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촌 지석영 池錫永 (1855~1935)선생 본관은 충주(忠州). 자는 공윤(公胤), 호는 송촌(松村). 고려의 명장 충의군 지용기의 후손이며 1855년 5월 1일한성부중서훈동 (漢城府中署勳洞: 지금의 서울특별시 종로구 관훈동)에서 지익룡(池翼龍)의 넷째 아들로 태어나 1935년 81세로 세상을 떠날 때까지 의학자·행정가·어학자로서 많은 업적을 남겼으며, 특히 우두법(牛痘法)의 보급에 결정적으로 공헌한 선각자로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우두법은 천연두를 예방하는 일종의 예방 접종법입니다. 예전에는 두창, 마마, 손님이라고도 불리던 천연두는 유사이래 수많은 사람의 생명을 앗아갔을 뿐아니라 다행히 생명을 구하더라도 곰보가 되는 경우가 많은 무서운 질병이었습니다. '콩알(豆)같은 헌 데(瘡)'를 만든다해서 '두창(痘瘡)'이라 했는데 고려시대에 만들어진 [향약구급방] 하권 소아잡방 중에도 두창이라는 말이 등장합니다. 1876년 수신사 일행의 수행원으로 일본에 다녀온 스승 박영선(朴永善)으로부터 종두귀감(種痘龜鑑)을 받아 종두법에 관심을 갖기 시작하던 중, 1879년(고종 16년) 홀로 부산에 내려가 일본인이 운영하는 제생의원에서 두 달 동안 종두법을 익힌 뒤 두묘(송아지에 접종하여 접종액을 만들어낼 원액)와 종두침을 얻어 서울로 돌아왔습니다. 돌아오던 중 충주에 있는 처가에 들러 2살된 처남에게 최초로 종두를 실시하게 되는데, 그 일화는 지금도 전해집니다.
부산에서 배워 온 우두를 시술할 요량으로 장인에게 우두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고 처남에게 시술할 것을 권하였다. 그러나 장인은 우두에 대한 지식이 전연 없어 우두를 정반대로 일본인이 조선 사람을 죽이기 위해 만든 위험한 약이라고 알고 있어 "이러한 독약을 어떻게 어린 처남에게 놓는단 말이야"고 펄펄 뛰며 단번에 거절하였다. 그리고는 지석영을 미친 사람으로 취급하면서 다시는 우두에 대한 설명을 들으려고 하지 않았다. 지석영은 하는 수 없이 장인에게 "저는 바로 돌아가겠습니다"라고 인사를 하고 출발 차비를 하였다. 이 때에 장인이 "왜 떠나려고 하는가"라고 이유를 묻자 "믿지 못할 미친 사위가 어떻게 처가에 머무를 수 있겠습니가"라고 대답했더니 장인은 사위 지석영의 성의에 감탄하여 처남을 데려와 우두를 시술하게 하였다. 귀여운 처남에게 우두를 시술한 지석영은 혹 실패할까 초조하고 불안한 3일을 보냈다. 3일이 지나 우두가 나타나기 시작했을 때의 감격을 '나의 평생을 통해 볼 때 과거를 했을 때와 귀양살이에서 풀려나왔을 때가 크나큰 기쁨이었는데 그때에 비하면 아무것도 아니였다'라고 후에 술회할 정도이다.
1798년 우두법을 처음 보고한 제너도 두 차례 이같은 실험을 했습니다. 그는 1789년 10개월된 장남 에드워드에게 돈두(豚痘; 돼지의 천연두)에 걸린 유모의 고름을 따서 인두법을 시험했고(에드워드는 불행하게도 지능장애로 고생하다가 21세에 사망했습니다), 1796년에는 제임스 픽스라는 이웃 소년에게 우두법을 실험했지요. 지석영 선생의 처남이 바로 한국의 제임스 픽스였던 셈입니다. 의학적 발명의 뒤에는 늘 이같이 위험한 실험이 있었던 것도 마음에 새겨볼 만 하지요. 1880년 5월 지석영 선생은 2차 수신사로 일본에 가는 김홍집을 따라가 직접 우두법을 익힌 뒤 우리나라에 돌아와 종두장(種痘場)을 차리고 시민들을 계몽하는 한편 본격적인 우두 접종사업을 실시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러나 1882년 임오군란이 일어나자 그는 개화운동가로 몰려 충청도 덕산으로 피난을 해야 했습니다. 그해 8월 서울로 돌아온 선생은 난중의 방화로 불타버린 종두장을 부활시키고 전주와 충청도에서 우두국을 설치하여 많은 사람들에게 종두를 실시하기에 이릅니다. 1889년 여름에는 사헌부장령이 되어 나날이 기울어져가는 시폐를 논하다가 조정의 미움을 받아 전라도 강진에 유배되기도 하였으나, 1892년 유배지에서 돌아와 다시 우두보영당을 설립하고 많은 어린이에게 종두를 실시하였습니다. 뿐만 아니라 유배지에서 지은 <신학신설>은 한글을 아는 사람이면 누구나 읽어 이해할 수 있게 쓰여진 최초의 위생학이자 예방의학서라 할 수 있습니다. 백성들의 건강을 위해 우두법을 도입하려던 선생의 노력이 이렇게 순탄치 못했던 것은 천연두에 대한 잘못된 인식(천연두는 누구나 한번은 겪어야 하는 통과의례로 생각되었고 이것을 인위적으로 바꾸려는 우두법은 백성을 해치려는 다른 목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해석되었습니다)과 당시 개화파와 수구파가 대립하고 있던 정국의 혼란 때문이었습니다.
일찍이 28세에 과거시험 을과에 합격한 지석영 선생은 그 후 형조참의와 승지를 거쳐 1896년에는 동래부사가 되었습니다. 그는 동래에서도 천연두가 유행할 때마다 우두법을 보급하는 데 힘썼습니다. 광무 3년인 1899년에는 그의 청원에 의해 최초의 관립 '의학교'가 설립되었고 그는 이 학교의 교장으로 임명되었습니다. 그러나 1907년 의학교가 폐지되고 대한의원 의육부로 개편되면서 학감에 취임하였다가 1910년에 사직하였습니다. 현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의 모태라고 할 수 있는 의학교는 한의학에 조애가 깊은 선생들이 많아 역사적 변혁기에 옛 것과 새로운 것을 조화시키려고 노력한 지석영 선생의 철학에 어울리는 우리 나라 최초의 공식적인 서양의학 교육기관이었습니다.
그의 업적은 서양의학의 도입에 그치지 않았습니다. 1882년에 올린 상소에서는 급속한 개화의 필요성을 역설하고, 이를 위하여 일종의 훈련원을 세우자고 주장하였습니다. 그는 훈련원에 당시의 세계 정세를 알 수 있는 책과 외국의 과학 기술에 관한 책들을 비치하고 여러 가지 문물을 수집하여 전국에서 뽑아온 젊은이들에게 가르치는 야심 찬 계획을 세웠던 것입니다. 이처럼 일찍이 개화에 눈을 뜬 그는 1890년대 후반에는 독립협회의 주요 회원으로도 활약하였습니다. 독립협회가 주최하는 갖가지 토론회에 참가하여 의견을 발표하면서 시야를 넓혀갔습니다. 다른 회원들이 대부분 서양 문물이라면 무조건 받아들이자는 태도로 쏠려있던 때 그는 조금 다른 생각을 가졌던 듯합니다. 예컨대, 그는 음력을 주로 쓰되 그 옆에 양력을 아울러 표시하자는 의견을 제시하였숩니다. 우리 민족에게 태음력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알고 있었던 것입니다. 또 종래 우리나라가 벼 재배에만 치중하고 보리나 밀 등 맥작을 경시해 온 것은 기후나 토질이 적합치 않아서가 아니라 보리나 밀에 비해 벼를 더 중요시하게 여긴 전통적인 관념에서 연유된 것이라 지적하면서, 밀 재배의 경제성을 설명하고 밀을 먹을 것을 주장하는 중맥설(重麥說)이라는 농서를 저술하기도 하였습니다.
또한 개화가 늦어지는 이유가 어려운 한문을 쓰기 때문이라 보고 1905년에는 널리 교육을 펴기 위해 알기 쉬운 한글을 쓸 것을 주장하였습니다. 더욱이 그는 주시경 선생과 더불어 한글 가로쓰기를 주장한 선구자이기도 하였습니다. 1908년 국문연구소 위원으로 임명받고, 이듬해 한글로 한자를 해석한 자전석요(字典釋要)를 지었습니다. 한편 정약용의 저술인 아학편(兒學編)을 한자와 영어로 주석하여 각 한자에 음과 훈을 제시함으로써, 어린이 교육에도 상당한 업적을 남겼습니다. 이러한 그의 주장과 업적은 이후 국가의 정책에도 많이 수용되었고, 고종은 그의 공을 인정하여 태극장·팔괘장 등을 내렸습니다.
이처럼 송촌 지석영 선생은 우리나라 개화기에 나라와 국민의 근대화를 위하여 헌신한 학자였을 뿐 아니라 종두법을 보급하는 등 각종 전염병 퇴치에 앞장선 예방의학자였으며 의학교육자였습니다. 참으로 우리 개명기의 진정한 사상가요, 과학자요, 교육자라 할 것입니다. 1910년 8월에 굴욕적인 한일합방이 되자 일본측의 간곡한 간청을 뿌리치고 대한의원에서 물러났습니다. 1914년에는 의생(韓醫師) 등록을 하고 소아과(幼幼堂) 진료를 하였으며 1915년부터는 전선의사회(全鮮醫師會) 회장을 역임하는 등 일제 강압기에 있었던 우리 민족의 건강을 위해 끊임없이 노력을 기울이다가 1935년 2월 81세로 별세하였습니다. 일본인들도 우리 나라에 최초로 우두를 도입한 선생의 업적을 받들어 1928년 조선종두 50주년 기념식에서 지석영 선생에게 특별히 표창을 한 일이 있습니다. 그는 10년간 의학교육사업에 종사하는 한편, 한글 보급에 힘써 <신정국문(新訂國文)>(1905) 6개조를 상소, 1908년 국문연구소 위원이 되었다. 1909년 《자전석요(字典釋要)》를 간행하는 등 국문연구에도 공적을 남겼다.
우리나라 개화기 의학교육의 선구자인 지석영 선생의 뜻을 기리고 정신을 되새기고자 서울대학교의과대학과 서울대학교병원은 연건 캠퍼스의 중앙에 위치한 시계탑 건물(구 대한의원 본관) 옆에 지석영 선생의 동상을 세우고, 대학로에서 병원으로 들어가는 길을 '지석영길'로 명명하였습니다
지석영의 처남에게 종두 최초로 실시함 한편 지석영 선생은 1876년 수신사 일행의 수행원으로 일본에 다녀온 스승 박영선(朴永善)으로부터 종두귀감(種痘龜鑑)을 받아 종두법에 관심을 갖기 시작하던 중, 1879년(고종 16년) 홀로 부산에 내려가 일본인이 운영하는 제생의원에서 두 달 동안 종두법을 익힌 뒤 두묘(송아지에 접종하여 접종액을 만들어낼 원액)와 종두침을 얻어 서울로 돌아왔습니다. 돌아오던 중 충주에 있는 처가에 들러 2살된 처남에게 최초로 종두를 실시하게 되는데, 그 일화는 지금도 전해집니다.
부산에서 배워 온 우두를 시술할 요량으로 장인에게 우두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고 처남에게 시술할 것을 권하였다. 그러나 장인은 우두에 대한 지식이 전연 없어 우두를 정반대로 일본인이 조선 사람을 죽이기 위해 만든 위험한 약이라고 알고 있어 "이러한 독약을 어떻게 어린 처남에게 놓는단 말이야"고 펄펄 뛰며 단번에 거절하였다. 그리고는 지석영을 미친 사람으로 취급하면서 다시는 우두에 대한 설명을 들으려고 하지 않았다. 지석영은 하는 수 없이 장인에게 "저는 바로 돌아가겠습니다"라고 인사를 하고 출발 차비를 하였다. 이 때에 장인이 "왜 떠나려고 하는가"라고 이유를 묻자 "믿지 못할 미친 사위가 어떻게 처가에 머무를 수 있겠습니가"라고 대답했더니 장인은 사위 지석영의 성의에 감탄하여 처남을 데려와 우두를 시술하게 하였다. 귀여운 처남에게 우두를 시술한 지석영은 혹 실패할까 초조하고 불안한 3일을 보냈다. 3일이 지나 우두가 나타나기 시작했을 때의 감격을 '나의 평생을 통해 볼 때 과거를 했을 때와 귀양살이에서 풀려나왔을 때가 크나큰 기쁨이었는데 그때에 비하면 아무것도 아니였다'라고 후에 술회할 정도이다.
훈련원 설립 주장
그의 업적은 서양의학의 도입에 그치지 않았습니다. 1882년에 올린 상소에서는 급속한 개화의 필요성을 역설하고, 이를 위하여 일종의 훈련원을 세우자고 주장하였습니다. 그는 훈련원에 당시의 세계 정세를 알 수 있는 책과 외국의 과학 기술에 관한 책들을 비치하고 여러 가지 문물을 수집하여 전국에서 뽑아온 젊은이들에게 가르치는 야심찬 계획을 세웠던 것입니다.
지석영은 우리민족 의학사상 가장 탁월한 의학지식과 이론을 가졌던 사람으로 그때까지 발전, 지탱되어왔던 민족의학을 과학이론적인 면과 실용적인 면에서 새로이 높은 수준으로 끌어올림으로써 의학발전에 크게 기여했으며 무엇보다도 의료사상적 측면에서 민족의학·민중의학의 지향을 분명히 함으로써 근대민족의학의 지향점을 건설했다. 지석영은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세계의 의학발전에도 크게 기여한 인물로 평가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