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합격할 때까지는 우리나라에 들어올 생각하지마!" 수화기를 끊고 나니 더 화가 치밀었다.
우리 제품이 그 정도 밖에 안 된단 말인가. 정말 세계의 벽은 높구나 하는 것을 실감할 수 있었다.
1983년,홍진크라운은 미국 시장의 문을 두드리기 시작했다.
우연한 기회에 "서울헬멧"이라는 회사를 인수하여 "홍진기업"이라는 상호로 헬 멧 사업을 시작한지 11년.각고의 노력으로 6년 만에 국내 시장 점유율 1위를 차 지하자 세계시장에 도전해보자는 생각에 진작부터 미국진출을 준비하고 있었다 . 그런데 미국시장 진출은 쉬운 게 아니었다.
우선 미국 연방교통부(DOT:U.S.Department of Transportation)가 주관하는 품질 규격을 통과해야 하는데 이게 여간 까다로운 게 아니었다.
미국에 지사를 설립하고 동생 수기에게 지사장을 맡겼다.
그 때부터 각종 우수한 샘플을 구입해 연구하고,품질을 개선하며 DOT 규격을 따 내는 일에 전념했다.
그런데 이번에는 틀림없다고 생각해서 샘플을 보내면 규격획득에 실패하고 반송 되는 일이 계속 반복되었다.
정말 울화통이 터질 일이었다.
나는 화가 가라앉자 다시 미국에 전화를 걸었다.
그리고 "무턱대고 테스트에 응하지 말고 마당이라도 쓸어." 미국의 시험관이 사 는 곳은 눈이 많이 오는 지역이었다.
나의 닦달에 자극을 받은 지사장은 어느날 아침부턴가 시험관 집앞의 눈을 쓸기 시작했다.
그렇게 눈을 쓸기 한달 여.마침내 시험관이 지사장을 불렀다.
"눈을 쓴다고 하자가 있는 제품을 합격시킬 수는 없소.눈 쓰는 일을 중단해 주 시오." "합격시켜달라고 하는 일이 아닙니다.
왜 떨어지는 지만 가르쳐 주십시오." 지사장은 애원하며 사정했다.
그랬더니 담당관은 빙긋이 웃었다.
그리고 몇 가지 불합격 사유를 가르쳐 주었다.
"땡큐! 미스터 데이빗.곧 새로운 샘플을 만들어 제출하겠습니다.
" 미국지사장이 알아낸 정보는 곧바로 샘플제작에 반영되었다.
그러기를 더 몇 차례.홍진 크라운 헬멧은 마침내 1984년 11월 미국 DOT 규격을 획득할 수 있었다.
무려 2년여가 걸린 험난한 랠리였다.
그러나 품질규격을 통과했다고 해서 금방 제품이 팔려나가는 것은 아니었다.
샘플을 들고 다닐 때마다 헬멧의 디자인과 기술이 뒤떨어져 바이어들의 비웃음 도 많이 샀다.
아시아에서 온 저급품이라는 냉대가 계속됐다.
"내친김에 스넬까지 획득하자." 스넬(SNELL)이란 오토바이 경기도중 헬멧이 깨져 사망한 스넬이라는 미국 선수 를 추모하기 위하여 "스넬기념재단"이 만든 미국 최고의 헬멧 품질보증서다.
따라서 스넬규격은 DOT 규격과는 상대가 되지 않을 정도로 까다로웠고 고급브랜 드의 대명사였다.
홍진 크라운은 계속해서 품질을 개선하는 각고의 노력 끝에 1987년 스넬규격도 따냈다.
이어서 유럽의 각종 규격도 획득했다.
우리가 세계 일류의 각종 규격을 획득하기까지 들인 돈과 노력은 때로는 중소기 업으로서는 감당하기 어려운 것이었다.
나는 직원들에게 가끔 이야기한다.
"세상에 투자 없는 결과는 없다.
" 그 신념은 지금까지 지켜져 매년 매출의 10%를 연구개발비로 쓰고 있다.
홍진 크라운이 스넬규격을 획득하자 미국 시장에서 제품에 대한 인지도가 서서 히 달라지기 시작했다.
매출이 급격하게 늘지는 않았지만 바이어들이 호감을 나타냈다.
그러자 미국 헬멧 판매상 중 가장 큰 업체인 "로키 사이클"의 빅터 영 사장이 급히 한국으로 날아왔다.
그는 우리 회사와 인연이 있는 사람이었다.
미국 시장 개척시 맨 먼저 두드린 곳이 바로 로키 사이클이었던 것이다.
그 때 로키 사이클은 아시아의 작은 업체를 문전박대하며 제대로 상담도 해주지 않았다.
"홍 사장,50만 달러를 주겠소.그럴테니 우리 상표를 붙여주시오." 빅터 영 사장은 그 때의 일을 사과하며 제안했다.
한번에 50만 달러 어치를 수입할 테니 자신들의 상표 "스파르탄(Spartan)"을 부 착하여 OEM으로 제작해 달라는 것이었다.
50만 달러. 당시의 우리로서는 엄청난 금액이었다.
그 돈이 있으면 새로운 기술개발비에 투자할 수 있고 단숨에 미국 시장에서 자 리잡을 수 있는 탐나는 뭉칫돈이었다.
나는 그의 제안을 받고 이틀 동안 고민했다.
그리고 결론을 내렸다.
노우(NO). 곶감은 달다.
그러나 하나씩 빼먹고 나면 남는 것은 막대기뿐이다.
OEM(주문자상표부착생산방식)으로 납품을 하는 것은 곶감과 같다.
자사 브랜드가 없고,자체 판매망을 갖추지 않으면 계속해서 끌려 다닐 것이라는 판단이 섰다.
처음에는 어렵더라도 반드시 우리 브랜드로 런칭을 해야겠다고 생각했다.
빅터 영은 "후회할 것이다.
다시 한번 생각해 보라"는 말을 남기고 소득 없이 떠났다.
홍진은 처음 "크라운"이라는 브랜드로 제품을 출시했다.
그런데 2년여가 지났을 때 "크라운"이라는 상표가 문제가 됐다.
미국의 유명 데모 방지용 헬멧 이름이 "크라운"이었던 것이다.
남의 브랜드를 가지고는 세계시장에서 나아갈 수 없었다.
고심 끝에 "세계로 나아간다"는 의미인 "홍진(洪進)"을 붙인 "홍진크라운"의 첫 글자 이니셜을 따 "HJC"로 정했다.
자사브랜드는 처음에 정착하기에는 어려움이 많다.
광고와 선전,새로운 디자인과 품질이 보장되어야 한다.
그러나 소비자에게 브랜드가 알려지면 신발이나 의류처럼 값이 안 맞는다고 다 른 곳으로 거래처를 바꿀 수 없다.
미국 중부에 우리 제품을 공급하는 캐슬사의 바이어 로빈슨 씨가 몇 해 전 미국 을 방문한 나를 위스콘신주 그린베이에 있는 자기 집으로 초대했다.
그런데 집에 찾아가니 저녁 만찬이 온통 한국식이었다.
어떻게 된 거냐고 물었더니 음식을 대접하기 위해 주 경계를 넘어 한국 슈퍼마 켓이 있는 시카고까지 자동차로 4시간을 달려 장을 봐왔다는 것이다.
"당신은 나에게 평생 은인입니다.
" 그는 HJC 덕분에 큰돈을 벌었는데 다른 바이어들이 HJC 판매권을 1천만 달러에 팔라고 했지만 일언지하에 거절했다는 이야기를 자랑스레 들려주었다.
그의 이야기는 HJC가 미국 시장에서 차지하는 위상을 실감하게 했다.
처음에 우리 회사의 저력을 내다보지 못하고 문전박대했던 로키 사이클 사는 땅 을 치고 후회했다 한다.
나중에 후회할 사람은 우리가 아니라 바로 빅터 영 사장 그였던 것이다.
그는 내게 뿐만아니라 다른 사람에게도 당시 자신의 결정이 자기 비즈니스 생애 의 가장 후회스러운 결정이었다는 이야기를 했다고 전해들었다.
그 때부터 공을 들여 키운 HJC 브랜드는 현재 세계 최고가 되었다.
이제는 세계 어느 곳에 가더라도 우리 브랜드가 헬멧 매장 한가운데에서 빛을 발하고 있다.
"사장님 우리 브랜드가 드디어 미국 시장점유율 1위를 차지했습니다.
" 인디애나폴리스에서 모터쇼가 열렸던 그 해 연말,미국에서 낭보가 날아들었다.
미국에서 가장 유명한 "모터사이클 인더스트리"란 잡지에서 HJC가 시장 점유율 1위라는 발표를 한 것이다.
헬멧사업을 시작한 지 18년.미국 입성 6년만인 1992년의 일이었다.
우리가 1위를 할 때 계속 선두를 지키던 일본의 쇼웨이는 과도한 출혈경쟁으로 부도를 내고 말았다.
순위도 3위로 떨어졌다.
HJC는 1992년 이래 미국 시장에서 시장점유율 50%에 육박하며 10년 넘게 1위를 지키고 있다.
세계 전체시장에서도 16.5%를 기록,단연 선두를 달리고 있다.
2위인 이탈리아 NOLAN의 점유율이 우리의 절반수준인 7%대임을 감안하면 압도적 인 우세인 셈이다.
-----------------------------------------------------------------
[ 홍완기 HJC 회장 약력 ] 40년 충남 논산군 광석면 출생 68년 한양대 공업경영학과졸 71년 홍진기업 창업 82년 홍진크라운으로 법인명 변경 86년 전국오토바이부품진흥회 회장 89년 서울대 경영대학원 최고경영자 과정 수료 2002년 세종대 명예경영학박사 2003년 HJC로 상호변경
가격대 성능을 따져 봐야죠....보통 대배기량 라이더가 쓰는 일제 헬멧들은 가격이 일반 라이더에겐 바이크 한대 값이죠..(-_-) HJC는 그보다 휠씬 저렴하면서도 안전(?)하고 부담없죠....나중에 HJC도 더욱 고급스럽고 좋은 헬멧 나오겠죠..일제를 그 가격에 만들어라 하면 더 안좋을수도..글고 알차라이더보단
우리나라엔 일반 라이더가 더 많지 않습니까...전 헬멧이 몇개 있는데 홍진꺼도 오래전에 사서 아직까지 잘쓰고 있습니다..그리고 보면 실용성은 홍진이 더 낳은듯...일제는 비싸니 함부로 다루기도..뭐하죠..ㅋㅋㅋ 그렇타고 국산은 막다루면 된다는게 아님...닦아주고 광내고...
감자만세님의 의견에 동의합니다. 저희나라에는 R차와 같은 대배기량 바이크가 보편화 되어 있지 않아서 대배기량 바이크가 우리보다 더 보편화된 일본의 회사보다 착용감 실용성 내구성등이 떨어질수도있습니다. 그러나 이 HJC헬멧들은 우리나라의 상황에 맞게 제작되어 있기에 이상하다고 보진 않습니다.
첫댓글 지금 미국 오토바이 잡지(sport rider) 에 찾아보니깐 hjc 헬멧 광고 나오네여... 자랑스럽당~~
가슴 뜨거운 이야기군요... 투자없는 결과란 없다라... 한기업의 최고경영자가 가져야할 마음자세를 그래도 보여주는것 같습니다.
박수를 보내드립니다! 자랑스런 한국대표 기업으로 더욱 발전 할 수 있었음 하네요! 짝짝짝짝짝짝짝짝짝짝짝짝짝짝짝짝짝짝짝짝짝짝짝짝짝짝짝짝짝짝짝짝짝짝짝짝짝짝짝짝짝짝짝짝!
홍진 짱~~!!
그런데 실제 쇼에이나 아라이와 홍진을 비교해서 사용해보면 홍진헬멧이 더 좋다라는 느낌이 들지않는 이유는 멀까? 실제로 고속으로 달리는 알차를 타는 라이더를 보면 착용감과 디자인 및 실용성, 내구성등 품질에 있어서 홍진에 손을 들어주는 라이더를 본적이 없다.
돈없어서 홍진사야지..
얼마전 케이블에서 쿨러링이란 영화가 나왔는데...거기서 HJC라고 뚜렷하게 박힌 헬멧을 봤습니다..ㅋㅋㅋ반갑더라구여...
가격대 성능을 따져 봐야죠....보통 대배기량 라이더가 쓰는 일제 헬멧들은 가격이 일반 라이더에겐 바이크 한대 값이죠..(-_-) HJC는 그보다 휠씬 저렴하면서도 안전(?)하고 부담없죠....나중에 HJC도 더욱 고급스럽고 좋은 헬멧 나오겠죠..일제를 그 가격에 만들어라 하면 더 안좋을수도..글고 알차라이더보단
우리나라엔 일반 라이더가 더 많지 않습니까...전 헬멧이 몇개 있는데 홍진꺼도 오래전에 사서 아직까지 잘쓰고 있습니다..그리고 보면 실용성은 홍진이 더 낳은듯...일제는 비싸니 함부로 다루기도..뭐하죠..ㅋㅋㅋ 그렇타고 국산은 막다루면 된다는게 아님...닦아주고 광내고...
감자만세님의 의견에 동의합니다. 저희나라에는 R차와 같은 대배기량 바이크가 보편화 되어 있지 않아서 대배기량 바이크가 우리보다 더 보편화된 일본의 회사보다 착용감 실용성 내구성등이 떨어질수도있습니다. 그러나 이 HJC헬멧들은 우리나라의 상황에 맞게 제작되어 있기에 이상하다고 보진 않습니다.
HJC 외국에서 판대대는 제품들은 내수용 보다 가격이 엄청 더 비삽니다.. 그리고 안전도또한 높구요 내수용과 외수용과 비료 하지말라는글을 본적있습 니다... 허접의 주저리였습니다... 그래도 전 홍진할꼬에용 ^^ 이쁜거 많던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