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8개 투자은행 전망치 한 달새 평균 2.5→2.3%
JP모건 2.7→2.2% 0.5%p 가장 큰 폭으로 내려
내년 전망치도 2.0%로 잠재성장률 턱걸이 예상
윤 대통령 아예 "올해 성장률 2% 상회할 전망"
주요 투자은행들이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대폭 하향 조정했다. 사진은 주요 기업과 금융기관들이 모여 있는 서울 도심에 먹구름이 드리워 있는 모습. 연합뉴스
주요 투자은행(IB)들이 한 달 만에 우리나라 실질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평균 0.2%p, 최고 0.5%p나 크게 내렸다.
8일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8개 주요 투자은행이 제시한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 평균치는 지난 9월 말 2.5%에서 10월 말 평균 2.3%로 낮아졌다. 한 달 만에 성장률 전망치가 0.2%p 하락했다.
주요 투자은행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
투자은행별로 보면 JP모건이 2.7%에서 2.2%로 0.5%p나 가장 많이 낮췄다. 바클리 2.6%에서 2.3%로, 노무라 2.5%에서 2.2%로 0.3%p 내렸고, 이어 골드만삭스 2.3%에서 2.1%로 0.2%p, HSBC 2.4%에서 2.3%로 0.1%p를 각각 하향 조정했다. 뱅크오브아메리카-메릴린치는 2.5%, 씨티와 UBS는 2.3%를 각각 유지했다. 이들 8개 IB의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지난 6월 말 평균 2.7%에서 7월 말 2.5%로 0.2%p 떨어진 뒤 이번에 다시 0.2%p 추가 하락했다.
내년 성장률 전망치도 9월 말 평균 2.1%에서 10월 말 평균 2.0%로 0.1%p 낮아졌다. 잠재성장률 수준(2%)에 간신히 부합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앞서 한국은행은 지난 8월 발표한 수정 경제전망을 통해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2.5%에서 2.4%로 하향 조정했다.
지난 2분기 성장률(전분기 대비 속보치)이 -0.2%를 기록한 데 이어 3분기 성장률도 0.1%에 그친 상황이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지난달 29일 국정감사에서 "올해 성장률이 2.2~2.3% 정도로 떨어지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언급했다. 윤석열 대통령은 7일 대국민 담화에서 "올해 경제성장률도 2%를 상회할 전망"이라고 말해 정부 내에서 2% 초반 성장률을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이고 있음을 내비쳤다.
투자은행별 각국 경제지표 전망. 자료 : 국제금융센터
한은은 오는 28일 수정 경제전망을 발표한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 지난 6∼7일(현지시간) 열린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를 0.25%p 낮췄다. 미국이 지난 9월 '빅컷'(기준금리 0.50%p 인하)에 이어 0.25%p 추가 인하를 단행하면서 한국은행도 금리를 낮출지 주목된다.
1%대로 안정된 물가와 0.1%에 그친 3분기 경제 성장률 충격 등이 연속 금리 인하의 명분일 수 있지만, 최근 1,400원대를 찍은 원/달러 환율 탓에 한은 금융통화위원들의 고민이 깊어질 것으로 보인다.
출처 : https://www.mindle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0279
첫댓글 경제가 꼬라박는 것을 막을 방법이 없구나..
그냥 십자포화를 맞아야만 하나?
이런 상황에 정부는 있나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