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리포터 문곤섭 울산외국어고등학교 교장 |
|
|
선생님의 마음가짐 (78)
오늘은 가을을 알리는 처서다. 가는 비가 내리고 있어 그런지 몰라도 더위는 한풀 꺾였다. 위세를 떨치던 더위도 때가 되면 물러갈 줄 안다. 이제 선생님들은 가르치기가 훨씬 수월해졌고 학생들이 공부하기가 훨씬 좋아졌다. 좋은 계절을 맞이하면서 새로운 마음으로 새롭게 가르치고 배우는 선생님, 학생들이 되면 좋겠다.
공자의 제자 중 자랑할 만큼 뛰어난 제자가 하나 있다. 그분이 바로 자공이다. 논어 학이편 15장을 보면 자공이 얼마나 부유한 사람인지 알 수 있다. 처음에는 가난하게 살았지만 나중에 부유하게 되어 스승인 공자에게 경제적으로 도움을 줄 정도였다. 자공은 자신이 가난할 때도 떳떳했고 부유할 때도 교만하지 않았다.
자공에게서 배울 점은 우선 아첨하지 않는 것이다. 먹을 것이 없을 정도로 가난하면 배를 채우기 위해 아첨하기 쉽다. 그러나 자공은 그러하지 않았다. 이게 배울 점이다. 아무리 어려워도, 자신의 유익을 위해서라도 굴하지 않고 아첨하지 않는 자세는 정말 빛나 보인다.
또 하나 배울 점은 교만하지 않는 점이다. 자공이 가난에서 벗어나 부유한 위치에 있어도 교만하지 않았다. 돈 좀 있다고 뽐내고 자랑하고 사치하고 남을 낮게 보고 자신이 최고인 양 교만하면 넘어지고 만다. 자공은 부유할 때 더욱 조심스럽게 행동했다. 더욱 겸손했다. 감사하며 살았다. 남을 높일 줄 알았다. 이런 자세도 배울 만하다.
또 하나 배울 점은 많이 가지고 있을 때 자기만을 위해서 살려고 하지 않았다. 사랑의 손길을 베풀었다. 특히 자기를 가르쳐 주신 선생님에게 은혜를 갚았다. 감사하는 마음으로 도왔다. 자기가 어려울 때를 생각하면서 어렵게 사는 이웃에게 눈을 돌릴 줄 아는 자공이었다. 이러한 점이 배울 만하다.
우리 선생님들은 물질면에서는 넉넉하지 못해도 지식에 대해서는 부유하다. 전문적 지식에는 부유하다. 선생님이 가진 것 나누어 줄 줄 아는 선생님, 자랑하지 않고 더욱 겸손하게 더 많은 것을 배워 학생들에게 나누어 주는 선생님이 되면 학생들은 그럴 수 없이 좋아할 것이다.
또 한 가지 배울 점은 스승인 공자께서 자공에게 더욱 독려하는 것이다. 자공도 역시 사람인지라 자기도 모르게 스승인 공자께서 알아주기를 바랐다. 그럴 때 주마가편(走馬加鞭)식으로 더욱 분발하도록 하였다. 새로운 것을 가르쳐 주셨다.
자공이 하루는 스승에게 질문을 던졌다. “가난하여도 아첨하지 않고, 부유하여도 교만하지 않으면 어떠합니까?” 이 질문 속에는 ‘선생님, 내가 이런 사람입니다. 나를 좀 알아주십시오. 이 정도면 자랑할 만하지 않습니까? 이 정도면 인품이 대단하지 않습니까? 하는 자신을 내세우고 싶어 하는 욕망이 마음속에 깔려 있었던 것이다.
공자께서는 자공이 질문을 했을 때 칭찬하지 않고 오히려 분발하도록 하셨다. “좋은 말이나, 가난하여도 즐거워하며 부유하면서도 예를 좋아하는 이만 못하느니라”고 하셨다. 가난할 때 아첨하지 않고 부유할 때 겸손한 건 좋은데 가난하여도 즐거워하며 부유하면서 예를 좋아하는 것이 더 낫다고 가르친 것이다.
가난할 때 즐거워하기란 어렵다. 부유할 때 예를 지키는 것은 더욱 어렵다. 이런 어려운 일까지 해낼 줄 아는 완벽한 인품의 사람이 되도록 더 노력하라고 하신 것이다. 가난해도 아첨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만족하고 즐거워할 줄 아는 것도 필요하고, 부유해도 겸손해할 뿐만 아니라 예를 갖춘 사람이 되는 것이 더 나음을 가르쳤다.
아첨도 모르고 교만도 모르며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즐거움을 찾고 행복을 찾으며 여유가 있을 때에도 윗사람을 알아볼 줄 아는 예의바른 사람이 되도록 공자께서 가르치셨다. 공자께서 옥석을 만들 때나 뼈나 뿔로 작품을 만들 때 들어가는 정성을 인성교육에서도 보이라는 말씀이 보석과 같이 빛난다.
한국교육신문 : 2012-08-23 오후 3:55:00 |
선생님의 마음가짐 (79)
사람들은 자연의 고마움을 잘 모른다. 아니 잘못 느끼며 산다. 그래도 자연은 서운해 하지 않는다. 감정표현도 안 한다. 미워하지도 않는다. 화내지도 않는다. 탓하지도 않는다. 사랑하기만 한다. 유익만 주려고 한다. 사람들이 살 수 있는 쾌적한 환경을 조성해 준다. 오직 평소와 마찬가지로 자기들의 할 일만 한다.
오늘 아침은 비가 내려 그런지 너무 신선하다. 아침 공기가 이렇게 맑고 좋은 줄은 몰랐다. 지금까지 자연에 대해 감사할 줄도 몰랐다. 그저 당연한 것으로만 받아들이며 살았다. 인정할 줄도 몰랐다. 넓은 마음을 가진 자연이 고맙다. 옹졸한 마음을 꾸짖지도 않는다. 저절로 깨닫게만 만든다.
공자께서는 제자들에게 가르칠 때 중요한 것은 처음에만 강조하지 않는다. 그렇다고 끝에만 강조하지 않는다. 처음과 끝에 함께 강조한다. 논어 학이편 제1장에서 남이 나를 알아주지 않는다 하더라도 화내지 말라고 가르치셨다. 군자답게 화내지 말고 자기만 잘 하라고 하였다.
논어 학이편의 마지막 장인 제16장에서도 똑같은 내용을 반복적으로 가르치고 있다. “남이 나를 알아주지 못함을 탓하지 말고, 내가 남을 알지 못함을 걱정하라”고 가르치셨다. 남이 나를 알아주지 않는다고 화내고 남을 탓하면 꼴불견이다. 그럴 때마다 나는 남을 얼마나 알아주었는가? 인정해 주었는가? 칭찬해 주었는가? 자문해 보라고 하신다.
공자께서는 자기중심적인 삶을 살지 말라고 하셨다. 자기만 알아주기를 바라는 마음은 이기적인 마음이다. 자기가 제일이고 자기만 잘 낫고 자기만 능력 있고 자기만 최선을 다하고 자기만 학교에 큰 영향력을 미치고 나 아니면 누가 이 학교를 도움이 되겠는가? 이런 마음이 가득 차 있으면 아직 성숙한 삶에 이르지 못하고 있다는 증거이다.
수시로 공자의 가르침을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남이 나를 알아주지 않더라도 탓하지 말라. 너는 남을 얼마나 알아주었느냐? 역지사지(易地思之)의 입장으로 돌아가라. 사람은 누구나 능력 있다. 사람은 나만큼, 아니 나보다 훨씬 더 뛰어나다. 그것을 왜 모르느냐? 이런 책망이 공자의 가르침 속에 있다.
언제나 자기만 생각하지 말고 남도 생각할 줄 아는 마음, 인(仁)의 마음, 사랑의 마음만 있으면 언제나 나보다 남이 훨씬 뛰어나고 능력 있음을 보게 되고 깨닫게 된다. 그렇게 되면 자신은 낮아지게 되고 상대를 더욱 귀하게 여기게 된다. 인정 여부에 관계없이 자신의 부족을 채우려고 애쓰게 되며 자신을 위해 더욱 노력하게 된다.
공자의 가르침 중에 중요한 것은 인정받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인정받을 만한 실력이 있는지를 점검해 보라는 뜻이 내포되어 있다. 아무도 나를 알아주지 않아도 실력이 있다면, 능력이 있다면 더 이상 바랄 것이 없다. 영국 속담에 “하루를 기쁘게 살려면 이발을 하고, 한 주간을 기쁘게 살려면 자동차를 사고, 한 달을 기쁘게 살려면 결혼을 하고, 일 년을 기쁘게 살려면 새 집을 지어라”고 한다. 평생을 기쁘게 살려면 공자의 말씀대로 때때로 배우고 익히며 학생들을 가르치면 될 것 같다.
나를 알아주지 않아 서운한 마음이 들면, 남도 그렇겠구나 하는 생각이 먼저 들어야 하고 남의 작은 장점이라도 찾아서 칭찬하며 격려하는 마음으로 가득 차, 남을 알아주게 되면 결국은 자신도 칭찬 받게 되고 인정받게 된다. 이 원리가 주고받는 원리다. 사랑의 원리다. 내가 먼저 시행하면 내게는 몇 배로 돌아오는 것을 공자께서는 논어 학이편 마지막 장에서 가르쳐 주고 있다.
나를 알아주고 인정해주는 자가 아무도 없어도 화내지 말고, 원망, 불평하지 말고 가르치는 일에 전념하고 배우는 일에 힘쓰면 된다. 그러면 나의 삶이 한 차원 높은 삶이 되고 사랑의 삶이 된다.
한국교육신문 : 2012-08-24 오전 11:33:0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