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여성시대 다음카페(Daum)
스벅보다 돈 많이 버는 다이소...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전체(100%) 중에
일본 - 약 34%
나머지 - 한국 다이소 오너 일가 소유.
오너 일가는 전부 한국태생 한국인 맞음.
즉 최대 주주는 한국임.
이미지에 표시되지 않은 비율(16%) 는
회장 자식들이 나눠서 개인 소유중.
다이소는 판매 역할
아성은 물건 수입 및 다이소에 공급 역할.
일본 대창산업이 한국 다이소에 투자해서 얻은 것
2017 ~ 2019 동안 배당받은 150억이 전부.
그외 일절 없음.
쿠팡은 한국에서 시작한 기업이고
도중에 미국 회사에 지분 100%를 매각함.
그럼 쿠팡은 미국 회사인가?
미국에 있는 기업이 삼성에게 투자를 받아서
지분의 30% 가량이 삼성에게 있다면
해당 회사는 한국 회사인가?
같은 논리로 볼 때 다이소는 일본 회사인가?
아니다! 라는 말을 하는 것임.
실제로 다이소에서 판매중인 물건 중
70%는 국내에서 생산 및 유통됨.
나머지 30%가 해외수입 상품.
MD가 물건 가져와서 검수하고
대량구매 계약해서 납품하는 구조.
결론.
다이소 한국기업 맞음.
그런데 일본 지분 있어서 돈이 가는 것도 맞음.
다만 그런 이유로 불매하면 내수 시장이 되려 타격맞음.
그러니 아묻따 일본 불매 대상에는 포함 안되고
불매를 원할 경우 불매하되 강요하지만 않으면 됨.
끝.
첫댓글 다이소에 왜 일본어로만 돼있는 딱봐도 수입제품 한번씩 보이잖아 그런거만 안사면 됨!
오 알려줘서 고마워!!!
일본어로 적힌 일본 다이소 물건들 몇개 보이던데 그런것만 빼고 사면 되겠다
나도 다이소 가면 항상 살피는데 플라스틱 상품이나 기타 생활용품 국산 중소 되게 많더라구
다이소 불매 이유 중 큰 거가 일본불매랑 노동권 문제였던 걸로 기억해
흑백논리로 일본회사라고 할 수 없다는 게 본문내용이면, 다이소 대부분 우리 어머니 나이대분들 일하시는데 급여도 짜고 노동착취 많이 한다던 문제는 어케 좀 개선됐는지 궁금해졌다 ㅋㅋ
삼성은 상장회사인데 다이소는 아니잖아. 삼성과 비교하면 말이 안 되는 거지. 이상한 논리야
맞아 나 아는분도 가죽공방 하는데 다이소에 가죽관련 소품 대준다고 많이 사달라했었는데!!
다이소 중년여성 위주로 채용해서 나한테는 이미지 좋고 당연히 질 별로인 상품도 있겠지만 싸게 사서 아주 잘 쓰고 있는 제품도 많아! 그리고 우리나라 중소기업 제품도 많이 있어서 좋고 접근성도 좋음..
편히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