨從이종등 성이 다른 가까운 척분 관계.
■종친(宗親): 한 일가로서 유복친이 아닌 겨레붙이.
■유친복(有服親): 복을 입어야 하는 가까운 친척.
■척족(戚族): 妹家매가, 妻家처가의 친족.
■일가(一家): 姓과 本이 같은 겨레붙이.
■장인과 사위 사이는 옹서간(翁參間).
■누님의 남편은 자형(姉兄)이 원칙이며, 누이 동생 남편은 매제(妹弟)
[출처] 조상님의 호칭과 내.외척의 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