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북 구(龜)자는 거북의 모양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龜
여자의 자 규(䶯)자는 여자 여(女)자에 거북 구(龜)자를 했습니다. 거북 구(龜)자는 거북 등껍질로 조짐을 미리 알아내는 점을 친다는 점에서 신비한 영물(靈物)로 생각했습니다. 그리고 또 거북은 장수(長壽)하는 짐승이래서 장수(長壽)를 비는 일에도 사용했습니다. 거북은 이래저래 사람들에게 길한 짐승으로 기억(記憶) 되었습니다. 그러기에 여자의 자(字)로 사용했습니다.
+
= 䶯
털로 장식된 장식물 초(䶰)자는 거북 구(龜)자에 털 모(毛)자를 했습니다. 털 모(毛)자를 해서 털로 장식한 장식물임을 나타냈습니다. 거북은 잘 손질해서 장식물로 사용했습니다.
+
= 䶰
가을 추(龝)자는 벼 화(禾)자에 거북 구(龜)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거북 구(龜)자는 추수의 계절에 풍성함을 나타낸 글자입니다. 가을 추(龝)자는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
= 龝
거북 이름 동(䶱)자는 의부(義符)로 거북 구(龜)자에 성부(聲符)로 겨울 동(冬)자를 했습니다. 겨울 동(冬)자는 추위를 막기 위하여 꽁꽁 싸매 둔 그림(夂)과 얼음(冫)을 합해서 만든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䶱
귀갑의 가장자리 염(䶲)자는 의부(義符)로 거북 구(龜)자에 성부(聲符)로 나아갈 염(冉)자를 했습니다. 나아갈 염(冄,冉)자는 멀 경(冂)자 안에 두 이(二)자를 해서 먼 곳으로 오락가락하는 것을 표시하였습니다. 이쪽과 저쪽을 왕래한다는 뜻의 글자입니다. 그러니, 나아간다는 뜻이 생겼지요. 나아갈 염(冉)자는 나아갈 염(冄)자와 같은 글자입니다. 처음 글자는 염(冄)자였는데, 나중에 염(冉)자로 변했다고 생각합니다. 나아갈 염(冄,冉)자는 털을 그린 글자입니다. 걸을 때 날리는 털을 그려서 나아간다는 뜻을 나타냈습니다. 나아갈 염(冉)자는 걸을 때 다리를 벌리는 모양을 상형(象形)한 글자로 보기도 합니다. 귀갑(龜甲)은 거북의 겁질이라는 말입니다.
䶲
자라 별(龞)자는 성부(聲符)로 해질 폐(敝)자 아래에 의부(義符)로 거북 구(龜)자를 했습니다. 해질 폐(敝)자는 해어진 옷 폐(㡀)자에 칠 복(攵)자를 해서 옷이 다 떨어지도록 두들겨 팬 글자입니다. 언뜻 볼 별(瞥), 보습날 별(鐅,䥕), 자라 별(鼈), 발끈할 별(嫳), 너울거릴 별(徶), 털 별(襒), 악할 별(憋), 개미 별(蟞), 금계 별(䨆), 자라 별(鱉)자들은 해질 폐(敝)자가 들어 있어서 ‘별’로 읽습니다. 자라 별(鼈)자도 자라 별(龞)자와 같은 자입니다. 해질 폐(敝)자 아래에 맹꽁이 민(黽)자를 했습니다. 모두 자라를 뜻하는 글자입니다. 거북 구(龜)자나 맹꽁이 민(黽)자나 자라를 표시하는 데는 똑 같습니다. 자라는 거북의 모양을 했고, 맹꽁이와도 닮았습니다.
+
= 龞
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