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달:
[칼럼]
안동-예천 행정통합, 왜 무리한가?
[[거대 행정구역의 함정…
주민 삶의 질 저하는 불보듯 뻔하다"]]
김상연 기자 |
기사입력:
(2025/04/02 )[21:27]
© 김상연 기자
근래 안동시와 예천군의 행정통합 논의가 뜨겁다. 권기창 안동시장의 공약으로 촉발된 이 논의는 예천군민들의 강력한 반발에 부딪히며 지역 갈등으로 번지고 있다. 예천군민들은 단순한 감정적 반대가 아니라 합리적 근거를 들어 반박하고 있으며, 이들의 주장을 살펴보면 행정통합이 얼마나 무리한 시도인지 명확해진다.
면적 2,183㎢, 서울의 3.6배… 행정 효율성은 오히려 저하
안동과 예천이 통합되면 총 면적은 2,183㎢로 서울시(605㎢)의 3.6배에 달한다. 이는 제주도(1,845㎢)보다도 넓으며, 총 36개 읍면동과 882명의 이통장이 존재하는 광대한 행정구역이 된다. 지나치게 넓어진 행정구역은 지방정부의 대응 능력을 약화시키며, 주민 민원 처리와 지역 개발 사업이 지연될 가능성이 크다.
현재 안동시는 기존 행정구역조차 제대로 관리하지 못하고 있다. 읍면 지역의 소외, 3대문화권 사업 실패, 과도한 예산 투입으로 인한 비효율적인 행정 운영, 인구 유입 및 청년 유치 실패 등 문제가 산적해 있다. 이런 상황에서 예천군까지 포함한 대규모 행정구역을 운영하는 것은 더욱 어려운 일이다.
마산·창원·진해 통합 사례에서도 보듯이, 거대 행정구역은 비효율을 초래하고 외곽 지역 소외 현상을 심화시킨다. 통합 이후 예산이 줄어들면서 도심 지역만 혜택을 보고, 도청신도시와 예천군은 후속 지원에서 밀려날 가능성이 크다.
예천의 정체성 무시한 흡수통합, 갈등만 증폭시킨다
예천군은 1,300년 역사를 지닌 지역으로, 인구 증가와 함께 독자적인 발전 모델을 구축해왔다. 그런데도 안동시는 예천의 정체성을 무시하고 흡수 통합을 강행하려 한다. 특히, 행정통합 방식이 안동의 정체성을 예천에 주입하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예천군과 군의회의 의견을 배제한 채 일방적으로 추진하려는 움직임이 문제다.
안동 원도심을 살리기 위해 행정통합을 추진한다면, 예천은 단순한 희생양이 되어야 하는가? 안동-예천 통합이 진정으로 경북 북부의 중심도시를 만들겠다면, 예천군이 동의할 수 있는 합리적인 비전이 제시되어야 한다.
진정한 통합이라면 양측의 균형 있는 협상이 필수적이다. 통합 시 명칭을 새롭게 정하거나(예: "예천시"), 청사 위치를 중립적인 도청신도시로 정하는 등 안동시의 양보가 필요하다. 그러나 현재 안동시의 접근 방식은 일방적인 흡수 통합에 가깝고, 예천군민들은 이에 대해 "역사와 정체성을 무시한 강압적 통합"이라며 반발하고 있다.
경제통합 먼저… 갈등 조장보다 협력 모델을 찾아야
행정통합을 강행하기 전에, 두 지역이 공동으로 추진할 경제사업을 먼저 발전시키는 것이 현명하다. 인프라 확충, 관광 연계, 산업 협력 등 실질적인 이익을 창출하는 방향으로 접근해야 갈등을 줄일 수 있다. 행정통합만이 능사는 아니다. 도청신도시를 중심으로 협력하는 경제통합 방식도 충분히 발전적 모델이 될 수 있다.
경북도청이 이전한 지 10년이 지났지만, 안동시는 도청 소재지로서 예천과의 공동 발전 비전을 제시한 적이 없다. 전시 행정에 집중하며 실질적인 협력을 소홀히 했던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예천군을 압박하며 통합을 강행하려는 태도는 오히려 대립만 부추길 뿐이다.
무모한 통합은 분열의 시작이다
지방소멸 위기 속에서 행정구역 통합 논의는 필요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반드시 주민들의 동의와 합의를 바탕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안동과 예천의 경우, 면적 과대, 행정 효율성 저하, 역사적 정체성 문제 등 해결해야 할 과제가 너무 많다.
권기창 안동시장은 안동시민까지 설득할 만한 타당한 근거를 제시할 수 있을까? 통합 반대 여론이 거세지는 상황에서, 일방적인 추진보다는 두 지역이 공존할 수 있는 현실적인 협력 모델을 모색하는 것이 우선이다.
안동시가 예천군을 무시하고 일방적으로 흡수하려는 태도를 계속 보인다면, 결국 대승적 차원에서 안동시민들도 다음 선거에서 새로운 선택을 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통합을 빙자한 강압적인 정책보다, 두 지자체가 함께 발전할 수 있고, 명실상부한 경북의 중심도시로 발전하기 위한 건설적인 대안을 마련하는 것이 시급하다.
https://www.dkitnews.com/sub_read.html?uid=388646
<저작권자 ⓒ 다경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고향을 사랑하시는 리더님 칼럼 잘읽어 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제가 말씀 드리는 농업경제특구
안동광역시 만들어 주세요.
KTX교통 편리하여
경기 수도.부산등지 전국의 전원도시 역활도 가능하여
[[농업경제특구 안동광역시"]]가
전국토의 중심도시로 발전될 것입니다.⤵️
수신:
대한민국 농업경졔특구 안동광역시 만들어 주세요.
내용:
⚠️안동문화방송 사생결담
⚠️대구.경북 통합 불가"
."유튜브 방송 참고 하세요.'
#️⃣대구·경북 행정통합 찬반 논란/사생결담 93회,
*️⃣방송 토론: 안동MBC
https://youtube.com/live/2GlLhFLlb-Q?si=W3BwFDgjPaWFR_4c
위 주소 서♡치 하세요⬆️
❇먹거리의 보고 밭농사 입니다.
❗50만100만 에이커 생산되는 논 농사 경쟁력 따라 갈수 없습니다.
🆘️동물사료는 논에서 생산 되지만
✅고부가 사람 약재는 밭에서 생산됩니다.
🏠염치'있는 지도자의 산실'
#️⃣웅도 경북' 농업 경제특구
안동광역시 만들어 주세요.
2)구미시 세계적인 전자공단
1등 도시로 부흥 발전토록
독립시켜 주세요.
3)포항시를 철강생산 전문도시
로 독립시켜 주세요.
4)울진군은 원자력 전문
독립된 특화 도시로 독립시켜 주세요.
*️⃣경주 김천시는 불교문화의 특구로
5)김천시는 직지사 문화도시로
6)경주시는 불국사 세계적인 문화도시로 독립된 특구로 부흥 발전케 응원해드리고
✴의성군에서~풍기군까지
✴문경에서~영양군 까지
안동 농업경제특구 광역시 만들어 주세요.
[B tv 대구뉴스]
❌대구경북 행정통합, 지방의회 반대 역풍'
https://youtu.be/vOgqAeVrpZ4
✴ ✴ ✴ ✴
첫댓글
전달:
🌐지구촌에서 유일하게
🦊야생 유해동물 길'고양이의
지상천국 이라' 일컫는
대한민국에 서식하는 개체수는
#️⃣258만마리 이상입니다.
🔥산불보다 더 무서운 지구촌의 대 재앙은 길'고양이 재앙으로
🦊고양이 때문에 고대 이집트도 전쟁에서 패전~
❗멸망하였습니다
🆘️야생 유해동물의 악성 감염병 기생충을 이용한
⚠️생물 화학전 침투를 대비한
⚠️민방위 훈련은 有備無患입니다.
https://m.cafe.daum.net/LAORENTCAR/Ggt6/8333?svc=cafeapp
위 주소 서♡치
하세요⬆️
🆘️ 🆘️ 🆘️ 🆘️
전달:
🆘️적장 정은이도 놀라게한 악성' 감염병 전파 건국이래 대동란!!
🐶개"와
🦊길'고양이 반려동물
✅기생충 감염병 검사하세요.
#️⃣의료보험 수가를 적용시켜 주세요
https://m.cafe.daum.net/LAORENTCAR/Ggt6/8321?svc=cafeapp
위 주소 서♡치
하세요⬆️
✴ ✴ ✴ ✴
전달:
🆘️본인도
타인도 원하지 않는 것을
생각할 필요가 없다.
인간말종' 인간말짜'없는 지상천국에서 행복하세요'
"세상에서 손가락질 받는사람'
얼굴 찡그리게 하는사람'
만나는 사람마다 망쳐먹는
전문가도 없는 지상천국에서~
惡의 軸에서 자유케 하옵소서'
✴아침의 음악편지 (2025.04.04.금)
https://m.cafe.daum.net/LAORENTCAR/Ggt6/8353?svc=cafeapp
위 주소 서♡치 하세요⬆️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