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섬진강[蟾津江]
정의
전라북도 진안군 백운면과 장수군 장수읍의 경계인 팔공산(八公山, 1,151m)에서 발원하여 전라남·북도의 동쪽 지리산 기슭을 지나 남해의 광양만(光陽灣)으로 흘러드는 강.
개설
섬진강유역은 동경 126°51′41″∼127°52′56″, 북위 34°40′9″∼35°49′60″에 걸쳐 한반도의 남부 중서부에 있고, 유로 연장은 222.05㎞, 유역 면적은 4,914.32㎢로 남한에서 네 번째로 큰 강이다. 지리적으로는 전라남도와 전라북도, 경상남도의 3도에 걸쳐 있고 역사적으로는 고대 가야문화와 백제문화의 충돌지대, 신라와 백제의 경계, 임진왜란과 정유왜란 때는 왜군의 침입경로였으며 조선시대 말기에는 동학농민전쟁이 승화되기도 한 장소이다.
명칭 유래
섬진강은 본디 모래가람·다사강(多沙江)·사천(沙川)·기문화·두치강 등으로 불릴 만큼 고운 모래로 유명하다. 1385년(우왕 11)경 왜구가 섬진강 하구를 침입하였을 때 수십만 마리의 두꺼비 떼가 울부짖어 왜구가 광양 쪽으로 피해갔다는 전설이 있는데 이때부터 ‘두꺼비 섬(蟾)’자를 붙여 섬진강이라 불렀다 한다.
자연환경
노령산맥의 동쪽 경사면과 소백산맥의 서쪽 경사면인 진안군 백운면의 팔공산에서 발원하여 백운면과 마령면 등에 충적지(沖積地)를 발달시킨다. 또한 성수면에서 구불구불하게 흘러 임실군 운암면에서 갈담저수지로 흘러든다.
순창군 적성면에서 오수천(獒樹川)과, 남원시 금지면과 전라남도 곡성군 곡성읍의 경계에서 요천(蓼川)과, 곡성군 오곡면압록(鴨綠)에서 보성강(寶城江)과 합류하여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탑리에서부터 경상남도와 전라남도의 도경계를 이루며 광양시 골약면의 광양만으로 흘러 들어간다. 섬진강유역의 권역별 경사분석결과 20∼60%에 해당하는 면적은 유역 면적의 56.6%를 차지할만큼 대체적으로 경사가 급하다. 평균경사는 32.57%이다. 섬진강유역의 토양종류는 암쇄토가 3,191.77㎢, 회색토 및 충적토가 639.95㎢, 암석노출지는 321.79㎢, 암쇄토 및 적황색토가 72.55㎢를 차지하고 있다. 섬진강 유역의 연평균 강우량은 1,408.3㎜이고 이중 67%가 우기인 6월과 9월의 4개월 동안에 집중되어 내린다.
형성 및 변천
섬진강 유역의 지질은 크게 지리산계 편마암층으로 된 변성암과 이들 암석층을 뚫고 올라온 중생대 쥬라기 백악기 화강암 또는 제4기충적층으로 구분할 수 있다. 섬진강유역 지질시대별 암석을 분류하면 선캠브리아대 지층이 가장 우세하고, 북쪽에는 쥬라기와 백악기의 화성암이 있고, 중앙에는 삼첩기와 쥬라기의 화성암이, 남쪽에는 선캠브리아기의 변성암이 주로 분포한한다. 변성암이 가장 많이 분포하며, 화성암, 퇴적암, 기타 등의 순으로 분포하고 있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하동, 보성, 진안 등에는 편마암계 지질이 광범위하게 분포되어 있고, 남원, 오수, 순창 등에는 중생대 대보화강암과 백악기 화강암이 분포되어 있다. 갈담 등에는 중생대 사암과 혈암 또는 역암 등이 분포되어 있고, 제4기충적층은 주로 구례와 남원 등 하천을 중심으로 분포되어 있다.
현황
『택리지』에 “구례 남쪽의 구만촌(九灣村)은 거룻배를 이용하여 생선과 소금 등을 얻을 수가 있어 가장 살만한 곳”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이로써 현재의 구례구(求禮口)로 추정되는 구만촌까지 수운(水運)을 이용하였음을 알 수 있다. 오곡면 압록에서부터 하천 양쪽에 넓은 모래사장이 펼쳐지고, 지류와의 합류 지점에는 한랭기에 이동된 암괴(巖塊)가 하천침식에 의하여 노출되어 하천 바닥에는 바위가 많다. 이러한 조건이 수운에 큰 장애가 되지만 풍부한 수량을 이용하여 하구에서 40㎞ 거리의 구례구까지는 항행이 가능하나, 현재는 이용되지 않고 있다. 1928년동진농업주식회사(동진농장)가 임실군 강진면의 해발고도 200여 m에 운암제(雲巖堤)를 축조한 뒤, 1965년운암제 아래 섬진강다목적댐(갈담저수지)이 건설되었다. 이 댐은 유역변경식 발전을 하며 계화도(界火島) 간척지의 농업용수로 이용되고 있다. 하구인 광양만에는 광양제철소가 있다. 하류의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에는 840년에 중창된 신라의 고찰인 쌍계사(雙磎寺)와 불일암(佛日庵)·불일폭포가 있다. 명산물로는 은어와 참게를 들 수 있다. 섬진강 하류에서는 1970년대 후반부터 1998년까지 골재가 채굴되었고 광양·순천·여수· 등지의 토목공사에서 섬진강의 모래를 많이 사용하였다. 이로 인해 하천 생태계가 큰 변화를 겪고 있다. 하동읍 하류 하상이 낮아져서 바닷물이 올라오고 특산물인 재첩은 사라졌다. 염도가 높아져 농업용수로 쓸 수 없게 되었다. 1990년 대비 2001년 섬진강유역 주변의 토지이용현황을 살펴보면 대지, 공장용지, 공공용지, 기타 등이 증가하고 농경지, 임야 등이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공장면적의 증가율이 높다.
참고문헌
『택리지(擇里志)』
『보고서:섬진강·영산강유역조사(蟾津江·榮山江流域調査)』(건설교통부·한국수자원공사, 2006)
『한국지리(韓國地理)·우리 국토(國土)의 자연(自然)과 인문(人文)·』(권혁재, 법문사, 2006)
『하천(河川)』(건설부(建設部), 1979)
「섬진강(蟾津江) 유역(流域) 분수계(分水界)의 지형적(地形的) 특성(特性)」(강성열, 한국지형학회지, Vol.11 No.1, 2004)
「섬진강상류(蟾津江上流) 백운∼마령(白雲∼馬靈)의 단구상지형연구(段丘狀地形硏究)」(장호, 전북대학교논문집 22·자연과학편·, 1980)
출처:(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전남 광양 매화마을
봄바람에 살랑거리는 순백의 꽃잎
• 특징: 장미과에 속하며 예전에는 관상용으로 많이 쓰여 고려와 조선시대에는 주로 양반집 정원에 심었다. 지역과 시기에 따라 천지매, 산매, 고매, 야매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며 매화를 기르는 사람들은 특히 겨울 추위가 채 가시기 전에 피는 '설중매'를 가장 귀하게 여겼다. 열매는 식용이나 약재로, 껍질은 물감의 원료로도 쓰인다.
• 꽃말: 결백, 미덕
• 매화에 얽힌 이야기: 예부터 난초, 국화, 대나무와 함께 사군자로 꼽혔으며 특히 지리산 자락에 폭 파묻힌 경남 산청에서는 '삼매'로 유명하다. 고려 말 정당문학(政堂文學)이라는 고위직을 역임한 강회백(姜淮伯, 1357~1402)이 젊은 시절 단속사 절터에 심었다는 정당매, 고려 때 문신인 원정(元正) 하즙(河湒, 1303~1380)이 심은 것으로 전해지는 원정매, 조선시대 퇴계 이황(李滉,1501~1570)과 쌍벽을 이루던 성리학자 남명 조식(曺植, 1501~1572)이 말년에 산천재 뜰 앞에 심었다는 남명매가 바로 그것이다. 이 나무들은 수령 450~600년이 넘은 고목으로 지금껏 고고한 아름다움을 뽐내고 있으며 원정매는 아쉽게도 몇 년 전 고사했다고 한다. 이 외에도 구례 화엄사 뜰에 자리한 수령 600여 년의 매화와 순천 선암사의 수백 년 묵은 매화 십여 그루도 볼만하다.
매화마을
전북 진안 팔공산 중턱에서 발원하여 남원, 곡성을 지나 구례와 하동을 휘감으며 흐르다 광양만에 몸을 풀어놓는 섬진강. 봄날의 섬진강은 늘 분주하다. 봄의 전령사인 매화가 시작되는가 싶으면 어느새 노란 산수유가 뒤를 이어 사람들을 유혹하고 이에 질세라 벚꽃이 시샘하듯 모습을 드러낸다. 여기에 유채꽃, 복사꽃, 진달래까지 가세해 섬진강변은 그야말로 꽃들의 자리다툼이 치열하다. 그중 봄이면 가장 먼저 시선을 사로잡는 곳이 광양시 다압면에 자리한 매화마을이다. 섬진강변의 다른 꽃들이 미처 깨어나기 전 부지런을 떨면서 피어나는 매화는 긴 겨울 끝에 단연 스포트라이트를 받는 봄의 첫 작품이다. 섬진강을 굽어보면 화사한 매화꽃이 뽀얀 안개처럼 마을을 덮어 장관을 이룬다. 겨우내 숨죽여 있던 매화들이 봇물 터지듯 피어나 화려한 꽃 잔치를 펼친다. 이곳의 매화는 특히 섬진강의 은빛 모래, 푸른 하늘과 어우러져 황홀한 봄 풍경을 선사한다.
매화마을을 중심으로 섬진강변 곳곳에 피어 있지만, 도사리마을 산 중턱에 자리 잡은 '청매실농원'이 꽃구경하기에 으뜸이다. 따뜻한 봄 햇살을 맞아 하얀 꽃망울을 터트리며 5만여 평의 산자락을 가득 메운 매화는 마치 순백의 눈을 뒤집어쓴 것 같다. 꽃동산이라 해도 좋을 만큼 풍경이 빼어나 〈취화선〉 등 영화의 촬영 장소로도 등장했다.
굳이 매화가 아니더라도 이곳은 언제 가도 볼거리가 넉넉하다. 특히 2000여 개에 달하는 항아리들이 마당을 가득 메우고 있는 청매실농원의 모습이 이채롭다. 청매실농원 마당을 지나면 언덕을 따라 요리조리 오솔길이 나 있다. 푸른 기운이 청아한 청매화, 발그스름한 빛깔이 따사로운 홍매화, 그리고 눈처럼 하얀 백매화·····빛깔도 다양한 매화 산책로는 걷는 것만으로도 행복감을 안겨준다. 살랑살랑 부는 봄바람에 언덕을 가득 메운 매화 향기를 음미하며 천천히 오르다 보면 발 밑으로 넉넉하게 품을 벌린 섬진강과 건너편 하동의 지리산 자락이 시원스레 펼쳐진다.
이 길목에는 매화나무 외에도 숨은 보석들이 아주 많다. 날이 더 따뜻해지면 나무 사이로 붓꽃, 제비꽃, 민들레 등 온갖 야생화가 지천에 깔린다. 청매실농원으로 향하는 언덕길에는 매화와 관련된 시를 새긴 시비를 세워놓아 문학의 향기도 가득하다. 산책로 곳곳마다 가족, 연인, 친구와 함께 온 사람들의 얼굴에도 웃음꽃이 가득하다. 매화가 만발하는 축제 기간이 되면 전국에서 몰려드는 상춘객들로 인해 꽃 구경을 하는 건지 사람 구경을 하는 건지 모를 정도로 북새통을 이루지만 1년에 딱 한 번 볼 수 있는 매화꽃잔치는 그야말로 놓치기 아쉬운 풍경이다. 화사한 매화꽃이 섬진강을 굽어보며 뽀얀 안개처럼 마을을 덮은 모습이 장관을 이룬다.
매화마을 탄생배경
매화마을이 전국적으로 주목받게 된 것은 청매실농원의 주인 홍쌍리 여사의 공이 크다. 40여 년 전 다압면 매화마을(섬진마을) 밤나무골로 시집온 홍 씨는 얼마 후 부유했던 시댁이 망해 남은 것은 겨우 황무지 야산뿐이었다. 이래저래 살 궁리를 하던 홍 씨는 모두 쓸모없는 땅이라 여긴 그곳에 매화를 심기 시작했다. 섬진강의 온화한 강바람과 알맞게 피어오르는 물안개는 매실농사에 매우 적절한 환경으로, 실하게 자란 매실 열매는 곧 홍 씨의 희망이 되었다. 이후 매실농사가 점차 경제적으로 도움이 된다는 것을 깨달은 마을 주민들도 산과 들에 여느 곡식 대신 매화나무를 심기 시작해 지금은 연간 150만 명이 찾는 관광명소가 되었다. 스스로 '사람 몸속을 씻어주는 청소부 아줌마'라 자처하는 홍 씨가 40여 년간 매화나무를 가꿔오면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한 것은 흙을 살리는 일이다. 시아버지가 지어오던 옛날식 농사가 너무 힘들어 비료나 농약을 사용할까 마음이 흔들리기도 했지만 지금껏 예전의 방식을 고집해오고 있다. 뼈가 없어 비료 한 톨만 뿌려도 금세 죽어버리는 지렁이. 그런 지렁이가 홍 씨의 농장에서는 지금도 꿈틀대고 있다. 이렇듯 땅과 풀, 인간이 모두 살 수 있도록 밥상이 아닌 약상을 만들자는 게 그녀의 지론이다.
40년 전 하루 종일 밭일을 하던 손에 흙물과 풀물이 잔뜩 배어 깨끗할 날이 없었던 홍 씨. 수세미로 아무리 닦아도 지워지지 않던 손과 기름기 밴 그릇이 매실즙으로 말끔히 닦이는 것을 보면서 사람의 몸속도 이렇듯 말끔하게 닦아낼 수 있으리라는 생각에 매실을 응용한 제품을 만들기 시작했다. 약알카리성 식품인 매실은 당질을 비롯해 다량의 유기산, 무기질, 비타민을 함유하고 있고 피부 미용에 좋으며 피로회복과 소화불량을 풀어주는 항암식품으로 알려져 있다. 섬진강 자락을 하얗게 물들이던 매화꽃이 지고 나면 꽃이 핀 자리마다 파르스름한 매실이 올망졸망 맺힌다. 매년 6월 초면 매실을 수확하기 시작하는데 이때는 매실 따기 체험행사도 펼쳐진다. 제각각 따온 매실로 매실절임과 매실주, 매실고추장장아찌 등을 만들어 당일에 가져갈 수 있다. 특히 간단하게 만들 수 있는 매실절임은 쓰임새도 유용하다. 식후에 매실절임 서너 조각을 씹어 먹으면 음식물 냄새가 가시며 찻잔에 매실절임을 대여섯 조각 넣고 끓인 물을 부어 3~5분 정도 우려내면 새콤달콤한 매실차가 된다.
3월 초순부터 피기 시작하여 3월 중순경 절정을 이룰 무렵 광양시 다압면 일대에선 매년 매화축제가 열린다. 청매실농원을 중심으로 펼쳐지는 축제 기간에는 매화꽃길 시화전을 비롯해 매화염색 체험, 섬진강 나룻배 타기, 다도 체험, 천연매실비누 만들기, 전통문화 체험, 매실음식 시식회 등 다채로운 행사가 진행된다.
• 문의: 광양시청 문화홍보실(061-797-2363)
주변 관광 정보
찾아가는 길
• 대중교통: 광양에 도착하면 다압면행 시내버스 100번(광양교통)이 하루 4회 운행된다. 축제 기간에는 광양역 앞에서 행사장으로 오는 임시버스가 수시로 운행된다. 문의: 광양교통(061-762-7295)
• 승용차: 호남고속도로-전주IC-남원-밤재터널-간전교 삼거리-간전교 건너 좌회전(861번 지방도)-다압면 매화마을/경부고속도로-대전∼통영 고속도로-순천 방향 남해고속도로 하동IC-하동읍-섬진교 건너 우회전(861번 지방도)-약 5km 가면 매화마을
먹을 것 - 섬진강변의 별미
시원하고 구수한 국물에 부추를 듬뿍 넣은 재첩국(7천 원)과 참게에 시래기, 섬진강 민물새우, 메기 등을 함께 넣고 얼큰하게 끓여낸 참게매운탕(3만~5만 원), 군침이 절로 도는 참게장은 물론 새콤달콤한 재첩회무침에 재첩국까지 맛볼 수 있는 참게장정식(1만5천 원~2만 원)이 대표적이다. 매화마을 앞 섬진강변에는 재첩국과 참게탕, 참게장정식을 맛볼 수 있는 식당들이 즐비하다.
함께 둘러볼 곳 - 백운산 자연휴양림
전남 광양시청에서 관리하고 있는 백운산 자연휴양림의 매력은 무엇보다 맨발로 걸을 수 있는 '맨발 체험 황톳길'이다. 전체 길이가 1.3km로 공해에 찌든 도심을 벗어나 싱그러운 공기가 가득한 산 속에서 잠시나마 신발을 훌훌 벗어버리고 걸을 수 있다. 두 사람이 도란도란 얘기를 나누며 나란히 걷기에 딱 좋은 길이다. '맨발 체험 황톳길'은 무엇보다 진입로 풍경이 근사하다. 늘씬한 키에 한 치의 휘어짐도 없이 하늘로 곧게 치솟은 나무들이 길 양쪽으로 빽빽하게 들어선 모습이 보는 것만으로도 시원하다. 초입에는 반들반들한 옥돌을 깔아놓은 지압로가 설치되어 있고 그 뒤로 이어지는 흙길도 매우 곱다. 황톳길은 특히 비 온 뒤에 산책하면 더욱 좋다. 물기가 촉촉하게 스며든 땅을 밟는 기분이 무척 상쾌하다. 쉬엄쉬엄 걷다 곳곳에 설치된 의자에 앉아 숲속 풍경을 감상하는 맛도 좋다. 그렇게 한 바퀴 돌아 나와 입구에 배치된 수도꼭지를 틀어 발을 씻다 보면 어느새 또 한 번 걸어볼까 하는 아쉬움이 생긴다. 계곡물을 이용한 계단식 물놀이장, 야생화 단지도 조성되어 있어 아이들과 함께 즐길 수 있다. 휴양림 안에 있는 숙박시설을 이용할 경우 이슬이 촉촉이 내린 새벽의 황톳길을 맛볼 수 있다.
• 이용 시간: 오전 9시~오후 7시(동절기에는 오후 6시까지)
• 문의: 061-763-8615, gwangyang.go.kr
출처:(대한민국 대표 꽃길)
2024-03-15 작성자 청해명파(구,명사십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