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발열체와 외부 공기의 온도차를 크게하려면
2-1) 발열체의 온도가 올라가거나
2-2) 외부 공기 온도가 낮아지면 됩니다.
4가지 방안을 평가해보면
1-1)은 고rpm은 소음을 유발시킵니다.
1-2)는 쿨링팬을 교체해야하죠
가장 간단한 방법은
2-1) 발열체의 온도를 올리는 겁니다.
보드마다 다르지만 bios에서 쿨링팬 작동 영역을 조절할수 있는 경우 cpu허용온도 범위내애서 쿨링팬이 가장 늦게 돌도록 하는 겁니다....작동 온도를 가장 높게 설정하는 거죠.
예를 들면
cpu 허용온도가 70도라면 70도가 될때 까지 팬이 작동을 하지 않다가 70도 가까이 온도가 올라간 경우 쿨링팬이 돌도록 세팅하면
대기 온도가 25도 라고 하면 70도-25도=45도의 온도차로 냉각이 시작됩니다.
평소 cpu온도가 45도에서 쿨링팬이 도는 경우와 비교하면 외부공기가 0도의 냉기로 냉각하는 온도차 입니다.
냉각 효과 만 보면 냉장고에서 PC를 돌리는 셈이죠.
냉각 효과가 좋으므로 쿨링팬이 낮은 rpm으로 돌아도 되니 소음이 적겠죠.
추가로
2-2) 대기 온도가 25도라고 해도 케이스 안에는 발열체가 많아서 온도가 상승될수 있으므로
에어가이드나 팬덕트를 이용해서 CPU에 외부 공기가 직접 유입되도록 하면
외부 온도를 낮추는 효과를 볼수 있습니다.
케이스의 공기유입구와 CPU쿨링팬의 공기유입구를 정확히 일치시켜서 외부 공기만 CPU안에 유입되도록 해주면
이 효과도 상당합니다.
**********************
사제 쿨러가 물론 좋지만 정품 쿨러도 괜찮은 성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CPU쿨링 팬이 소음을 발생시킨다면 사제 쿨러를 사시기 전에 위 두가지 방법을 적용해보시길 추천해드립니다.
사제 쿨러를 사신 다음에도 위 두가지 방법을 적용하면 사제 쿨러 쿨링팬을 더 천천히 돌게 해주는 방법도 되고요.
전 새끈매끈 케이스에 M3A78-EM + 데네브940BE 쓰면서
위 두방법으로
idle시 CPU온도는 48->42도 , 쿨링팬 rpm는 2400->2000 으로 낮우고
720p재생시 CPU온도는 54->48도 , 쿨링팬 rpm는 3200->2500 으로 낮췄습니다.
HTPC 조립할때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참고로 M3A78-EM 에선
CMOS에서
power 탭 선택해서
HW Monitor Configuration 들어가서
1) Smart Q-Fan Function 을 [Enabled]로
2) Fan Auto Mode Start Voltage 를 [4.0V] 최소값으로
3) Fan Auto Mode Start Speed Temp 를 [48도] 최대값으로
4) Fan Auto Mode Start Speed Temp 를 [75도] 최대값으로
설정하시면됩니다.
첫댓글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몇개월마다 cpu냉각팬 먼지제거도 필수입니다. 먼지때문에 소음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더라구요.
네~...먼지제거 캔 하나 구입해서...1년에 한번정도는 꼭 쌓인 먼지 날려줘야 좋죠....먼지 많이 쌓이면 합선 일으킬수도 있으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