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서울남부시험장에서 봤습니다. 교실이 2개로 나눠져 있는데 처음에 그걸 모르고 6실에 있다가 명단을 보니 5실이여서 이동했습니다
폰을 내면서 뽑은 번호에 앉아서 시험을 봤습니다.
필답
9시부터 시험시작이였고 필답형 30분동안 6문제를 풀었습니다.
1번은 보기에서 문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을 모두 고르는 것이었습니다. 저는 대비를 안 해서 틀렸을 것 같습니다
곤충 부위에 대해 쓰는 문제는 길앞잡이가 나왔고 공부를 안 해도 풀 수 있게 더듬이, 겹눈, 앞다리 같은게 나왔습니다. 보기도 있습니다
검색표 문제는 빈 칸이 2개 였는데 하나는 날개가 없고 새우를 닮았다는 내용이 있었고 어디선가 본 거 같아서 돌좀목으로 썼습니다. 다른 하나는 단단하다는 내용이 있어서 딱정벌레목으로 했습니다
사진과 동물 설명이 있는 문제는 개개비가 나왔습니다
발자국, 배설물 사진과 동물에 대한 설명이 제공되는 문제는 먹이가 개구리, 물고기이며 물갈퀴가 있고 털이 있다는 내용이 있었고 수달로 썼습니다
과 맞추는 문제는 예시 동물로 너구리, 여우 등이 있었고 개과로 적었습니다
실기
맨 앞에 있는 사람 모두에게 사진이 주어지고 1분 30초후에 같이 뒤로 넘기기 때문에 번호가 안 좋게 걸렸어도 끝나는 시간은 6분 정도만 차이가 있습니다
총 30문제인데 20문제는 종, 과 맞추기. 5문제는 종, 목, 문 맞추기. 5문제는 종, 과, 멸종위기등급 맞추기 였습니다.
사진은 1장 주어지고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에 없는 사진들이 나왔습니다.
20문제, 5문제, 5문제 각각 동물이 나오는 순서는 q-net 300종 목록 순서로 나왔습니다. 20문제 뒤쪽에 잠자리 유생이 나왔는데 300종 목록에 뒤쪽에 있는 잠자리는 개미허리왕잠자리, 어리장수잠자리이고 생김새가 왕잠자리 같아서 개미허리왕잠자리로 썼습니다
날도래의 경우 올챙이물날도래 유생이 나와서 쉽게 풀 수 있었습니다. 처음 보는 사진이라 족제비인지 담비인지, 새매인지 참매인지 헷갈렸고 중대백로의 노랑부리백로와 헷갈렸지만 부리의 기부가 눈 뒤까지 넘어간다는 것을 기억해서 중대백로로 썼습니다
원앙은 암컷 사진이 나왔습니다
30문제 중 어류는 한 문제만 나왔고 꾸구리인지 돌상어인지 헷갈렸는데 지느러미에 무늬가 없어서 돌상어로 했습니다
헷갈리거나 분류명이 어려운 게 별로 없어서 난이도는 쉽게 나온 것 같습니다
첫댓글 참매, 새매가 많이 헷갈리더라고요 ㅎㅎ
못 봤던 사진이 나오니 더 헷갈리네요..
수고 하셨습니다.
합격을 미리 축하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고생하셨네요 축하드려요^^
감사합니다!
공부하느라 고생하셨습니다ㅜ 축하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