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성-동엽령-백암봉-귀봉-횡경재-지봉-대봉-갈미봉-빼봉-빼재
백두대간은 북한의 백두산에서 남한의 지리산까지 한반도의 남북으로 이어지는 긴 산줄기.
이 산줄기를 남한에서 종주할 수 있는 구간은 천왕봉에서 진부령까지 도상거리로 약 734km에 이른다.
이루는 주요 산은 먼저 북한에서 백두산(2,750m)을 기점으로 포태산(2,289m), 두류산(2,309m) 등 해발고도 2,000m 내외의 고봉으로 이어지며, 북쪽의 두 강인 압록강과 두만강 유역을 양분하는 경계선을 이루게 된다. 산줄기는 다시 남쪽으로 차일봉(1,742m), 철옹산(1,085m), 추가령(752m)으로 이어지며 높이는 점차로 낮아진다. 또한 동해안을 끼고 태백산맥을 따라 금강산(1,638m), 설악산(1,708m), 오대산(1,563m), 대관령(832m), 두타산(1,353m)을 거쳐 태백산(1,567m)에 닿는다. 여기서 방향을 남서쪽으로 돌려 소백산맥을 따라 소백산(1,440m), 죽령(689m), 속리산(1,059m)으로 뻗어내린 뒤, 황악산(1,111m), 덕유산(1,614m), 지리산(1,915m)으로 이어지면서 백두대간이 끝난다.
안성탐방소에서 운동하고 단체인증으로
출발과 동시에 비가내림
문덕소
칠연폭포까지 가파른 오르막이고 폭포를 보려면 탐방로에서 20~50m내외를 내려갔다가 올라와야 한다.
다리위에서
동엽령 200m 전에 잘 정비된 탐방로를 만난다. 동엽령까지 가파르게 치고 올라가야 합니다.
전라북도 무주군 안성면에 위치하고 있는 고개로 거창군 북상면으로 넘어가는 재를 말합니다.
백암봉은 거창군과 무주군이 경계를 이루는 산지 능선부의 중간 지점에 있는 봉우리1,503m이다. 이 능선부 구간은 동북쪽 삼봉산에서 서남쪽으로 갈미봉-대봉-지봉-귀봉-백암봉-무룡산-삿갓봉-남덕유산으로 이어지며 백두대간 구간에 해당한다. 백암봉은 백두대간 구간과 비껴 있는 덕유산의 주봉인 향적봉으로 이어지는 능선부가 출발하는 지점이기도 하다. 등산로 상에서 백암봉은 송계 삼거리에 해당하는데 바로 백두대간 등산로와 덕유산 향적봉으로 이어지는 등산로가 갈라지는 지점이다.
이동통신안됨
귀봉
횡경재는 백두대간길과 송계사갈림길입니다.
지봉가는 중
지봉의 명칭은 옛날에 흰 구름이 오락가락하는 사이에 피는 연꽃이 있는 연못이 있었다하여 유래되었습니다.
저멀리 지봉 그뒤로는 남덕유가보입니다.
대봉은 경상남도 거창군과 전라북도 무주군의 경계를 이루며, 높이는 1,300m이다.
대봉에서 서남쪽으로 백암봉으로 이어지는 능선에는 횡경재가 있으며, 횡경재로부터 동남쪽으로 송계사가 있는 송계사계곡과 당산폭포가 있어 여름에 시원한 산행을 즐기기에 좋습니다.
지봉과 덕유산 향적봉 저멀리 남덕유산
갈미봉
빼봉
빼재는 덕유산 산줄기와 삼봉산을 잇는 백두대간의 고개 이름입니다.
명칭의 유래는 삼국시대부터 전략적 요청지로 수많은 민관군이 뼈를 묻었고, 임진왜란 때에는 토착민들이 산짐승을 잡아 먹어가며 싸워 산짐승의 뼈가 널리게 되어 붙여진 이름이라고 전해지며
뼈재가 경상도 방언으로 빼재가 되었다는 설과 이를 한자지명으로 표기할 때 빼어날 '수'자를 써서 수령이라고도 부릅니다.
고개 마루 정상 밑에 신풍령이라는 이름의 휴게소가 들어서게 되면서 고개 이름은 빼재라는 이름과 신풍령이라는 이름이 동시에 쓰이게 되었습니다.
오늘 하루 안전한산행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