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의중앙선 개통으로 호남,전라,장항선 KTX 및 일반열차 이용 승객들은 엄청 편해졌습니다.
용산역에서 계단만 오르락내리락하면 되니까요.
게다가 춘천가는 ITX청춘 승객들은 용산역에서 내려서 그 자리에서 교통카드만 찍고 열차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경의선 서울역행 열차가 출퇴근 시간, 새벽/야간시간을 제외하고 대곡~서울역 구간으로 단축됐더군요.
행신 이북에서 서울역으로 가는 승객들은 서울역까지 이동하는 데 오히려 불편해졌습니다.
지금까지는 1시간에 한 대라도 서울역행 경의선 열차가 있었지만, 이제는 대곡~서울역 구간만 운행하니까요.
이러한 점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행신역의 KTX 운행 패턴을 바꿔줄 필요가 있습니다.
행신역의 전체 KTX 편성 수는 현행대로 유지합니다.
다만, 호남/전라선 KTX는 중련편성 KTX를 제외하고는 경부선 및 경전선 KTX로 변경하여 운행합니다.
이 경우, 경부선 KTX의 전체적인 배차간격이 나름 균등해지게 됩니다.
그렇게 되면 일산 및 파주에서 경부선 KTX를 타기 위해 굳이 서울역까지 환승하지 않아도 되겠죠.
경의중앙선 개통으로 호남,전라,장항,경춘선 연계가 훨씬 편해진 대신,
경부선 연계가 불리해진 만큼,
행신역의 KTX 운행패턴을 조정하여 일산, 파주 승객들이 행신역에서 경부/경전선 KTX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하면 좋을 듯 합니다.
첫댓글 굿 아이디어 입니다.
글쎄요. 환승저항이라는게 분명히 존재한다 봅니다. 동네에서 마을버스 1번 타고 KTX타는것이 동네에서 버스타고 전철로 환승한 후 KTX 타는것보다 훨씬 편한데 멀쩡히 다니던 KTX를 빼는것은 아니라 봅니다. 또 고양기지 보상차원에서 KTX 정차를 시행하는데 오히려 빼버리는것도 옳은 선택은 아니라 보고요.
행신역의 전체적인 편수를 줄이는 게 아니라, 행신역의 호남/전라 KTX를 경부선 KTX로 대체하자는 겁니다. 호남/전라 KTX보다 경부선 KTX가 수요가 훨씬 많은 게 현실이고, 호남/전라선은 용산역 가서 타는게 시간이나 비용 면에서 절약이 되니까요. 행신역세권이 아닌 다른 곳에선 어차피 경의중앙선으로 행신역까지 와야 되죠. 즉, 경부선 KTX를 지금보다 늘리고 호남/전라선 KTX를 그 만큼 감축시키는 겁니다.
님께서 말씀하시는 환승저항은 행신역세권 주민들에게만 해당되고, 일산/파주의 다른 역에서는 행신역까지 전철 타고 와야되는데 그건 환승 아닌가요? 게다가 경의중앙선이 용산역으로 가면 행신까지 가나 용산까지 가나 환승은 도찐개찐이죠.
@DMCStation 당장 행신역 역세권이라 볼수있는 행신, 능곡, 화정동의 인구는 20만명이 넘습니다. 이정도면 굉장히 많다 보는데요? 그리고 경부선이 많다고 해서 호남선 전라선 KTX 승객은 고려조차 안한다면 애초에 경부선 KTX나 서울 2호선 제외하곤 모든 철도가 올스탑해야죠. 수익만이 전부가 아니란걸 아셨으면 합니다..
@DMCStation 서울역에 공항철도 다닌다고 해서 인천공항 KTX가 들어갈 이유가 없다랑 똑같은 말이죠. 공항철도를 타고 서울역가서 KTX를 타나 인천공항에서 KTX를 타나 소요시간은 비슷한데 비용면에서 훨씬 절약되니까요.
전용은 쫌... 일부 열차는 호남, 전라선도 있는데...(행신-용산-광주/목포/순천, 여수엑스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