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신촌블루스의 엄인호, 사랑과 평화의 최이철, 들국화의 주찬권.
거장들의 화합과 새로운 창조. 위.투.락/수퍼세션 프로젝트.
신촌블루스와 사랑과 평화, 들국화는 한국대중음악사의 황금기를 아로새겼던 명밴드이다. 그들이 활동했던 70, 80년대 한국은 음악 하기 갑갑한 곳이었다. 예술가의 자유를 용인하지 않았던 야만의 시대였다. 그러나 돌이켜보면 행복한 시절이었다. 권력은 음악가들을 싫어했지만 대중들은 그들에게 열광했다. 폐부를 찌르는 연주와 노랫말에 감동한 대중들은 그들에게 ‘언더그라운드’라는 명예로운 이름을 붙여주었다.
지금까지 과거의 그룹들이 재결성 하는 리이슈는 종종 있어왔지만 이렇게 큰 밴드의 거물들이 모인 프로젝트는 한국대중음악사상 초유의 일이다. 사실 엄인호, 최이철, 주찬권은 스타일이 전혀 다른 뮤지션이다. 각자의 단단한 음악세계를 허물고 서로를 받아들였다는 점에서 다시 한번 수퍼세션 프로젝트의 가치가 크다.
█ ‘골목길’, ‘아쉬움’, ‘장미’, ‘어머님의 자장가’ 등 전설적인 명곡들과
새로운 전설이 될 수퍼세션의 신곡을 발표하는 무대
이번 공연엔 세 명의 수퍼세션을 있게 만든 사랑과 평화, 신촌블루스, 들국화의 명곡들을 연주한다. 사랑과 평화의 ‘한동안 뜸했었지’와 ‘장미’ 는 직장인밴드들이 카피하고 싶어하는 1순위 곡이다. 최근 MBC 일요일일요일밤에 ‘오빠밴드’의 연주로 다시 한번 유명세를 탔다. 엄인호가 작곡한 신촌블루스의 ‘아쉬움’, ‘골목길’ 은 정서용과 김현식의 열창으로 기억되는 명곡이다. 주찬권은 들국화의 곡 뿐만 아니라 다섯 장이나 발표한 자신의 솔로 앨범 중에서 고르고 고른 명곡들을 준비한다.
수퍼세션 세 명이 함께 만들고 연주한 곡들에선 진한 블루스의 향기가 뿜어져 나온다. 트렌디한 일렉트로니카가 홱홱 돌아가는 지금의 음악계에서 진중하고 호흡이 긴 블루스가 얼마나 호응을 얻을지 장담할 수 없다. 그러나 한가지 분명한 것은 거장들의 깊은 음악세계가 모두 표출되어 있다는 사실이다. 사랑과 평화도 아니고 신촌블루스도 아니고 들국화도 아닌 수퍼세션만의 개성을 공연에서 직접 확인할 수 있다.
█ 한국 뮤지션들의 명예를 걸고 최고의 사운드를 들려주는 공연
한국대중음악계는 오랫동안 비주얼에 대해 고민하느라 사운드의 아름다움을 놓쳐왔다. 공연계에서는 더욱 그러하다. 이번 수퍼세션 콘서트는 한국 뮤지션들의 자존심을 걸고 최고의 사운드를 들려주리라 벼르고 있다. 두 세트의 풀 드럼 세트, 커다란 공 심벌, 다양한 퍼커션으로 무장한 리듬 섹션은 물론이고 엄인호와 최이철의 기타 톤에 정성을 쏟는다. 펜더로즈와 올갠의 고풍스러움까지, 음악을 사랑하는 사람들의 예민한 귀를 120% 만족시킬 공연이다.
엄인호, 최이철, 주찬권의 사운드를 완성시켜줄 진정한 수퍼세션들은 한국 최고의 뮤지션들이 참여하고 있다. 키보드에 안정현, 펜더로즈와 피아노에 원영조, 주찬권과 더블 드럼을 펼쳐 보일 오종대, 장태웅과 이필원은 각각 일렉트릭 베이스와 콘트라 베이스로 사운드의 지반을 탄탄히 다질 것이다. 색소폰과 세 명의 코러스 또한 사운드의 당당한 주역으로 자리잡고 있다. 특히 수퍼세션 세 명의 2세들이 세션으로 참여해 부모들의 장인정신을 계승한다.
█ 진짜 음악(REAL MUSIC)을 원하는 대중들을 위한 공연
최근 한국 음악문화가 바뀌고 있다고 판단된다. 록 음악의 불모지라는 한국에서 지산밸리록페스티벌과 펜타포트록페스티벌이 수십만명을 동원하며 성공을 거두었다. 자라섬국제재즈페스티벌은 올 해로 7회째를 맞았다. 방송 5년을 넘어 장수하고 있는 EBS의 스페이스 공감, MBC의 음악여행 라라라, KBS의 음악창고 같은 고품격 라이브 프로그램들이 각광받고 있으며, Mnet의 슈퍼스타K는 음악적 재능이 얼마나 소중한 가치인지 다시금 일깨워주고 있다. 진짜 음악에 대한 욕구는 원래 대중들에게 있었던 것이다. 지금까지 시대가 허락 하지 않았을 뿐이다.
엄인호와 최이철, 주찬권의 슈퍼세션 콘서트는 볼거리가 아닌 감동을 추구하는 음악 대중들을 사로잡을 것이다. 음악은 재미 있는 상품이기도 하지만 감동을 주는 예술임을 느끼게 해 줄 것이다.

연습중인 슈퍼세션 멤버들과 그 세션들... 좌로부터 신촌부르스 엄인호, 사랑과평화 최이철, 들국화 주찬권
█ 한국 블루스의 거장 엄인호 [신촌블루스]
• 1978년 이광조, 이정선 등과 “풍선들”로 데뷔.
• 1986년 신촌 블루스 결성. 김현식, 한영애, 권인하, 정경화, 이은미 등 국내 최고 뮤지션들을 배출하였으며
작곡가, 프로듀서로 활동.
• 30여 년간 블루스 음악인으로 블루스 음악의 대중화에 기여.
• 대표곡으로 ‘골목길’, ‘아쉬움’, ‘시간이 한참 흐른 뒤에’ 등.
█ 훵키(funky) 기타의 명인 최이철 [사랑과 평화]
• 60년대 미8군 밴드로 음악활동 시작. 60년대 후반 “아이들”로 데뷔.
• 김대환(드럼), 조용필(베이스)과 함께 “김트리오” 활동. “영에이스”, “서울나그네”를 거쳐
1977년 키보디스트 김명곤과 함께 한국 최고의 연주 밴드라 칭송 받는 “사랑과 평화” 결성.
• 한국 최고의 스튜디오 세션맨으로 활동하며 훵키 기타의 최고봉으로 평가됨.
• 대표곡으로 ‘장미’, ‘한동안 뜸했었지’, ‘어머님의 자장가’, ‘여왕벌의 비행’ 등.
█ 파워드러머 & 멀티 아티스트 주찬권 [들국화]
• 1981년 최구희, 이환규와 함께 하드록 밴드 믿음소망사랑 데뷔앨범 발표.
• 1985년 들국화 데뷔앨범에 드럼 세션으로 참여, 1986년 정규멤버로 2집 녹음.
포크 중심의 들국화에 록 리듬을 수혈하면서 언더그라운드의 신화 창조.
• 이후 멀티 아티스트로 다섯 장의 솔로 앨범 발표.
• 대표곡으로 'ROCK이 좋아', '또다시 크리스마스' 등.
█ 영혼의 음색, 록발라드 초대 게스트
정경화

1986년 그룹 신촌부르스 객원보컬로 데뷰하여 몇 장의 옴니버스앨범(신촌부르스등)
솔로 앨범을 낸 바 있고, 다양한 셋션으로 음감을 보태는 가수에서 최고의 가수 반열에
다달은 곡 "나에게로의 초대"가 있다. 정말 자신의 모든것을 토해낸듯한 노래이다.
따라오려면 따라와 봐라 하는 식의 휘감음과 음조리는듯한 저음과 떨림까지. 그 여운은
가벼운 디지털음악의 세상에 남다른 값어치를 준다. 그외 지상에서 영혼으로등
젊은 가수들이 흉내내기 어설플만한 그녀만의 강렬한 색깔의 노래를 들려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