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묘법연화경 원문보기 글쓴이: 白蓮
여래장계 경전과 사상
1. 성불원리의 추구
1) 중기대승경전의 특색
대승불교를 일반적으로 초기대승, 중기대승, 후기대승으로 나눈다. 초기대승불교를 완성한 분이 용수보살이다. 그러나 용수보살 이후에도 계속하여 많은 대승경전이 작성되었다. 여기에서는 밀교가 흥륭하는 6∼7세기경까지 성립된 경전을 임시로 중기대승경전으로 부르도록 한다. 그 내용은 다채롭지만, 일반적으로 말하면 초기경전이 반야경전과 더불어 종교문학성 강함에 비해서 중기대승경전은 부파불교적 요소를 다분히 담고 있다. 부파불교의 교의는 아비달마(Abhidharma=論)로 불리는 문헌에 제시되어 있다. 대승불교에서는 아비달마라는 명칭이 사용되지는 않았으나, 이에 상당하는 논(論)'이 4∼5세기 경부터 작성되기 시작하였다. 중기경전의 대표적인 것은 논의 선구적 역할을 하였으며, 논에 준하는 성격을 갖고 있다.
교리라는 이론의 발전이라는 점에서 보면, 이 시대의 사상의 특징은 주체의 문제가 중심을 이루고 있다. 불교의 무아(無我)를 설하여 주체를 부정하는 듯이 표현하고 있으나, 이는 주체의 문제를 도외시한 것이 아니라 오히려 깊은 성찰을 한 결과였다.
대승불교운동의 전개는 인도종교사에 있어 힌두이즘운동에 호응하며, 넓은 의미에서는 힌두이즘 운동의 일환으로까지 평가되고 있다. 불교와 바라문교는 세계관의 명확한 차이에도 불구하고 종교현상에 있어서는 평행관계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시대에 대승불교도가 자신의 사상을 교의화하고자 할때, 많건 적건 바라문교의 핵심적 축인 자아의 철학을 의식하지 않으면 안 되었을 것이다. 물론 불교는 '아(我)'를 인정하지 않기 때문에 주체는 '심(心)'으로 파악되고 있다.
이 경우 주체의 문제를 추구하는 과정에 붓다의 구제를 중심으로 하는 입장과 보살의 주체적 실천을 중심으로 하는 입장이 명확히 구분되었으며 각각의 이론을 갖추게 되었다. 전자에서는 중생의 마음이 붓다의 구제에 대응하는 원리로 생각되어 여래장(如來藏, tathagatagarbha) - 불성(佛性, Buddhadhatu) 등의 교의가 구성되고, 후자에서는 아뢰야식(阿賴耶識, alayavijnana) - 유식(唯識, cittamatra) 등의 교의가 성립되었다.
그리고 각각에 관계된 경전이 작성되었다. 여래장과 불성은 실질적으로는 거의 동일한 개념이지만, 불성은 주로 {열반경}에서 사용되고 있는데 이 경은 여래장사상 뿐만 아니라, 그 밖의 광범위한 문제를 취급하고 있다. 또한 여래장과 유식 두 사상의 교섭을 반영하는 {능가경}과 {기신론}도 작성되었다.
2) 여래장계 경전
여래장은 특징적인 사상이지만, 그 사상을 전반적으로 조직한 교의는 형성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여러 경전이 상당히 자유롭게 여래장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또한 여래장이라는 말을 조금 밖에 사용하지 않는 경우, 또는 전혀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도 그 기조가 여래장사상과 공통됨이 인정되는 경전도 있다. 여래장에 대해 언급하고 있는 경전과 논을 열거하면 다음과 같다.
----------------------------------------------------------------
여래장에 대해 언급하고 있는 경
(1) 여래장경(如來藏經) .(佛陀跋陀羅역 1권, 不空역 1권, 티벳역)
(2) 부증불감경(不增不減經) .(菩提流支역 1권)
(3) 앙굴마라경(央掘摩羅經) .(求那跋陀羅역 4권)
(4) 대법고경(大法鼓經) .(구나발타라역 2권, 티벳역)
(5) 승만경(勝만經) .(후에 설명)
(6) 열반경(涅槃經) .(후에 설명)
(7) 능가경( 伽經) .(후에 설명)
(8) 무상의경(無上依經) .(眞제역 2권)
(9) 대승밀엄경(大乘密嚴經) .(地婆訶羅역 3권, 불공역 3권 티벳역)
여래장에 대해 언급하고 있는 논
(1) 구경일승보성론(究竟一乘寶性論) .(후에 설명)
(2) 대승법계무차별론(大乘法界無差別論)(堅慧저, 提雲般若역 1권)
(3) 입대승론(入大乘論) .(견혜저, 도봉 등의 역 2권)
(4) 대승장엄경론(大乘莊嚴經論).(미륵의 논, 후에 설명)
(5) 불성론(佛性論) .(世親저, 진제역 4권)
(6) 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 .(馬鳴저, 진제역 1권, 실차난타역 1권)
----------------------------------------------------------------
여래장을 언급하고 있는 경전은 {열반경}, {능가경} 등을 제외하면 대개 작은 분량의 경전이다. 이들 경은 문학적으로 주제가 각각 다르므로 서로 독립된 것으로 보아야 한다. 교의적으로도 상호 관련이 명백한 것은 아니다. 또한 성립의 순서도 잘 알려져 있지 않다. 그러나 공통된 문제의식이 발견되므로 논리적 관련을 추적하는 일은 어느 정도 가능하다.
이러한 점에 {여래장경}, {여래장엄지혜광명입일체불경계경(如來莊嚴智慧光明入一切佛境界經}, {부증불감경}, {승만경} 등이 중요하다. 그리고 논으로서는 {구경일승보성론}이 대표적이다.
3) 여래장의 의미
여래장의 원어는 tathagatagarbha이다. 여기에서 tathagata는 여래, garbha는 태아·모태를 의미한다. 이 말이 처음으로 사용된 것은 가장 일찍이 성립된 것으로 추정되는 {여래장경}이다. 그런데 여기에서는 중생을 설명하는 말, 예를 들면 "중생은 여래의 태아이다"라는 정도의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이것이 추상화되어 교의적 개념이 되었으나, 중생을 지시하는 점에는 변화가 없다. 즉 중생이 여래의 태아로서 여래 안에 포용되어 있는 상태, 또는 중생이 자신 안에 여래가 될 태아 혹은 여래의 소질을 지니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후자의 경우로 이해되는 경우가 많다.
여래장은 중생과 불타의 동일성의 사상을 기반으로 하여 발전한 것이다. 그러므로 대승의 일원적 사상 또는 성불문제를 중심으로 하는 교의사상은 모두 이에 관여되어 있다. 예를 들면 미오불이(迷悟不二)·보리·보리심·법신(法身)·법계(法界)·자성청정심(自性淸淨心) 등이 그것이다. 특히 자성청정심은 중생의 마음의 본성은 청정한 것으로, 번뇌는 청정한 마음을 우발적으로 염오시킨 것에 지나지 않는다(客진煩惱)는 사상인데, 이는 원시경전 이래 주장되어 온 것으로서 여래장사상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와 같이 여래장사상의 성립요소가 되었던 사상은 상당히 다채롭다. 그 가운데 가장 기초적인 관념을 제공하는 것은 붓다가 중생에 편재(偏在) 함을 설하였던 {화엄경} [여래출현품]의 사상(제3장 제4절 참조)일 것이다. 중생에 성불의 가능성을 확인하고 구제의 보편성을 수립하는 것이 여래장사상의 목적이었으므로 이는 당연한 것으로 생각된다. 여래장에 대해 언급하는 경론이 일반적으로 아미타불신앙과 관계 깊은 점도 마찬가지 이유에서 일 것이다.
4) 여래장경
{여래장경}은 극히 짧은 경으로, 아마도 가장 일찍 성립된 것으로 보인다. 그러한 점에 연유하겠지만 설명방식도 극히 소박하다. 무수한 연꽃 안에 붓다가 안자(安坐)하고 있는 것과 같이, 중생의 번뇌 안에도 여래의 지혜·여래의 몸이 갖추어져 있어 번뇌가 멸할 때 붓다가 출현한다. 이것이 여래장인데 그 상태가 다음의 아홉가지 비유로 제시되어 있다.
1. 색이 바랜 연꽃의 잎 속에 붓다가 단정히 앉아 있듯이,
2. 꿀벌의 무리 가운데 꿀이 감추어져 있듯이,
3. 껍질 가운데 열매가 감추어져 있듯이,
4. 오물이 묻은 황금과 같이,
5. 가난한 집에 숨겨져 있는 보물과 같이,
6. 망고나무 열매 안에 싹을 틔우는 종자가 함장되어 있듯이,
7. 누더기에 감싸인 황금의 상(像)과 같이,
8. 비천한 여인이 조귀한 제왕의 아이를 임신한 것과 같이,
9. 진흙에 묻힌 황금의 상과 같이,
일체 중생 속에 여래장이 존재한다.
이 아홉 가지의 비유는 구경일승보성론에도 인용되어 있을 정도로 중시되었으나, 이론적인 설명은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그런데 이는 소박한 설명이면서도, 여래장이 실재적인 원리로 상정되고 있다는 인상을 준다. 만약 그렇다면 용수가 밝힌 공의 사상에 반하는 것이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 아마도 이러한 실재관을 스스로 부정하기 위하여 여래장계경전은 용수의 부정논법을 채용하고, 공의 사상을 받아들였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최초의 발상이 실재론적이었음에 주의하여야 한다.
4) 부증불감경
극히 짧은 경전인 부증불감경은 중생계와 불의 법신은 불이(不二)로서 전혀 동일하다고 한다. 이를 여래장 또는 제일의제(승의제)라고도 하는 바, 중생을 떠나 별도로 법신이 있는 것이 아니라, 법신이 무한한 번뇌에 가려 무시이래(無始以來) 윤회의 세계에 표류하고 있는 상태를 중생이라고 한다.
그런데 범부는 이 중생계에 대해 증감·단상(斷常)의 대립적인 관념을 품으며, 중생계 즉 법신에 증감·단상이 있다고 생각한다. 이는 대사견(大邪見)으로 부증불감·부단불상이라고 하지 않으면 안된다. 신 그 자체는 대립과 시간규정을 떠나 있으므로 상주·불변·불이(不異)·부진(不盡)·불멸·부작(不作)의 법이다. 그리고 중생계에는
1. 여래장이 근본적으로 그것과 결합되어 있는 진여법계(眞如法界)인 자성청정심
2. 여래장이 근본적으로 그것과 결합되어 있지 않은 바의 번뇌에 의해 우발적으로 염오되어 있는 자성청정심
3. 여래장이 일체제법의 근본으로서, 미래 영겁에 평등·상주하는 법계라는 세가지 성질이 있다.
경의 작자는 대립개념을 부정하는 표현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아마도 용수보살의 {중론}의 논리를 알고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다만 {중론}과 다른 표현은 법신여래장을 명백히 상주·불변의 법으로 표현하고 있는 점이다. 경은 부단불상을 말하고 있으나, 여기에서 말하는 상주는 단멸의 관념과 상대되는 상주가 아님은 명백하다. 상대적인 상주성과는 차원을 달리하는, 소위 절대적 상주의 관념이라고 하지 않으면 안된다. {중론}이 열반을 불생·불멸이라고 하였던 사상이 여기에서는 법신의 상주·불변으로 표현되고 있는 것이다.
동일한 상주의 관념이 그 반립과 부정을 매개로 하여 차원이 다른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만약 관념·지식이 그 대립성과 자기부정을 매개로 함으로써 보다 본질적인 진리로 발전하는 사고법을 변증법이라고 부른다면 여래장사상에는 변증법적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다.
2. 상대성의 초월
1) 여래장엄지혜광명입일체불경계경
이 경(운摩流支역 2권, 이역으로는 僧伽婆羅·法護·티벳역)은 여래장이라는 말을 사용하고 있지는 않으나, 그 기조는 여래장사상과 공통되며 {구경일승보성론}에도 중요한 경전으로 종종 인용되고 있다. 그리고 이 경에는 대립개념을 부정하는 공의 표현형식이 빈번히 사용되고 있다. 특히 그 대립의 부정에서 '비상(非常)·비불상(非不常)'이라는 이중부정의 표현이 눈에 띈다.
또한 이 경은 법시의 불생·불멸을 강조하지만, 이와 같이 불생불멸·무위임에도 불구하고 법신이 갖가지 모습으로 출현함을 제석(帝釋)·천고(天鼓)·운우(雲雨)·범천(梵天)·일광(日光)·보주(寶珠)·향성(響聲)·대지·허공 등의 비유로써 설명한다. 일광에 대해 "태양의 빛이 만물을 비추는 것과 같이, 여래의 지혜의 빛은 일체 중생을 평등하게 이익되게 한다"고 하며, 대지에 대해 "대지가 만물을 유지하는 것과 같이, 여래의 지혜는 일체의 중생을 유지하며 외도와 악인의 마음에도 선을 생기게 한다"고 한다.
이 사상은 {화엄경}의 [여래출현품]의 사상과 같다. 경이 말하는 여래의 지혜는 여래의 법신으로 환언하여도 좋을 것이다. 붓다에서 중생으로 미치는 지혜의 힘은 중생에게는 보리심·자성청정심·여래장으로 받아들여진다. 이는 중생 속에 있는 법신이다. 이러한 붓다와 중생의 대응성이 여래장사상의 핵심을 이루고 있다. 논리적으로 표현되어 있지는 않으나, 불생불멸의 법신이 생멸의 모습으로 출현하에는 현상과 실재를 통일하는 변증법적 사고가 있다.
2) 승만경
여래장계 경전 중에서 가장 유명한 것은 {승만경}이다. 이에는 구나발타라(求那發陀羅)역(436년)의 {승만사자후일승대방편방광경(勝 師子吼一乘大方便方光經)} 1권 외에 이역으로 {대보적경(大寶積經)} 제48회(會)<승만부인회>(보제류지역, 706∼713년)가 있으며, 티벳역도 현존한다. 산스끄리뜨원전은 현존하지 않으나 몇몇 산스끄리뜨문 논서의 인용에 의해 그 단편을 구할 수 있다.
이 경의 주인공은 승만(srimala)이라는 이름의 여성이다. 그녀는 꼬살라국의 파사익(波斯匿, Prasenasit)왕과 말리(末利, Malika)부인 사이에 태어난 딸로 아요디야의 어느 왕에게 출가하였다. 경은 그 부모가 딸에게 불교에의 믿음을 권하는 편지를 보내는 데서 시작된다. 그 편지를 읽은 총명한 여인은 붓다를 찬탄하는 시구를 부르자 그 자리에 붓다의 모습이 출현하여 그녀가 붓다가 될 것임을 보증한다. 그후에는 그녀가 설법자가 되며, 불은 그 설법을 승인하는 형식으로 기술되어 있다.
승만부인은 계율을 범하지 않겠다. 만심(慢心)을 일으키지 않겠다는 등의 열 가지 서원(十受)을 세우고, 나아가 삼대원(三大願)을 일으킨다. 그런데 그 요체는 정법을 유지한다(攝受正法)는 것이다. 정법은 대승의 일승으로, 성문·연각·세간·출세간의 일체의 선법은 이로 부터 출현한다. 그러므로 성문·연각의 이승의 열반을 궁극적인 것으로 생각해서는 안된다. 이승과 고위의 보살은 범부의 육체적 생사(分段生死)를 초월하지만, 경험으로는 알 수 없는 미묘한 생사(不思議變易生死)에 속박되어 있다. 마음의 가장 깊은 곳에 모든 번뇌의 근본인
무명주지(無明住地)라는 번뇌가 잠재하고 있어 이를 원인으로 생사가 일어나기 때문이다. 이는 선천적인 것으로 그 존재가 의식되지 않는다. 이를 멸할 수 있는 것은 불의 법신 뿐이다. 그러므로 무명주지를 끊고 법신을 얻는 것이 궁극적인 깨달음이며, 이것이 대승의 입장이다.
{승만경}은 상주불변의 법신이 진리라고 생각한다. 세계의 존재는 시간에 규정되는 유위법과 시간을 초월한 무위법으로 나뉘지만, 진리는 무위법이다. 고(苦)·집(集)·멸(滅)·도(道)의 사제(네 가지 진리)가 운위되지만, 고·집·도의 셋은 유위법이기 때문에 본래의 의미에서의 진리는 유위법을 떠난 상주의 멸제뿐이다. 번뇌를 멸하는 것이 멸제는 아니다. 현상적인 멸을 초월한 상주불멸의 법신이 멸제이다. 생기와 상대되는 것으로 현상세계를 표현하는 '멸'의 의미가 부정을 매게로 하여 이와 차원을 달리하는 실재계의 '불멸(상주)'의 의미로 발전하는 사고법은 지극히 변증법적이다.
또한 종전의 불교에서는 현실세계를 무상(無常)·고(苦)·무아(無我)·부정(不淨)이라 하여 부정적으로 파악하는 것이 진리이며, 이와 반대로 상(常)·락(樂)·아(我)·정(淨)으로 보는 것은 미혹이었다. <승만경>은 이와 같은 진리의 부정적 관점을 이어받으면서도 법신은 상·락·아·정의 4바라밀(波羅密)을 갖는다고 한다. 이러한 사고법도 변증법적이다. 그러나 무아를 설하는 불교가 '아'를 인정하기에 이른 것은 그 의미·내용이 이교의 '아'와 전혀 다르다고는 하지만 불교사상의 역사에 있어 특기할 만한 사실이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
이 법신이 번뇌에 감싸여 있는 경우를 여래장이라고 한다. 그러나 여래장 그 자체는 본래 청정한 자성청정심으로, 단지 외적인 번뇌에 염오되어 있음에 지나지 않는다. 여래장은 일체법의 소의처이다. 유위의 제법도 무위의 제법도, 또는 미혹의 윤회도 깨달음의 해탈도 모두 여래장을 기반으로 하여 성립된다. 여래장의 기초적 사상은 {승만경}에 거의 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3) 구경일승보성론
여래장사상을 교의적으로 집대성한 문헌은 {구경일승보성론}(미륵 또는 견혜의 저작)이다. 저자의 문제에 대해서는 제5장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 책은 여래장을 전체의 주제로 하여 종합적 체계를 수립한 논서로서는 유일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그 내용은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여래장계 경전의 설명을 정리한 것이다. 따라서 그 학설도 이를 답습하고 있어 특별한 발전은 발견되지 않는다. 그러나 '염오된 진여(有탑眞如)', '염오됨이 없는 진여(無탑眞如)'의 구별 등 여래장사상 전반을 전망하는 관점이 제시되어 있다. 염오된 진여란 깨달음을 얻기 이전의 중생의 본질로서 여래장을 지칭하며, 염오됨이 없는 진여란 개달음을 얻은 후에 나타나는 불, 후자는 중생을 가리키는 것이다.
3. 열반경
1) 불성의 이론
(1) 원전
여래장과 동일한 의미의 성불원리를 불성(佛性)이라는 개념으로 표현하며, 이를 보다 폭넓은 이론으로 전개시킨 경전은 {열반경}은 상세하게는 대반열반경{大般涅槃經}이다. {열반경}의 산스끄리뜨원전은 현존하지 않는다. 다만 몇개의 단편이 발견되었을 따름이다. 한역과 티벳역에는 각각 전체의 번역과 부분적인 번역이 있다.
(가) 전체역
1. {대반열반경} 담무참(曇無讖) 역(421년)
. 40권본 = 통칭 '북본(北本)'
. 36권본 = 통칭 '남본(南本)'
2. 티벳역(東北대학목록 No.119, 영인北京판목록 No.787. 한역으로부터의 중역)
(나) 부분역
1. {대반니원경(大般泥洹經)} 6권, 법현(法顯)·각현(覺賢) 공역(418년)
2. 티벳역(동북대학목록 No.120, 영인북경판목록 No.788)
한역의 전체역본은 처음 북중국에서 번역되었을 때에는 40권(북본)이었으나, 후에 남중국에서는 부분역인 {대반니원경}과 대조하여 읽기 편리하게 장을 개편하여 36권(남본)으로 만들었다. 티벳역은 한 역으로부터의 중역이기 때문에, 전체역은 실질적으로 한 종류이다. 부분역 {대반니원경} 6권은 전체역 40권본으로 말하면 처음의 10권에 해당된다. 이에 대응하는 티벳역은 산스끄리뜨본으로부터의 번역이다. 따라서 이 부분은 3종의 텍스트가 있다. 상세한 {열반경}의 성립문제에 대해서는 생략하지만, 부분역본의 형태가 먼저 성립되고, 이것이 전체역본의 형태로 증광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그 성립연대는 300∼400년경일 것으로 추정된다.
(2) 법신(法身)의 상주(常住)
이와 같은 이름의 <대반열반경>이 원시경전 중에도 있어, 대승의 {열반경}이 이에 힌트를 얻어 작성되었음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 반열반(般涅槃, parinirvana) 또는 열반(nirva na)은 깨달음의 경지를 의미하는 말이지만, 여기에서는 붓다의 입멸(入滅)도 포함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는 육체의 소멸에 의해 완전한 열반(無餘依涅槃)이 실현된다는 생각에 따른 것이다. 원시경전의 {열반경}은 주로 석가불의 임종 전후의 사적을 기술한 것이지만, 대승의 {열반경}은 석가불의 임종을 소재로 하면서도 여기에 철학적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즉, 80세에 죽음을 맞이한 인간 석가를 붓다로 생각하지 않는다. 붓다의 본질은 상주불멸의 '법신'이다. 이 법신은 중생에게 있어??도 그의 본질이며, 중생의 성불을 가능케 하는 '불성'으로 작용한다.
이와 같이 법신의 상주성과 불성의 변재성을 설하는 것이 {열반경}의 중심 테마이다. 특히 후자에 대해서는 "일체의 중생 모두에 불성이 있다(一切衆生悉有佛性)"라는 유명한 가르침이 제시되어 있다. <열반경>의 논의는 극히 복잡하다. 그러나 테마는 법신과 불성의 문제를 중심으로 일관되게 전개되고 있다. 논의의 대부분은 이 경이 당시의 불교 안의 여러 가지 교설을 앞의 주제로 집중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아비달마의 교의와 계율의 제문제가 풍부하게 논의되고 있는 점, {반야경}, {법화경}, {수능엄삼매경} 등의 대승경전이 인용되고 있는 점은 이 경이 '논'에 준하는 성격을 갖고 있음을 보여 준다. 번잡한 서술에도 불구하고 사상적 입장은 일정한 바, 그 기본적인 사상은 원시적인 부분(40권본의 처음 10권)에 대부분 나타나 있다. 앞으로는 주로 이 부분에 의거하여 그 사상을 살펴보도록 한다.
그 곳은 꾸쉬나가라의 사라쌍수(紗羅雙樹) 사이로서, 임종 직전의 석가불은 운집한 제자·신자 앞에서 최후의 설법을 시작하면서 의문이 있는 사람은 질문을 하라고 한다. 사람들이 슬피 우는 가운데 직공인 순타(純陀, Cunda)가 나서 공물을 바치자, 석가불은 불신에는 아직 번뇌가 있는 무상신(無常身)과 염오됨이 없는 상주의 법신(法身)이 있는데, 후자가 본질이며 이는 '불성'이라는 가르침을 베푼다. 이를 시작으로 제자들에게 교의적인 설법이 행해진다.
제자들이 가장 두려워했던 것은 석존이 늘 세간을 무상·고·무아·부정으로 보는 것이 진리이며, 이와 반대로 상·락·아·정으로 보는 것은 전도라고 가르쳤으므로 이 무상의 도리에 따라 그의 몸이 멸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점이었다.
이에 대해 석가불은 "상·락·아·정의 관념에는 세간에 속하는 것, 출세간에 속하는 것이 있다. 전자는 미망이지만, 후자는 진리이다. 법신·열반 등 궁극의 깨달음의 입장은 상·락·아·정을 그 성질로 한다. 특히 법신은 상주무위로서 금강과 같이 불멸한다"라는 가르침을 베푼다. 그리고 그 이하에 있어서는 상·락·아·정이 <열반경>의 중심적 관념이 되며, 그 중에서도 실재에 관계된 관념으로서 '상'과 '아'가 중심적인 문제로 논의되고 있다.
(4) 불성(佛性)
불성의 원어는 buddhadhatu로 추정된다. '성(性)'에 상당하는 dhatu는 보통은 '계(界)'로 번역된다. 이에는 다양한 의미가 있지만, 여기에서는 근거·원리의 의미일 것이다. 결국 붓다로서의 근거가 불성이다.
이 경의 원시적 부분에 있어 불성의 문제는 주로 여래성품(如來性品, 제4장)에서 논의되고 있다. 여래성은 불성과 동의어이다. 여기에서는 유위의 제법을 단절함으로써 얻어지는 해탈을 불성이라고 한다. 그리고 무아는 아집제법을 단절함으로써 얻어지는 해탈을 불성이라고 한다. 그리고 무아는 아집을 끊는 것이지만 아(我)의 관념을 부정하는 것은 아니라고 하여 '아'를 불성이라고 한다. 또한 붓다는 중도에 의해 유아·무아를 설하는 바, '아'는 여래장으로 이를 가리켜 일체중생에 불성이 있다고 하는 것이다.
불성의 존재는 범부·성문·연각의 사려가 미치지 못한다. 다만 붓다가 알 따름이다. 그러므로 외도나 세간의 사람들이 "'아'는 엄지손가락 정도의 크기이다"라고 하거나 "'아'는 겨자씨만 하다"라고 하는 바의 아와는 전혀 의미를 달리한다. 그러면 왜 무아의 가르침이 베풀어졌는가? 그것은 이와 같은 외도·범부의 망상을 부정하기 위해 무아라고 하였던 것으로, 아가 존재하지 않음을 말하는 것이 아니다. 상주불변, 진실된 것이 '아'로서 여래도 '아'로 불린다.
불성이 여래장과 동의어이기는 하지만, {열반경}은 여래장이라는 말을 그다지 사용하지 않는다. 반면 여래장계 경전은 불성이라는 말을 거의 사용하지 않고 있다.
(5) 중도(中道)
이와 같이 아(我)의 관념을 긍정하고 있지만, 본래 이는 단순한 긍정이 아니라 무아의 사상을 답습하면서 대립관념을 지양하는 중도의 논리에 입각한 것이다. {열반경}은 중도라는 말을 종종 사용하고 있다.
또한 대립개념을 부정하는 표현 또는 이중부정의 표현이 자주 보인다. 예를 들어 증광된 부분인 광명편조고귀덕왕보살품(光明遍照高貴德王菩薩品, 북본 제11장)에는 "여래의 열반은 비유(非有)·비무(非無)·비유위(非有爲)·비무위(非無爲)…비상(非常)·비불상(非不常), 비단( 斷)·비불단, 비시(始)·비종(終), 비과거·비미래·비현재, 비음(陰)·비불음, 비입(入)·비불입, 비계(界)·비불계, 비십이인연(十二因緣)·비불십이인연이다"라고 하는 말이 있다.
대립개념의 부정은 상대를 초월한 절대를 의미한다. 이중부정에 의해 한번 부정된 것이 회복되어 긍정적으로 표현되며, 고차의 입장에서 상대를 인정하는 사상이 된다. {열반경}의 곳곳에 나타나 있는 부정적 표현은 대립개념에 대해 양자를 모두 부정하는 절대부정과, 한편을 부정하고 다른 편을 긍정하는 상대적 부정이 교차해 있다. 예를 들어 아에 대해 중도로써 유아·무아를 모두 부정하면서, 동시에 유아·무아를 함께 표현한다는 사실이 주장되고 있다. 이러한 사상은 상대가 전체를 포괄함이 절대라는 사고법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상대적인 것은 전체 가운데에서 그 자체 고정된 성질을 갖지 않는다, 즉 제법은 '부정(不定)'이라는 논리가 {열반경}의 곳곳에서 발견된다.
사자후보살품(師子喉菩薩品, 제11장)에서는 불성의 중도를 다음과 같이 설명하며, 이에 덧붙여 불상(不上)·불하(不下), 불생(不生)·불사(不死), 부단(不斷)·불상(不常), 불인(不因)·불과(不果)의 4종 중도의 의미가 논의되고 있다. "불성은 제일의공(第一義空)으로서, 이는 공(空)과 불공(不空)을 보지 않는 것이다. 또한 불성은 지(智)로서, 이는 공과 불공, 상(常)과 무상, 고와 락, 아와 무아를 보는 것이다. 일체법의 공·무아만을 보고, 불공·아를 보지 못하는 것은 중도가 아니다. 중도는 불성이다." 여기에도 대립개념의 부정과 긍정이 나타나 있다. 가섭보살품(迦葉菩薩品, 제12장)에는 불성은 내외, 유무 등의 상대개념을 부정한 중도라고 한다.
(6) 일천제(一闡提)
{열반경}의 또 하나의 주제는 일천제(一闡提) 성불의 문제이다. 일천제는 잇찬띠까(icchantika)의 음사인데, 번역하기 어려움으로 말미암아 일반적으로 이와 같이 사용된다. 아마도 {열반경}에 처음으로 나타나는 말로 보이는데, 여기에서는 성불의 조건이 결여되어 있는 불성불자(不成佛者)를 말한다. 그러나 종국적으로 성불한다. 문자적 의미는 '마음 내키는 대로 요구하는 사람'이지만, 그 욕구의 대상이 무엇인가는 확실치 않다. 믿음이 없는 사람 또는 선근(善根)이 결여되어 있는 사람 등으로 정의되며, 때로는 "오역죄(五逆罪)를 범한자, 일천제, 정법을 비방하는 자"에서와 같이 병칭되는 경우도 있다. 단순히 믿음이 없는 사람이라기보다는 어느 한정된 사람들을 지칭하는데, 그것이 가리키는 대상이 경우에 따라 변하고 있다.
{열반경}은 일천제를 엄격히 비판한다. 한편으로는 파계의 비구, 정법을 비방하는 자의 횡행을 경고하며, 정법을 호지하기 위해서는 무력도 불사한다고도 한다. 그러한 사정은 잘 알려져 있지는 않지만, 무엇인가 교단의 위기의식을 불러일으킨 상황이 있었던 것으로 보이며 이것과 일천제가 무관계하지 않을 것이다.
경의 원시적 부분에서는 이 일천제도 성불할 수 있음이 암시적으로 이야기될 따름이었으나, 증광된 부분에서는 그의 성불이 명백하게 언급되고 있다. 일천제도 불성을 갖고 있기 때문이지만, '부정'의 논리에 의해 악업도 선행으로 전환될 수 있음이 그 이유의 하나이다.
{열반경}은 중요한 이론을 기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후 인도불교에서는 거의 무시되었다. 그 이유는 확실치 않다. 아마도 이는 이 경이 인도의 변경에서 성립되었기 때문이 아닌가 한다. 또는 아의 실재를 인정하는 것과 같은 변증법적 사고법이 후의 교의학자들에게 호감을 사지 못했을 것으로도 생각된다.
출처: 천수법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