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청373.hwp
11장
(1) 원문
三十輻共一轂, 當其無, 有車之用. 埏埴以爲器, 當其無, 有器之用. 鑿戶牖以爲室, 當其無, 有室之用. 故有之以爲利, 無之以爲用.
삼십폭공일곡, 당기무, 유거지용. 선식이위기, 당기무, 유기지용. 착호유이위실, 당기무, 유실지용. 고유지이위리, 무지이위용.
-----------------------------------------------------
폭(輻) : 바퀴살. 모여들다.
공(共) : 한가지. 함께. 함께 하다. 같이. 향하다. 맞다. 맞아들이다.
곡(轂) : 바퀴통. 바퀴. 수레. 차량. 밀다. 밀어주다. 추천하다.
당(當) : 마땅. 마땅하다. 마땅히. 임무. 임무를 맡다. 당하다.
연(埏) : 이기다. 흙을 물에 부어 반죽하다. 땅의 끝. 죽음에 이르는 길.
식(埴) : 진흙. 찰흙. 점토. 단단하다.
연식(埏埴) : 이긴 진흙.
착(鑿) : 구멍 (조). 뚫을 (착). 새길 (촉).
호(戶) : 집. 방. 문. 출입구. 막다. 지키다.
유(牖) : 창. 들창. 깨우치다.
착호유(鑿戶牖) : 문과 창을 뚫다.
지(之) : 가다. 사용하다. 이르다. ~가. ~이. 이(=是). ~의. 에, 어조사(語助辭). ~에 있어서.
이(以) : ~써. ~로. ~를 가지고. ~를 근거(根據)로. ~에 따라. ~에 의해서. ~대로. 이유(理由). 까닭. 때문.
-----------------------------------------------------
(2) 번역
서른 개의 바퀴살이 하나의 바퀴통을 향하는데 마땅히 그 바퀴통의 빈 공간이 수레의 쓰임을(수레를 쓸모) 있게 한다. 진흙을 빚어 그릇을 만드는데 마땅히 그 그릇의 빈 공간이 그릇의 쓰임을(그릇을 쓸모) 있게 한다. 문과 창을 뚫어 방을 만드는데 마땅히 그 방의 빈 공간이 방의 쓰임을(방을 쓸모) 있게 한다. 그러므로 있음이 이롭게 되는 것은 없음이 쓸모 있게 되기 때문이다.
(3) 해설
11장은 일상에서도 무(無, 없음)가 많이 쓰이고 있다는 점을 드러내고 있다. 그래서 하상공은 이 장의 제목을 ‘무용(無用, 없음의 쓰임)’이라고 하였다. 이 장에서 드러난 사례는 바퀴, 그릇, 방의 ‘빈 공간’에 대한 쓰임이다. 여기서는 독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빈 공간’이 ‘없음(無)’으로 표현되었다. 바퀴, 그릇, 방이라는 물체는 ‘있음(有)’이고, 이 물체들이 유용(有用)하게 쓰이는 이유는 ‘없음(無)’ 즉 ‘빈 공간’ 때문이다.
바퀴는 무거운 물체를 쉽게 옮기기 위해 고안된 것이다. 가벼운 물체는 손에 들고 갈 수 있지만 무거운 물체는 그럴 수 없다. 그래서 밧줄 같은 것으로 묶어서 여러 사람이 끌고 가는 것이 좋은데, 이때 무거운 물체의 마찰력을 줄일 필요가 있어서 만든 것이 바퀴이다. 무거운 물체를 끌고 가기 위해서는 바퀴살의 중심부인 바퀴통이 비어 있어야 차축(車軸)으로 연결이 되면서 끌고 갈 수 있다. 만약에 바퀴통이 비어 있지 않으면 차축으로 연결할 수 없어 무거운 물체를 끌 수가 없다. 무거운 물체를 끌 수 없는 바퀴는 바퀴로서 소용이 없다.
그릇을 사용한다는 것은 그릇의 빈 공간에 무엇인가를 담을 수 있기 때문이다. 빈 공간이 없는 그릇은 그릇으로서 쓸모가 없다. 방도 마찬가지이다. 방이 비어 있어야 방으로서 쓸모가 있다. 그리고 방으로 사람이나 물건 등이 드나들 수 있는 문이 있어야 하며, 바람이나 가재도구(家財道具)들이 드나들 수 있는 창이라는 빈 공간이 있어야 한다. 바퀴통, 그릇, 방이라는 유(有)의 쓰임이 있기 위해서도 빈 공간이라는 무(無)가 있어야 된다는 점은 우리가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노자는 이번 장의 결론으로 “있음이 이롭게 되는 것은 없음이 쓸모 있게 되기 때문이다.(有之以爲利 無之以爲用)”고 말한다.
이번 장에서 노자가 말하는 ‘쓸모 있는 무(無)’에 대해 조금 더 깊이 있게 알아보자. 바퀴, 그릇, 방의 빈 공간은 모두 바퀴통, 그릇, 방의 크기에 한정되어 있다. 즉 바퀴통이 크면 빈 공간도 크고 그릇이 크면 빈 공간도 크며 방이 크면 빈 공간도 함께 커진다. 각각 빈 공간의 크기만큼 차축, 그릇에 담을 수 있는 물건, 방에 들어갈 수 있는 사람이나 물건 등이 한정되며 그만큼 쓸모가 있게 된다. 이것을 ‘유(有)에 의해 한정된 무(無)’라고 부를 수 있다. 이 한정된 무(無)는 한정된 만큼 쓰인다.
이것에 비해 ‘한정되지 않은 무(無)’도 있다. 이것은 어떠한 유(有)에 의해서도 한정되지 않았기 때문에 시⦁공간적으로는 무한(無限)이며, 그 자신 이외에는 구별할 어떤 것도 없는 상태이기 때문에 하나(一)이다. 이것이 바로 노자가 도덕경 42장에서 도는 하나를 낳고(道生一)라고 할 때의 하나(一)이며 텅빈 기운인 충기(冲氣)이다. 이 한정되지 않은 무(無)는 노자가 도덕경 40장에서 유는 무에서 생긴다(有生於無)라고 했듯이 모든 유를 낳는다. 그리고 낳은 유들을 무로 되돌아가게 하는 큰 움직임이 있는데 이것을 도의 움직임(反者道之動)이라고 한다. 무는 유를 낳고 낳은 유는 도의 움직임에 따라 무로 돌아간다, 이것이 한정되지 않은 무(無) 혹은 충기(冲氣)의 큰 쓰임이다.
한정된 무와 한정되지 않은 무는 서로 통한다. 문과 창에 의해 방 안의 무와 방 밖의 무, 그릇 안의 무와 그릇 밖의 무, 바퀴통 안의 무와 바퀴통 밖의 무가 통(通)하고 있다. 두 가지 무가 통하지 않는 경우는 어떤 유(물체)에 의해 완전히 밀폐된 경우이다. 그러나 완전히 밀폐시킬 수 있는지는 의문이다. 그리고 공간 이외에 어떤 입자도 없는 빈 공간을 진공(眞空)이라고 우리가 부르지만, 인공적이든 자연적이든 아직까지 완전히 빈 공간은 이상적인 상태에 불과하다. 따라서 한정된 무와 한정되지 않은 무는 특별한 경우가 아니라면 서로 통하고 있어 엄격하게 한정되지 않는다. 엄격하게 한정되는 것은 유(有)이다. 쇠로 된 바퀴, 흙으로 빚은 그릇, 벽돌로 된 방 등은 엄격하게 한정되어 다른 것들과 확실히 구분된다. 거기에 비해 바퀴통의 빈 공간은 바퀴살의 공간과 연결되어 있고, 그릇의 빈 공간은 과일 같은 것을 수북이 쌓을 수 있고, 창과 문이 있는 방의 빈 공간은 열어 놓았을 경우 외부 공기와 활발히 소통하고 있어 경계가 불확실하다. 화이트헤드는 우리 몸이 활발히 외부와 소통하고 있기 때문에 어디부터가 내 몸인지 알 수 없다고 말한다. 노자는 경계가 불분명한 상태를 현(玄)이라고 표현하고, 이 현을 알고 생활에 실천하는 것을 현덕(玄德)이라고 한다.
우리들 대부분은 일상생활에서 경계가 분명한 유(有)의 세계를 중요하게 여긴다. 그래서 바퀴, 그릇, 방을 볼 때도 경계가 불분명한 빈 공간인 무(無)는 무시하며, 유(有) 중에서도 가장 좋은 유(有)를 가지기 위해 애쓴다. 즉 바퀴 중에도 가장 좋은 바퀴, 즉 고급차를 타려고 하고, 그릇 중에 가장 좋은 그릇인 고급그릇을 사려고 하고, 방 중에서도 가장 좋은 방이 있는 집을 지니려고 노력한다. 노력한 결과 그런 것들을 가졌을 때 성공한 인생으로 여긴다.
이러한 성공의 인생을 살기위해서는 남 보다 앞서야 한다. 학교에서는 상위 등수가 필요하고, 사회에서도 좋은 직업이 필요하다. 그런데 내가 상위 등수를 가지려면 누군가 하위 등수를 가져야 한다. 하위 등수를 가진 자가 없는데 상위 등수를 가질 수는 없다. 상위 등수를 가진 학생은 공부실력이 있고, 하위 등수를 가진 자는 공부실력이 없다. 공부실력을 기준으로 있다(有)와 없다(無)로 구분할 수 있다. 물론 이것은 상대화 시킨 것이지만, 많은 학생과 학부모는 공부실력이 있는 쪽으로 가기 위해 엄청난 노력을 하고 있다. 그래서 상위 등수를 갖게 되면 하위 등수 덕분에 되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좋은 직업에 속하는 의사(醫師)를 예로 들면, 의사와 환자의 경우에도 의사는 질병에 대한 앎이 있고 환자는 그 앎이 없다. 그래서 있는 자와 없는 자가 된다. 당연히 환자가 없다면 의사는 필요 없다. 그런데도 의사가 환자보다 잘났다는 생각을 한다면 그릇의 빈 공간이라는 무(無)보다 그릇이라는 유(有)가 잘났다고 생각하는 것과 뭐가 다른가? 선생과 학생, 부모와 자식, 지배자와 피지배자 등도 마찬가지이다. 대다수 사람들은 유(有)를 선호하지만, 사실상 그 유(有)는 사실 무(無)를 위해 존재한다. 그래서 무(無)를 소중히 여겨야 한다.
(4) 문제제기
무를 소중히 여겨야 한다면 학생이 하위 등수를 받는 것이 좋다는 말인가?
2. 나의 신체는 한정된 유이면서 한정된 무도 있다. 그리고 한정된 무와 한정 되지 않은 무가 소통하고 있다면, 아즉우주(我卽宇宙)라고 할 수 있는가?
< 다음 주 강의 예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