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식민 냉전 국가의 형성과 검열
2011년 2월 18,9(금, 토) 오전10~오후 5: 30∙성균관대 600주년기념관 6층 제2,3회의실
주최 : 성균관대 동아시아학술원· HK사업단
첫째날 2월 18일(금)
제1회의 사회 : 황호덕 (성균관대)
10:00~10:40 정근식(서울대) ∙최경희(시카고대) 해방 후 검열 체제의 연구를 위한 몇 가지 질문들
10:40~11:20 이봉범(동국대), 박정희체제의 헤게모니적 지배와 검열-1960년대 권력, 자본, 문학예술의 내적 역학
11:20~12:00 권명아(동아대), 소년범, 작가, 음란범: J의 탄생과 종말
제2회의 사회 :이봉범 (성균관대)
1:30~2:10 고지훈(국사편찬위원회), 해방후 미군정의 민간정보활동 - 냉전체제와 경찰국가의 부활
2:10~2:50 김득중(국사편찬위원회), 대한민국 국가이념의 형성과 국군의 역할
2:50~3:30 김학재(서울대), 정부수립 전후 공보처의 성격과 활동
4:00~5:30 종합토론
사회: 박헌호(고려대)
토론자 : 김예림(성공회대) 허은(고려대), 후지이 다케시(역사문제연구소)
둘째날 2월 19일(토)
제3회의 사회 : 김건우(서울과학기술대)
10:00~10:40 임경순(성공회대), 물적 자원의 재분배로서의 검열과 문학의 위치
10:40~11:20 조준형(한국영상자료원), 해방 이후 1960년대 초까지 영화검열 체제의 작동방식과 논리
11:20~12:00 이영미(한예종), 내가 체험한 1980, 90년대 음반 검열과 음반법
12:00~1:20 점심식사
제4회의 사회 : 임경순(성공회대)
1:30~2:10 강성현(서울대), 사상 검열과 전향의 역사―保護觀察과 保導의 권력기술
2:10~2:50 김건우(서울과학기술대), 1960년대 담론 환경의 변화와 지식인 통제의 조건에 대하여
2:50~3:30 천정환(성균관대),사상전향과 1960~70년대 한국 지성사 연구를 위하여
4:00~5:30 종합토론
사회 : 이혜령(성균관대)
토론자 : 권보드래(고려대), 이선미(동국대), 황병주(한양대)
성균관대 동아시아학술원∙HK 사업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