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감시황]
- 코스피시장 -
2/28 KOSPI 2,412.85(+0.42%) 기관 순매수(+), 반발매수세 등에 美 증시 상승(+), Fed 긴축 우려 지속(-)
지난밤 뉴욕증시가 Fed 긴축 장기화 우려 속 반발 매수세 유입 등으로 상승, 유럽 주요국 증시도 상승. 이날 코스피지수는 2,417.58(+14.94P, +0.62%)로 상승 출발. 오전중 상승폭을 확대했고, 2,431.67(+29.03P, +1.21%)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 오후 들어 상승폭을 다소 줄였고,2,425선 부근에서 움직이다 장 후반 상승폭을 대부분 반납해 2,407.29(+4.65P, +0.19%)에서 장중 저점을 기록. 장 막판 재차 소폭 상승한 끝에 결국 2,412.85(+10.21P, +0.42%)에서 거래를 마감.
기관 순매수 속 코스피지수는 사흘만에 반등. 지난밤 美 증시가 반발매수세 유입 등으로 상승하면서 투자심리가 다소 개선. 다만, 장 후반으로 갈수록 외국인이 코스피시장에서 순매도 규모를 키웠고, 장 후반 원/달러 환율이 상승 전환해 1,326선 위로 올라서기도 하는 등 상승압력을 받으면서 코스피지수는 상승폭을 축소한 채 거래를 마감.
Fed의 최종 금리가 6%에 달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경기 침체 우려가 커진 점도 증시에 부담으로 작용. 울프 리서치는보고서를 통해 Fed가 인플레이션을 지속 가능한 수준으로 되돌리기 위해 금리를 6%까지 인상해야할 것이라고 언급. 지난 밤 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FF) 금리 선물 시장에서 Fed가 3월 회의에서 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할 가능성은 75.3%, 0.50%포인트 인상 가능성은 24.7%를 기록.
지난밤 테슬라(+5.46%)가 상승한 가운데, LG에너지솔루션(+2.95%), 삼성SDI(+2.65%) 등 2차전지 관련주가 상승. 반면, 세아창원특수강, 스페이스X에 특수합금 납품 추진 소식 등에 전일 큰 폭으로 상승했던 세아베스틸지주(-5.66%), 세아특수강(-5.61%), 세아홀딩스(-4.75%) 등 세아 그룹주들은 하락.
아시아 주요국 증시는 대만이 휴장한 가운데, 일본, 중국이 상승한 반면, 홍콩은 하락.
수급별로는 기관이 4,096억 순매수, 외국인과 개인은 각각 2,886억, 1,426억 순매도. 선물시장에서는 외국인이 6,915계약 순매수, 개인과 기관은 각각 2,101계약, 4,595계약 순매도.
원/달러 환율은 전거래일 대비 0.4원 하락한 1,322.6원을 기록.
국고채 3년물 금리는 전일 대비 11.4bp 상승한 3.797%, 10년물은 전일 대비 13.4bp 상승한 3.753%를 기록.
3년 국채선물은 전일대비 37틱 내린 103.09 마감. 은행과 외국인이 각각 13,459계약, 7,676계약 순매도, 금융투자는 16,043계약 순매수. 10년 국채선물은 전일대비 116틱 내린 109.80 마감. 은행이 4,026계약 순매도, 금융투자와 보험이 각각 1,451계약, 1,388계약 순매수.
코스피 시총상위종목들은 상승이 우세. LG화학(+3.50%), LG에너지솔루션(+2.95%), 삼성SDI(+2.65%), 현대차(+1.73%), KB금융(+1.38%), 삼성생명(+1.19%), 신한지주(+1.04%), 카카오(+0.81%), 포스코케미칼(+0.45%), 삼성바이오로직스(+0.39%) 등이 상승. 반면, LG전자(-1.33%), SK이노베이션(-1.18%), 삼성물산(-1.17%), 기아(-0.92%), 현대모비스(-0.70%), SK하이닉스(-0.67%), 셀트리온(-0.55%) 등은 하락.
업종별로는 상승이 다소 우세. 증권(+1.59%), 통신(+1.27%), 금융(+0.97%), 화학(+0.87%), 종이/목재(+0.71%), 전기/전자(+0.70%), 비금속광물(+0.60%), 제조(+0.43%), 서비스(+0.39%), 보험(+0.16%) 등이 상승. 반면, 건설(-1.37%), 의료정밀(-1.11%), 철강/금속(-0.99%), 운수창고(-0.89%), 섬유/의복(-0.86%), 음식료(-0.77%), 유통(-0.47%), 기계(-0.42%) 등은 하락.
마감 지수 : KOSPI 2,412.85P(+10.21P/+0.42%)
- 코스닥시장 -
2/28 KOSDAQ 791.60(+1.45%) 외국인 순매수(+), 2차전지株 상승(+), 美 증시 상승(+)
지난밤 뉴욕증시가 Fed 긴축 장기화 우려 속 반발 매수세 유입 등으로 상승한 가운데, 이날 코스닥지수는 784.23(+3.93P, +0.50%)으로 상승 출발. 장 초반 783.66(+3.36P, +0.43%)에서 장중 저점을 기록한 후 시간이 갈수록 상승폭을 확대. 오후 들어 793.65(+13.35P, +1.71%)에서장중 고점을 형성한 후 장 후반 789선까지 상승폭을 줄이기도 했으나 결국 791.60(+11.30P, +1.45%)에서 거래를 마감.
외국인 순매수 등에 코스닥지수는 이틀 연속 상승. 지난밤 美 증시가 반발매수세 유입 등으로 상승하면서 투자심리가 다소 개선됐음. 엘앤에프(+8.94%)가 테슬라와 대규모 공급계약 체결에 급등했고, 지난밤 테슬라(+5.46%) 상승 등에 에코프로(+1.96%), 천보(+7.69%), 더블유씨피(+2.28%) 등 2차전지/전기차 테마가 상승. 정부의 핵심광물 확보 및 폐배터리 재활용 기술 세액공제 추진 소식, 폐배터리 시장 확대 기대감 지속 등에 성일하이텍(+2.93%), 영화테크(+3.74%) 등 폐배터리 관련주도 상승. 공개매수 마감일을 맞은 가운데, 에스엠(+6.07%)은 상승 마감.
수급별로는 외국인이 624억 순매수, 개인과 기관은 각각 1,247억, 523억 순매도.
코스닥 시총상위종목들은 대부분 상승. 엘앤에프(+8.94%), 천보(+7.69%), 에스엠(+6.07%), 카카오게임즈(+5.13%), JYP Ent.(+3.42%), 솔브레인(+2.18%), 에코프로(+1.96%), 리노공업(+1.50%), 동진쎄미켐(+1.28%), 셀트리온제약(+1.24%), 펄어비스(+0.90%), 알테오젠(+0.80%), 스튜디오드래곤(+0.26%) 등이 상승. 반면, 케어젠(-4.07%), 다우데이타(-3.29%), 에코프로비엠(-0.30%), HLB(-0.15%) 등은 하락.
업종별로도 대부분 상승. 종이/목재(+5.12%), IT부품(+4.05%), 오락문화(+2.89%), 컴퓨터서비스(+2.72%), IT H/W(+2.20%), 화학(+2.16%),디지털컨텐츠(+2.08%), IT S/W & SVC(+1.98%), 출판/매체복제(+1.91%), 소프트웨어(+1.82%), 인터넷(+1.81%) 등이 상승. 반면, 정보기기(-0.68%), 운송(-0.11%) 등은 하락.
마감 지수 : KOSDAQ 791.60P(+11.30P/+1.45%)
[특징 테마]
특징테마 | 이 슈 요 약 |
테마시황 | ▷만화진흥법 개정안 국회 본회의 통과 소식 등에 웹툰 테마 상승. ▷테슬라 주가 상승 및 테슬라데이 기대감 등에 2차전지/ 전기차 테마 상승.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삼성SDI 전고체 배터리 설비 점검 소식에 2차전지(전고체) 테마 상승. ▷정부, 핵심광물 확보 및 폐배터리 재활용 기술 세액공제 추진 소식 등에 폐배터리 관련주 상승. 리튬 관련주도 상승. ▷정부, 바이오헬스 육성 정책 발표 등에 제약업체, 바이오시밀러, 치매, U-Healthcare(원격진료) 등 제약/바이오 테마 상승. ▷해외여행 수요 급증에 따른 지난해 해외 카드 사용액 증가 소식 등에 여행/ 면세점/ 항공/저가 항공사(LCC) 테마 상승. ▷삼성/SKT XR 사업 협력 기대감 등에 증강현실(AR)/ 가상현실(VR)/ 메타버스(Metaverse) 테마 상승. ▷이재명 대표 체포동의안 무더기 이탈표 소식 등에 정치/인맥(이낙연) 테마 상승. 일부 정치/인맥(이재명) 테마는 하락. ▷애플페이 국내 출시 기대감 지속 속 애플페이 테마 상승. ▷에스엠이 하이브 공개매수 마감일 큰 폭으로 상승한 가운데, 엔터테인먼트, 음원/음반 등 테마 상승. ▷美 기술주 반등 속 반도체 관련주, 인터넷 대표주, IT 대표주, 게임, 모바일게임 등 기술/성장 테마 상승. ▷이 외 증시 상승 속 증권 테마가 상승했고, LED장비, 전기자전거, NI(네트워크통합), 코로나19(화이자), 코로나19(스푸트니크V), 모바일솔루션, SNS, OLED, 백신여권, 스마트카, 日 수출 규제(국산화 등), 핀테크, 인터넷은행, 모바일콘텐츠, 바이오인식, 터치패널, 클라우드 컴퓨팅 등의 테마가 상승률 상위를 기록하는 등 대부분 테마가 상승. ▷반면, 준공 지연 리스크 부각 분석 등에 건설 대표주 테마 하락. ▷경기 침체 우려 속 조선, 해운, 철강 주요종목, 정유, 건설기계 등 대표적 경기 민감 테마 하락. ▷최근 실적 호조 모멘텀 지속 및 IFRS17 도입 수혜 기대감 등에 상승했던 손해보험 테마 차익 매물 속 하락. ▷이 외 네옴시티 관련주, 셰일가스, 종합상사, 피팅(관이음쇠)/밸브, 자원개발, LPG, 윤활유, 도시가스, 조선기자재, LNG, 편의점 등의 테마가 하락률 상위를 기록. |
웹툰 | 만화진흥법 개정안 국회 본회의 통과 소식 등에 상승 |
▷전일 언론에 따르면, 문화체육관광부가 발의한 만화진흥법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음. 만화진흥법 개정안에 따르면, 만화의 정의를 '하나 이상의 구획된 공간에 실물 또는 상상의 세계를 가공해 그림 또는 문자를 통해 표현한 저작물로서 유무형의 매체(디지털매체 포함)에 그려진 것'으로 바꿔 웹툰을 만화에 포함한 것으로 알려짐. 이에 따라 명확한 기준이 없이 혼용됐던 ‘만화’와 ‘웹툰’이 법적으로 구분되면서, 웹툰의 지원·진흥 사업을 더 체계적이고 집중적으로할 수 있게 됐음. ▷이 같은 소식에 핑거스토리, 미스터블루, 엔비티, 디앤씨미디어 등 웹툰 테마가 상승. | |
2차전지/ 전기차 | 테슬라 주가 상승 및 테슬라데이 기대감 등에 상승 |
▷언론에 따르면, 테슬라가 독일 베를린 근처 브란덴부르크에 있는 공장에서 예정보다 3주 앞당겨 일주일에 4,000대의 자동차를 생산한다는 소식이 전해짐. 이에 테슬라는 지난밤 5.46% 상승했음. 아울러 리비안(+6.52%), 루시드(+2.94%) 등 여타 전기차 업체들도 동반 상승. ▷오는 3월1일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2016년 이후 7년 만에 투자자의 날 행사를 열고 장기 사업 계획과 비전을 발표할 예정인 가운데, 시장에서는 테슬라 공장 증설과 투자 계획을 공개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음. 특히, '모델2'로 알려진 2만5천달러짜리 전기차에 대한 계획을 구체화 할지에 대해 주목하는 모습. ▷한편, 엘앤에프는 Tesla, Inc. & its Affiliates와 3.83조원(최근 매출액대비 395%) 규모 공급계약(하이니켈 양극재) 체결(계약기간:2024-01-01~2025-12-31) 공시. ▷이 같은 소식에 엘앤에프,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코스모화학, 파워로직스, 인지컨트롤스, 코스모신소재 등 2차전지/전기차 테마가 상승. | |
2차전지(전고체) |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삼성SDI 전고체 배터리 설비 점검 소식에 상승 |
▷전일 언론에 따르면,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삼성SDI 경기 수원사업장을 방문해 전고체 배터리 시험생산용 설비를 둘러본 것으로 전해짐. 업계에서는 이 회장이 이날 사업 현장을 직접 챙긴 것에 의미를 두고 있으며, 이에 삼성SDI의 '배터리 초격차' 전략에 속도가 붙을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음. ▷한편, '꿈의 배터리'로 불리는 전고체는 리튬이온 배터리보다 에너지 밀도가 높지만 화재 위험은 낮고, 충전 속도가 빨라 전기차 생태계를 바꿀 '게임 체인저'로 인식되고 있음. 삼성SDI는 전고체 배터리를 제조할 수 있는 파일럿 라인을 상반기 중 완공할 예정. ▷이에 금일 미래컴퍼니, 한농화성, 이수화학, 동화기업 등 2차전지(전고체) 테마가 상승. 특히, 미래컴퍼니는 삼성전자의 헬스케어 로봇시장 진출을 위한 M&A 기대감 속 차세대 복강경 수술로봇 개발 사실이 부각되며 상한가를 기록. | |
폐배터리 관련주 | 정부, 핵심광물 확보 및 폐배터리 재활용 기술 세액공제 추진 소식 등에 상승 |
▷산업통상자원부는 전일 국내 기업의 반도체·배터리 핵심 광물 확보를 지원하는 내용의 '핵심광물 확보 전략'을 발표. 이와 관련, 33종의 핵심광물을 선정하고 현재 80% 이상인 리튬, 코발트, 흑연 등의 중국 의존도를 2030년까지 50%대로 낮추기로 했으며, 같은 기간 전기차 폐배터리 등 폐기물의 핵심광물을 회수해 재사용하는 재자원화율을 2%에서 20%로 끌어올리기로 했음. ▷또한, 민간 기업의 해외 자원개발을 독려하기 위해 2013년 일몰된 해외자원 개발 투자세액공제를 재도입할 예정. 기존에는 자원개발 투자 출자 금액의 3%를 소득세와 법인세에서 감면해주지만 오는 7월 조세특례제한법이 개정되면 해당 비율이 더 늘어날 수 있으며, 개발에 실패할 경우에도 손실금 인정 범위를 확대하기로 했음. ▷이에 금일 코스모화학, 파워로직스, 성일하이텍, 영화테크 등 폐배터리 관련주, 리튬 관련주가 상승. | |
제약/바이오 관련주 | 정부, 바이오헬스 육성 정책 발표 등에 상승 |
▷금일 정부는 제약·바이오 산업 수출 지원을 통해 올해 82억달러(약 10조8,000억원) 수준인 의약품 수출 규모를 오는 2027년 160억달러(약 21조1,000억원)까지 2배로 확대하겠다는 청사진과 함께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의료·건강·돌봄 서비스 혁신을 꾀하는 방안을 함게 제시했음. 이에 의약품과 의료기기, 의료기관, 디지털헬스케어, 의료 데이터 산업군 등 제약/바이오 업종 전반이 혜택을 받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금일 보건복지부는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범부처 바이오헬스 신시장 창출 전략회의에서 ‘바이오헬스 신시장 창출 전략’을 윤석열 대통령에게 보고했음. 아울러, 디지털 신시장 창출, 바이오헬스 수출 활성화라는 목표 달성을 위해 5대 핵심과제(데이터 기반 의료·건강·돌봄 서비스 혁신, 바이오헬스 산업 수출 활성화, 첨단 융복합 기술 연구개발 강화, 바이오헬스 첨단 전문인력 양성, 창업 지원 강화, 법·제도 및 인프라 구축)로 구성된 바이오헬스 신시장 창출 전략을 제시. ▷구체적으로 바이오헬스 산업 수출 활성화는 향후 5년 내 연매출 1조원 이상인 블록버스터급 신약 2개 창출과 의료기기 수출 2배 달성을통해 글로벌 바이오헬스 6대 강국 도약을 목표로 하는 내용 등이 포함됐음. ▷또한, 의료데이터 안전한 활용 및 디지털헬스케어 규제개선, 디지털 헬스케어 기업 지원 등을 내용으로 하는 ‘디지털헬스케어법’ 제정과 함께, 의원급 의료기관 중심 국내 환자 비대면 진료와 외국인 환자 비대면 진료 제도화 등을 추진할 예정. ▷이 같은 소식에 금일 삼천당제약, 바이오니아, 에이프로젠, SK바이오팜 등 바이오시밀러, 면역항암제, 치매, 제약업체, 유전자 치료제/분석 등 제약/바이오 관련주가 상승. 아울러 루트로닉, 큐렉소, 클래시스 등 미용/의료기기, 라이프시맨틱스 등 U-Healthcare(원격진료) 등 테마도 상승. | |
여행/ 면세점/ 항공/저가 항공사(LCC) | 해외여행 수요 급증에 따른 지난해 해외 카드 사용액 증가 소식 등에 상승 |
▷언론에 따르면, 코로나19 대유행 탓에 억눌렸던 해외여행 수요가 지난해 분출하면서 국내 거주자가 해외에서 사용한 카드 금액이 19조원을 돌파한 것으로 전해짐. 한국은행이 28일 발표한 ‘거주자의 카드 해외 사용 실적’을 보면 지난해 국내 거주자가 해외에서 카드(신용·체크·직불)를 사용한 금액은 145억4,000만달러(약 19조2,000억원)로 집계됐으며, 이는 1년 전과 비교해 18.9% 증가한것임 이와 관련 한은은 “세계 각국에서 코로나19 관련 입국 제한 조치를 완화하고 지난해 10월 일본이 무비자 입국을 재개한 영향 등으로 내국인 출국자 수가 큰 폭으로 증가했기 때문”이라고 설명. ▷한편, 국토교통부 항공포털 통계에서 지난해 국제선 여객은 1,176만1천명으로 집계됐으며, 이는 코로나19 방역이 한창이던 2021년과 비교하면 616.4% 증가한 수치임. 특히, 지난해 12월에는 국제선 여객이 전월 대비 31.5% 증가한 405만명에 이르면서 코로나19 사태 이후 처음으로 400만명대를 기록했음. ▷이와 관련 하나투어, 모두투어, 호텔신라, 글로벌텍스프리, 에어부산, 진에어 등 여행/ 면세점/ 항공/저가 항공사(LCC) 테마가 상승. | |
증강현실(AR)/ 가상현실(VR)/ 메타버스(Metaverse) | 삼성/SKT XR 사업 협력 기대감 등에 상승 |
▷전일 언론에 따르면, 유영상 SK텔레콤 대표가 27일(현지시간)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개막한 MWC23에서 삼성전자 전시관을 찾아 노태문 삼성전자 MX사업부장 사장과 만나 인공지능(AI)과 메타버스 사업 협력 의지를 다진 것으로 알려짐. 이와 관련, 노태문 사장은 "(메타버스 관련해) 여러 이야기들을 하고 있다"며 "확장현실(XR)디바이스 관련 선행 개발을 하고 있고, 완성도가 높아지면 내놓겠다"고 밝힘. 이어 유영상 사장은 "다음 (XR)기기가 빨리 나오고, 메타버스 사업도 잘 되면 좋겠다"고 밝힘. ▷한편, 퀄컴은 MWC23에서 확장현실(XR) 구현 및 확장에 참여하는 협력 통신사 7곳(CMCC, 도이치텔레콤, KDDI, NTT QONOQ, T-모바일, 텔레포니카, 보다폰)을 발표. 이번행사에서 샤오미는 스냅드래곤 XR2 플랫폼’이 장착된 새로운 무선 AR 글래스 디스커버리 에디션을 발표했으며, 오포는 원플러스 11 5G와함께 스 냅드래곤 스페이스를 지원할 수 있는 혼합현실(MR) 기기를 공개한 것으로 알려짐. ▷이 같은 소식에 씨이랩, 선익시스템, 이랜텍, 알체라, 에스넷, 핑거 등 증강현실(AR), 가상현실(VR), 메타버스(Metaverse) 테마가 상승. 특히, 씨이랩은 영상분석 소프트웨어에 챗GPT를 연동한 신제품의 개발을 완료하고 출시를 준비 중이란 소식도 전해지며 급등세를 기록. | |
정치/인맥(이낙연) | 이재명 대표 체포동의안 무더기 이탈표 소식 등에 상승 |
▷전일 언론에 따르면, '위례·대장동 개발 특혜 의혹'과 '성남FC 불법 후원금 의혹' 등으로 구속영장이 청구된이재명 대표의 체포동의안이 국회에서 부결. 투표 결과 여야 의원 297명의 무기명 투표 결과 찬성 139명, 반대 138명으로 반대표가 민주당 의석(169석)에 크게 못 미쳤음. ▷이는 '반대 170명 이상의 압도적 부결'을 자신한 조정식 사무총장 등 민주당 지도부의 전망이 크게 빗나간 결과로 지난해 12월 뇌물수수 혐의로 체포동의안이 청구된 노웅래 의원(반대 161명)과 비교해도 23명의 이탈표가 더 나온 것으로 전해짐. ▷이 같은 소식에 남화토건, 남화산업, 남선알미늄 등 정치/인맥(이낙연) 테마가 상승한 반면, 에이텍, 동신건설, 에이텍티앤 등 정치/인맥(이재명) 테마는 하락. | |
건설 대표주 | 준공 지연 리스크 부각 분석 등에 하락 |
▷하나증권은 건설업에 대해 준공 지연에 따른 리스크가 부각되고 있다고 분석. 올해 1분기 말까지 준공 예정인신탁사 사업장 중 234곳이 준공 지연상태이며, 그 중 89건이 손해배상책임이나 신탁계정 회수 지연 등 리스크가 있는 현장이라고 설명. 아울러 책임준공 기한을 어겨 대위변제하는 경우도 발생했으며, 이는 공사 원가가 급등하는 상황에서 시행사 및 시공사가 자금난에 빠진 것이 원인이라고 밝힘. 특히, 주택업황에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신호들이 조금씩 나타나고 있으며, 지표로는 바닥이 확인되지 않았다고 분석. ▷한편, 언론에 따르면, 연초부터 건설사들이 자금 조달을 위해 잇따라 회사채 발행에 나서고 있으나, 대형 건설사의 회사채 발행에도 건설채에 대한 평가는 여전히 저조한 것으로 전해짐. IB업계 관계자는 "동일한 신용등급 기업들의 최근 수요예측에서 모집액의 4~5배 자금이 몰린 것과 비교하면 건설채에 대한 투자심리가 위축됐다고 볼 수 있다"며, "우량채인 현대건설의 경우 민평금리보다 높은 금리로 회사채를 발행할 예정으로 모집액을 간신히 채운 셈"이라고 설명. ▷이와 관련 대우건설, 현대건설, GS건설 등 건설 대표주가 하락. |
[특징 종목]
= 코스피 =
특징종목 | 이슈요약 |
코오롱모빌리티그룹 (450140) 6,060원 (+16.76%) | 이웅열 코오롱 명예회장, 바이낸스와 가상자산거래소 설립 추진설 속 급등 |
▷일부 언론에 따르면, 이웅열 코오롱 명예회장이 최근 세계 최대 가상자산거래소 바이낸스와 손잡고 국내에 신규 가상자산거래소를 설립하는 방안을 추진 중인 것으로 전해짐. 다만, 코오롱그룹 관계자는 "(가상자산거래소 설립은) 바이낸스가 하는 것이지 이웅렬 명예회장이 하는 게 절대 아니다"고 밝혔으며, 바이낸스 관계자도 "지난해에 코오롱과 한국 블록체인 산업의 발전과 자선 산업 실행을 두고 파트너십을 맺고 논의한 바 있다"면서도 "새로운 거래소 설립을 논의한 바는 없다"고 밝힘. ▷이 같은 소식 속 동사가 급등세를 보였으며, 코오롱, 코오롱글로벌 등 코오롱 그룹주가 상승. | |
HL홀딩스 (060980) 34,450원 (+5.67%) | 텍사스 오스틴에 타이어 모듈 공장 설립 검토 소식에 상승 |
▷일부 언론에 따르면, HL그룹의 사업형 지주회사인 동사가 텍사스 오스틴에 전기차 모듈 생산 기지를 설립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현재 사업 타당성을 조사하고 있으며, 투자 규모나 시기는 확정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음. ▷이번 투자는 현지에 본사를 둔 세계 최대 전기차 회사 테슬라와의 협력 관계를 강화하기 위한 행보로 분석되고 있으며, 업계에서는 HL그룹과 테슬라 간 협력 관계가 강화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음. 이는 HL그룹이 전동화 전환 추세와 맞물려 체질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테슬라를 비롯한 전기차에 들어가는 부품의 비중을 높여야 하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졌음. ▷한편, 동사는 테슬라에 전기차용 타이어 모듈을 공급해온 것으로 전해짐. | |
무림페이퍼 (009200) 2,555원 (+5.58%) | 지난해 실적 호조에 상승 |
▷전일 장 마감 후 지난해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1.39조원(전년대비 +32.58%), 영업이익 963.11억원(전년대비 +223.08%), 순이익 347.59억원(전년대비 +8,386.97%). ▷아울러 보통주 1주당 50원(시가배당율1.9%) 현금배당(결산배당) 결정(배당기준일:2022-12-31) 공시. ▷이 같은 소식에 동사가 상승세를 기록, 최대주주 무림SP도 소폭 상승. | |
쌍방울 (102280) 338원 (+2.74%) | 지난해 영업이익 흑자전환에 소폭 상승 |
▷전일 장 마감 후 지난해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1,032.74억원(전년대비 +6.45%), 영업이익 6.42억원(전년대비 흑자전환), 순손실 951.77억원(전년대비 적자지속). | |
국제약품 (002720) 4,685원 (+2.74%) | 보통주 1주당 0.05주 배정 무상증자 결정에 소폭 상승 |
▷보통주 1주당 0.05주 배정 무상증자 결정(기준일:2023-03-20, 상장예정:2023-04-17) 공시. | |
롯데정보통신 (286940) 29,350원 (+2.44%) | 본업 및 자회사 동반 성장 본격화 전망에 소폭 상승 |
▷한화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수년 전부터 기존의 SI 사업에서 확장해 신규 사업 포트폴리오를 구축해왔으며, 그에 따른 성과가 올해 실적으로 확인될 것이라고 밝힘. 이와 관련, 22년 초 인수한 자회사 중앙제어는 전기차 보급 확대에 따른 충전기 시장 성장세에 따라 가파른 실적 성장세를 나타내고 있다고 밝힘. ▷아울러 동사의 올해 매출액은 1.12조원(YoY 7%), 영업이익은 470억원(YoY 38%)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동사의 현재 밸류에이션은 올해 예상실적 기준 PER 10.5배로, SI 기업들의 평균 PER 16배와 비교하면 저렴하며, 동사는 경기 침체 장기화와 IT투자 위축에도 불구하고 SI 업종 내 종목 중 투자 매력도가 가장 높다고 판단된다고 밝힘. | |
토니모리 (214420) 4,300원 (+1.90%) | 화장품 표기 분쟁, 대법원서 LG생건에 최종 승소 소식 속 소폭 상승 |
▷언론에 따르면, 동사가 화장품 용기에 막대 그래프를 이용해 성분을 표기한 것을 두고 LG생활건강과 벌인 소송전에서 최종 승소한 것으로 전해짐. 대법원은 24일 LG생활건강이 동사를 상대로 한 부정경쟁행위 금지 소송에 대한 상고심에서 2심과 동일하게 원고의 청구를 기각한다는 최종 판결을 내렸음. 동사는 2022년10월경, 2심에서 승소한 바 있음.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대법원 상고심까지 최종 승소함으로써, ‘닥터오킴스 수크라테놀 리커버 크림’ 제품은 모든 법률적 위험으로부터 완전하게 벗어난 셈"이라며, "고민을 거듭해 생산한 제품인 만큼 좋은 결과를 얻게 돼 기쁘게 생각하고, 앞으로 더욱 좋은 제품들을 소비자분들께 선보일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밝힘. | |
KT (030200) 30,450원 (+1.67%) | MWC서 자율주행 배송로봇 공개 및 컨버지와 필리핀 DX 사업 개발 협력 MOU 체결 소식 속 소폭 상승 |
▷언론에 따르면, 동사가 MWC 2023에서 '로봇 메이커스'(Robot Makers) 플랫폼과 자율주행 배송로봇을 새롭게 선보인 것으로 전해짐. '로봇 메이커스' 플랫폼은 서로 다른 기종의 로봇뿐 아니라 엘리베이터, 주문·결제 애플리케이션, 출입문, 인터폰, 콜드체인(저온 유통체계) 등 로봇 사용에 필요한 인프라를 하나로 연결할 수 있는 클라우드 기반 로봇 통합관제 플랫폼임. 특히, 이번 MWC에서 처음으로 선보인 배송로봇은 동사가 축적한 로봇 서비스 경험과 노하우를 활용, 최초로 배송로봇에 온·습도를 조절할 수 있는 콜드체인 시스템 기능을 적용했음. ▷아울러 동사는 전일 필리핀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 ‘컨버지 ICT 솔루션즈’와 필리핀 DX 사업개발 협력을 위한 전략적 파트너쉽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밝힘. 양사는 이번 협약을 통해 인공지능(AI), 클라우드 및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VSaaS(Video Surveillance as a Service), MaaS(Mobility as a Service), IDC, e-커머스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사업개발 협력을 통해 필리핀 고객들에게 동사의 다양한 DX(Digital Transformation)서비스를 제공할 예정. ▷이 같은 소식 속 동사가 소폭 상승세를 기록했으며, 케이티알파, KTcs, KTis 등 KT 그룹주가 상승. | |
대덕전자 (353200) 21,000원 (+1.45%) | 서버 및 전장, AI 수요 확대에 따른 FC BGA 매출 확대 기대감 등에 소폭 상승 |
▷대신증권은 동사에 대해 서버 및 전장, AI 수요 증가는 FC BGA 매출 확대로 연결될 것이라며, 올해 대표적인 비메모리향 FC BGA 매출의 성장은 명확하고, 2023년 하반기의 수익성 개선에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분석. 이에 2023년 전체 매출은 -12.9%(yoy)로 예상되나, FC BGA 매출은 3,841억원으로 +40.7%(yoy) 증가할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힘. ▷특히, 메모리보다 비베모리인 연산(CPU), 그래픽(GPU), 통합칩(AI, 전장)에서 수요가 높아 FC BGA에 매출 주력은 필연적으로 판단된다며, 동사의 FC BGA 매출 비중은 2022년 21%에서 2023년 34%, 2025년 45%로 빠르게 확대될 것으로 전망.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31,000원[유지] |
= 코스닥 =
특징종목 | 이슈요약 |
미래컴퍼니 (049950) 30,150원 (+29.96%) | 삼성전자, 헬스케어 로봇 시장 진출 위한 M&A 기대감 속 차세대 복강경 수술로봇 개발 사실 부각 등에 상한가 |
▷언론에 따르면, 2026년 840조원 시장으로 성장할 헬스케어 로봇 시장에 진출하기 위해 삼성전자가 기업인수합병에 대한 눈독을 들이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짐. 삼성전자가 차세대 먹거리로 낙점한 로봇 사업에 대한 M&A가 꾸준히 진행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며, 이미 올초 로봇 개발업체 레인보우로보틱스에 590억원을 신규 투자해 2대 주주로 올라선 바 있음. 아울러 삼성전자는 이르면 올 하반기 의료기기용 웨어러블 보행 보조 로봇을 시장에 선보일 것으로 알려짐. ▷이 같은 소식 속 차세대 복강경 수술로봇을 개발한 바 있고, 삼성디스플레이 등 대형 디스플레이 기업 수주 이력이 있는 동사가 시장에서 부각. | |
저스템 (417840) 11,740원 (+15.10%) | 호실적 지속 전망 및 저평가 분석 등에 급등 |
▷현대차증권은 동사에 대해 2022년 실적은 매출액 550억원(+22.7% yoy), 영업이익률 16.4%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하며, 2023년 실적은 매출액 780억원(+41.8% yoy), 영업이익률 16.9%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 특히, 2023년에는 반도체 업체의 캐팩스 축소에도 불구하고, 선단공정 지속에 따른 해외향 신규 매출이 발생될 것으로 기대되며, 2H23부터는 디스플레이, 2024년 태양광 관련 매출 발생 외에 추가적으로 신규 사업에 대한 매출 발생으로 장기적으로 동사의 매출 퀀텀점프가 기대된다고 분석. ▷한편, 반도체 기술을 바탕으로 한 제품 포트폴리오 확장성과 고객사 다변화 등을 고려할 때 현재 시가 총액은 현저히 저평가되어 있다고 판단하며, 밸류에이션 재평가가 강력하게 필요하다고 분석. ▷투자의견 : 매수[신규], 목표주가 : 24,000원[신규] | |
뷰노 (338220) 16,050원 (+12.00%) | 지난해 적자폭 축소 속 AI 기반 심정지 예측 의료기기 뷰노메드 딥카스 매출 급성장 소식 등에 급등 |
▷전일 장 마감 후 지난해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82.74억원(전년대비 +268.10%), 영업손실 153.66억원(전년대비 적자폭 축소), 순손실 156.12억원(전년대비 적자폭 축소). ▷특히, 언론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에만 전체 매출의 76%에 달하는 약 63억원을 기록하며 전분기, 전년동기 대비 큰 폭의 성장을 기록한 것으로 전해짐.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의료AI 업계에서 단일 분기 내 최대 매출인 것으로 확인된다"며, "AI 기반 심정지 예측 의료기기인 뷰노메드 딥카스가 동사의 캐시카우로서 의료AI 업계의 수익 창출에 대한 리스크를 해소해주는 역할을 이어갈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힘. | |
루트로닉 (085370) 26,650원 (+11.74%) | 지난해 4분기 호실적 및 올해 실적 호조 전망 등에 급등 |
▷전일 장 마감 후 지난해 4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805.04억원(전년동기대비 +46.42%), 영업이익 206.91억원(전년동기대비 +133.11%), 순이익 50.62억원(전년동기대비 +17.77%). ▷이와 관련, 신한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고마진 제품 5종의 판매 호조에 따른 P, Q 동시 성장이 호실적을 견인했다고 언급. ▷아울러 2023년 매출액 및 영업이익을 각각 3,193억원(+20.9%), 623억원(+11.6%, OPM 19.5%)으로 추정. 2023년에도 선진국향 고마진 제품군의 수출 호조에 따른 P, Q 동시 성장이 예상.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27,000원 -> 32,000원[상향] | |
제이엠티 (094970) 3,580원 (+11.53%) | 지난해 실적 호조에 급등 |
▷22년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905.99억원(전년대비 +14.15%), 영업이익 200.06억원(전년대비 +22.42%), 순이익 294.18억원(전년대비 +93.87%). ▷보통주 1주당 150원(시가배당율4.6%) 현금배당(결산배당) 결정(배당기준일:2022-12-31) 공시. | |
세보엠이씨 (011560) 8,070원 (+11.00%) | 지난해 실적 호조에 급등 |
▷22년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1.03조원(전년대비 +139.21%), 영업이익 365.61억원(전년대비 +325.54%), 순이익 281.97억원(전년대비 +134.82%). | |
엘앤에프 (066970) 262,000원 (+8.94%) | 테슬라와 3.83조원(최근 매출액대비 395%) 규모 공급계약 체결에 강세 |
▷Tesla, Inc. & its Affiliates와 3.83조원(최근 매출액대비 395%) 규모 공급계약(하이니켈 양극재) 체결(계약기간:2024-01-01~2025-12-31) 공시. ▷이 같은 소식에 엘앤에프의 최대주주인 새로닉스도 동반 급등. | |
퓨쳐켐 (220100) 7,250원 (+7.25%) | 전립선암 치료제 FC705 미국 임상1상 투여 완료 소식에 강세 |
▷동사는 언론을 통해 전립선암 치료제 FC705의 미국 임상 1상의 환자 등록 및 투여를 마쳤다고 밝힘. 동사는 지난해 5월 미국 FDA로부터 전이성 거세저항성 전립선암 환자에 대한 임상 1상과 2a상을 동시에 승인받아 진행 중에 있으며, 지난해 10월 말 첫 환자 투여를 시작으로 현재까지 6명의 대상자 모두에게 투여 완료된 상태로 투여가 완료된 임상 1상 참여 대상자들은 8주간의 추적 관찰을 받을 예정으로 전해짐. ▷이와 관련, 동사의 관계자는 "마지막 환자의 8주 차까지의 데이터를 확보해 임상 2a상을 진행할 계획"이라며 "2a상에서는 100mCi 용량을 8주 간격으로 최대 6회 반복투여에 따른 안정성을 확인하고 유효성 평가를 실시할 예정"이라고 밝힘. | |
이지케어텍 (099750) 28,950원 (+6.83%) | 카카오헬스케어와 디지털 헬스케어 경쟁력 강화 등 상호협력 협약 체결에 강세 |
▷동사는 언론을 통해 지난 27일 카카오헬스케어와 디지털 헬스케어 및 해외·클라우드 사업 확대를 위한 상호협력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힘. 동사는 이번 협약을 계기로 사업 다각화 기반을 마련하고, 디지 털 헬스케어 서비스 경쟁력을 한층 높인다는 방침임. ▷이와 관련 위원량 동사 대표이사는 "이변 협약을 통해 당사와 카카오헬스케어는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을 선도해 나가기 위한 청사진을 함께 그렸다"며, "치료에서 예방·관리로 헬스케어 패러다임이 이동하고 있는 변화 속에서 양사의 협력은 새로운 서비스를 창출하고 시장에서의 우위를 선점하는 발판이 될 것"이라고 밝힘. | |
티앤알바이오팹 (246710) 13,540원 (+6.61%) | 한국존슨앤드존슨메디칼과 3D 임플란트 독점 공급계약 체결 소식에 강세 |
▷동사는 언론을 통해 한국존슨앤드존슨메디칼과 환자맞춤형 3D 임플란트 제품에 대한 독점 공급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힘. 이번에 체결한 계약은 '티앤알 PSI 플러스' 상품으로 악안면 부위의 골절 및 손상 환자의 재건 수술에 쓰이는 환자맞춤형 임플란트(PSI)이며, 핵심 소재는 생분해성 고분자인 폴리카프 로락톤(PCL)과 베타-인산삼칼슘(TCP)으로 다양한 임상 응용과 사례 연구에서 안전성, 생체적합성, 생분해성뿐 아니라 연골과 같이 다른 조직 및 새로운 뼈 성장을 유도하는 것으로 입증된 바 있는 것으로 알려짐. ▷이와 관련, 윤원수 동사 대표는 “이번 계약을 통해 동사의 기술력과 제품 품질을 인정받은 것에 대해 매우 기쁘게 생각한다”며, “PSI의 첫 번째 공급계약을 체결한 것은 매우 큰 의미가 있다”고 밝힘. | |
비츠로셀 (082920) 15,870원 (+6.08%) | 지난해 호실적 등에 강세 |
▷지난해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1,411.31억원(전년대비 +24.61%), 영업이익 287.67억원(전년대비 +65.11%), 순이익 251.98억원(전년대비 +48.04%). ▷보통주 1주당 200원(시가배당율1.5%) 현금배당(결산배당) 결정(배당기준일:2022-12-31) 공시. | |
엠에스오토텍 (123040) 5,330원 (+5.13%) | 지난해 실적 호조에 상승 |
▷22년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2.02조원(전년대비 +33.08%), 영업이익 1,492.19억원(전년대비 +190.97%), 순이익 1,194.95억원(전년대비 +492.92%). ▷보통주 1주당 50원(시가배당율1.11%) 현금배당(결산배당) 결정(배당기준일:2022-12-31) 공시. | |
KD (044180) 767원 (+5.07%) | 지난해 실적 개선에 상승 |
▷전일 장 마감 후 지난해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1,038.71억원(전년대비 +421.23%), 영업손실 19.60억원(전년대비 적자폭 축소), 순이익 12.45억원(전년대비 흑자전환). | |
HLB테라퓨틱스 (115450) 11,740원 (+4.82%) | 주당 1주 배정 무상증자 결정에 상승 |
▷보통주 1주당 1주 배정 무상증자 결정(기준일:2023-03-16, 상장예정:2023-04-11) 공시. | |
큐브엔터 (182360) 19,480원 (+4.73%) | 지난해 실적 호조에 상승 |
▷22년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1,206.37억원(전년대비 +67.68%), 영업이익 69.27억원(전년대비 +485.91%), 순이익 51.71억원(전년대비 흑자전환). | |
누리플렉스 (040160) 6,230원 (+4.36%) | AI 활용 도전감지시스템 상용화 소식 등에 상승 |
▷동사는 언론을 통해 인공지능(AI)을 활용한 도전감지시스템(PTMS)의 개발을 완료하고 전력 AI 시장에 본격 진출한다고 밝힘. 이 제품은 AI 기반의 머신러닝 기술이 적용되며, 이 도전감지시스템(PTMS)은 컴퓨터가 전기 사용 데이터를 수집하고, 스스로 학습하여 이상 패턴이 감지되면 반응하기 때문에 별도의 장비 없이 소프트웨어만으로도 도전(盜電)을 감지할 수 있는 것으로 전해짐. | |
월덱스 (101160) 22,350원 (+3.95%) | 지난해 4분기 견조한 애프터마켓 수요 확인 및 올해 매출액 추정치 상향 조정 등에 상승 |
▷하나증권은 동사에 대해 2022년 4분기 매출액은 765억원(YoY +42%, QoQ +20%)으로 당사 추정치 703억원을 크게 상회하는 매출액을 기록하였다고 분석. 특히, 4분기 국내외 메모리업체들이 부진한 실적을 잇따라 발표함에 따라 전방 업황의 악화가 확인되고 있음에도 분기별 매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는 점이 고무적이며, 동사의 매출액 증가는 전방사로부터의 애프터마켓 부품 수요가 견조함을 의미하는것으로 판단. ▷한편, 2023년 추정치를 매출액 3,016억원, 영업이익 600억원, 순이익 498억원으로 변경. 1분기 고객사의 메모리 출하량이 부진할 것임을 감안해도 생산 능력의 확대와 견조한 애프터마켓 수요에 힘입어 연간으로는 납품 물량이 증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아울러 매출 규모의 확대가 이익 증가로 이어지는 구간임에도 현재 23F PER 7.1배로 밸류에이션 매력 또한 유효하다고 판단. | |
레고켐바이오 (141080) 37,300원 (+3.18%) | ADC 시장 성장 및 HER2, TROP2 기술수출 기대감 등에 상승 |
▷하이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22년 12월에 1.6조원(22 년 국내사 라이선스 아웃 중 최대) 규모의 암젠향(바이오 블록버스터 7 개 보유 빅파마) ADC 기술수출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힘. 이러한 성과가 가능했던 것은, 동사의 ADC 기술이 글로벌 신약 개발 트렌드에 부합하였기 때문으로 분석. 아울러 22년 6월 ASCO에서 엔허투(아스트라제네카/다이이찌산쿄)의 압도적인 임상결과가 발표된 이후, ADC 시장은 새롭게 열리고 있으며, ADC 블록버스터 수는 현재 3개에서 24년까지 6개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 ▷또한, 동사의 HER2 타겟 LCB 14(포순 및 익수다에 기술수출)은 22년 12월에 긍정적인 1상 결과를 발표하였으며, 연내 중국 2상 진입을 계획 중이라고 밝힘. 이어 TROP2 타겟 신약 LCB 84(자체개발 중)도 동물실험 단계에서 경쟁 약물 대비 우수한 독성 및 약효 데이터를 확보하였고, 올해 2분기에 미국 1상 IND 신청을 계획 중이라고 밝힘. 이와 같이 시장성이 큰 HER2, TROP2 타겟 신약들이 임상적 근거를 연내 추가 확보할 가능성이 크며, 이에 따라 동사의 신규 기술수출 및 주가 리레이팅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힘. | |
애니플러스 (310200) 4,800원 (+2.45%) | 라프텔을 필두로 가파른 실적/밸류에이션 리레이팅 전망 등에 소폭 상승 |
▷SK증권은 동사에 대해 향후 실적 향상과 밸류에이션 리레이팅의 핵심은 22년 인수한 국내 최대 애니메이션 전문 OTT 라프텔이라고 밝힘. 이와 관련, 라프텔과의 유의미한 사업적 시너지가 예상되며 국내/아시아 시장 내 지배력 확대(콘텐츠+굿즈), 오리지널 애니 콘텐츠 제작을 통해 과거 단순 유통 구조에서 탈피할 것으로 전망. ▷아울러 동사의 올해 매출액은 1,101억원(YoY +74.2%), 영업이익은 231억원(YoY+58.5%, OPM 21%)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이와 관련, 라프텔, 로운컴퍼니 등 2022년에 인수한 자회사 실적 온기 반영, 연간 소싱하는 신작 애니 작품 수 증가(총 120 편, YoY +20%), 신규 미디어아트전시관 확보/LO 를 통한 실적 고성장이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힘. ▷투자의견 : 매수[신규], 목표주가 : 8,000원[신규] | |
컴투스 (078340) 68,300원 (+2.40%) | 이익 턴어라운드 기대감 등에 소폭 상승 |
▷한화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올해 매출액은 8,197억원(YoY 14%), 영업이익은 272억원(YoY 흑저전환)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이와 관련, 올해 10여 종의 신작이 준비 중인데, 가장 먼저 3월에 크로니클의 전세계 확대 출시가 예정되어 있고, 2분기에는 제노니아(MMORPG)를 출시해 순매출로 인식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힘. 이어 5개의 라인업으 로 이루어진 야구 매출도 전년 대비 두자릿수 성장세를 이어나갈 것으로 전망. ▷아울러 동사의 본격적인 밸류에이션 반등은 신작 흥행과 함께 이익 반등 시그널이 확인되어야겠지만, 현재 주가는 최악의 센티를 모두 반영하고 있어 하락요인이 제한적이라고 판단된다고 밝힘.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90,000원[유지] | |
핌스 (347770) 11,890원 (+2.32%) | 올해 본격적인 실적 턴어라운드 기대감 등에 소폭 상승 |
▷유화증권은 동사에 대해 지난해 4분기 매출액 249억원(+45.6% yoy), 영업이익 21억원(흑자전환 yoy)을 기록해 본격적으로턴어라운드가 시작됐다며, DDI 공급문제가 점차 완화 되었고 신규공장도 안정화 되며 실적이 증가했다고 분석. ▷아울러 올해 큰 폭의 실적 성장이 예상되는 가운데, 중국 리오프닝 이후 중국의 스마트폰 소비가 증가하고 있고, 중국 로컬 스마트폰 제조사들의 OLED 채택이 확대되고 있기 때문이라고 밝힘. 또한, 프레임, 코팅, 세정 등 마스크 전, 후공정까지 수직계열화를 이루어 매출 볼륨확대가 예상되며, 공장 이전으로 증가했던 비용이 안정화되며 이익률이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힘. ▷이에 올해 매출액 및 영업이익은 각각 1,012억원(+20.7% yoy), 102억원(+684% yoy)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 |
현대이지웰 (090850) 7,300원 (+1.96%) | 신사업 및 대형 고객사 수주 기대감 등에 소폭 상승 |
▷NH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작년 11월 인수한 벤디스가 인수 다음 달인 12월 월 거래액 103억원을 기록, 올해 연말까지 BEP(손익분기점)인 월 거래액 140억원 돌파해 흑자전환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힘. 벤디스가 운영 중인 식권대장 앱은 이지웰 앱 대비 트래픽이높아 올해 4월부터는 이지웰 복지몰을 연동할 계획이며, 상조, EAP, 여행, 이사 등 다양한 B2B 사내 복지 그릅웨어 서비스도 준비중이라고 언급. ▷아울러 경쟁사의 현대차 2교대 복지몰 사업이 올해 6월 종료될 예정이라며, 동사의 수주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라고 분석. 수주금액은 700억원으로 동사가 운용중인 전체 복지포인트의 5%에 달한다며, 이에 하반기로 갈수록 동사의 실적 성장세가 가팔라질 것으로 전망. | |
서희건설 (035890) 1,150원 (+1.77%) | 100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신탁계약 체결 결정에 소폭 상승 |
▷100.00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신탁계약 체결 결정(기간:2023-02-28~2023-08-27, 삼성증권(주)(SAMSUNG SECURITIES CO.,LTD)) 공시. | |
와이엠씨 (155650) 5,930원 (+1.72%) | 고마진 SiC 재생 사업 성장세 부각 전망 등에 소폭 상승 |
▷유안타증권은 동사에 대해 고마진 SiC 재생 사업 성장세가 부각될 것으로 전망. 특히, 동사는 2016년 자회사 와이컴을 인수하여 반도체 Parts 재생사업을 시작했으며, 현재 국내에서 유일하게 SiC Focus Ring Recycle 수요를 대응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 아울러 2023/2024년 SiC Focus Ring 관련 예상 영업이익은 54억원(OPM 20%), 83억원(OPM 22%)으로 큰 폭의 성장세를 이어나갈 것으로 전망. ▷또한, 2023년/2024년 예상 영업이익 240억원, 300억원으로 전망. 특히, SiC Focus Ring 리사이클 확대에 기반한 자회사 와이컴 사업 가치 재조명을 기대하며, 올해 하반기 IT 시장 회복으로 OLED 소재 및 파츠 수요 회복을 전망하고, 용역 및 이설 수주 잔고 기반의 안정적인 실적 성장이 가능하다는 점이 긍정적이라고 분석. | |
에스피지 (058610) 19,690원 (-2.28%) | 지난해 4분기 실적 부진에 소폭 하락 |
▷전일 장 마감 후 지난해 4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994.04억원(전년동기대비 -15.18%), 영업이익 45.05억원(전년동기대비 -24.71%), 순이익 28.77억원(전년동기대비 -59.12%). ▷한편, 보통주 1주당 200원(시가배당율 1.2%) 현금배당(결산배당) 결정(배당기준일:2022-12-31) 공시. | |
TPC (048770) 4,010원 (-2.55%) | 지난해 실적 부진에 소폭 하락 |
▷전일 장 마감 후 22년 연결기준 매출액 942.79억원(전년대비 +8.42%), 영업이익 8.73억원(전년대비 -58.53%), 순이익 1.73억원(전 년대비 -91.50%). ▷보통주 1주당 25원(시가배당율0.8%) 현금배당(결산배당) 결정(배당기준일:2022-12-31) 공시. | |
쎄트렉아이 (099320) 40,300원 (-3.13%) | 지난해 실적 부진에 하락 |
▷전일 장 마감 후 지난해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913.57억원(전년대비 +24.38%), 영업손실 96.02억원(전년대비 적자전환), 순손실 56.71억원(전년대비 적자지속). ▷보통주 1주당 80원(시가배당율0.27%) 현금배당(결산배당) 결정(배당기준일:2022-12-31) 공시. | |
케어젠 (214370) 176,700원 (-4.07%) | 109.43억원 규모 공급계약 해지에 하락 |
▷전일 장 마감 후 Este Pharma와 체결한 109.43억원(최근 매출액대비 38.29%) 규모 공급계약(신제품 헤어 필러인 DR.CYJ Hair Filler의 터키지역 독점) 해지(계약기간:2016-03-01~2023-02-28) 공시. 해지사유는 계약 상대방의 계약 불이행임. |
[특징 상한가 및 급등종목]
종 목 | 상한가 일수 | 사유 |
미래컴퍼니 (049950) 30,150원 (+29.96%) | 1 | 의료기기, 2차전지(전고체) 테마 상승 및 삼성전자, 헬스케어 로봇 시장 진출 위한 M&A 기대감 속 차세대 복강경 수술로봇 개발 사실 부각 등에 상한가 |
이수화학 (005950) 24,400원 (+20.49%) |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삼성SDI 전고체 배터리 설비 점검 소식에 2차전지(전고체) 테마 상승 속 급등 | |
아이큐어 (175250) 3,730원 (+19.94%) | 제약/바이오 관련주 상승 속 메나리니 아시아-퍼시픽사와 도네페질 패치제 라이선스 이전 계약 체결 모멘텀 지속에 급등 | |
위세아이텍 (065370) 25,000원 (+17.92%) | 삼성/SKT XR 사업 협력 기대감 등에 메타버스(Metaverse) 테마 상승 속 급등 | |
한농화성 (011500) 12,130원 (+17.77%) |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삼성SDI 전고체 배터리 설비 점검 소식에 2차전지(전고체) 테마 상승 속 급등 | |
코오롱모빌리티그룹 (450140) 6,060원 (+16.76%) | 이웅열 코오롱 명예회장, 바이낸스와 가상자산거래소 설립 추진설 속 급등 | |
더블유에스아이 (299170) 2,360원 (+16.26%) | 정부, 바이오헬스 육성 정책 발표 등에 의료기기 테마 상승 속 급등 | |
KTcs (058850) 5,460원 (+16.17%) | KT, MWC서 자율주행 배송로봇 공개 및 컨버지와 필리핀 DX 사업 개발 협력 MOU 체결 소식 속 급등 | |
씨이랩 (189330) 24,850원 (+15.58%) | 메타버스(Metaverse) 테마 상승 속 챗GPT 연동 신제품 개발 완료 및 출시 준비 소식 등에 급등 | |
저스템 (417840) 11,740원 (+15.10%) | 호실적 지속 전망 및 저평가 분석 등에 급등 | |
라이프시맨틱스 (347700) 7,190원 (+14.13%) | 정부, 바이오헬스 육성 정책 발표 등에 U-Healthcare(원격진료) 테마 상승 속 급등 | |
새로닉스 (042600) 29,600원 (+13.63%) | 자회사 엘앤에프, 테슬라와 3.83조원 규모 공급계약 체결에 급등 | |
명신산업 (009900) 20,200원 (+13.48%) | 테슬라 주가 상승 및 테슬라데이 기대감 등에 전기차 테마 상승 속 급등 | |
네오펙트 (290660) 1,501원 (+12.86%) | 정부, 바이오헬스 육성 정책 발표 등에 의료기기/U-Healthcare(원격진료) 테마 상승 속 급등 | |
이아이디 (093230) 925원 (+12.67%) | 2차전지 테마 상승 및 엘앤에프, 테슬라와 3.83조원 규모 공급계약 체결 소식 속 종속회사 케이아이티가 엘앤에프를 고객사로 두고 있는 점이 시장에서 부각되며 급등 | |
뷰노 (338220) 16,050원 (+12.00%) | 의료기기 테마 상승 및 지난해 적자폭 축소 속 AI 기반 심정지 예측 의료기기 뷰노메드 딥카스 매출 급성장 소식 등에 급등 | |
루트로닉 (085370) 26,650원 (+11.74%) | 미용기기/의료기기 테마 상승 속 지난해 4분기 호실적 및 올해 실적 호조 전망 등에 급등 | |
제이엠티 (094970) 3,580원 (+11.53%) | 지난해 실적 호조에 급등 | |
세보엠이씨 (011560) 8,070원 (+11.00%) | 지난해 실적 호조에 급등 | |
선익시스템 (171090) 29,050원 (+10.88%) | 삼성/SKT XR 사업 협력 기대감 등에 메타버스(Metaverse) 테마 상승 속 급등 | |
핑거스토리 (417180) 8,710원 (+10.53%) | 만화진흥법 개정안 국회 본회의 통과 소식 등에 웹툰 테마 상승 속 급등 | |
디와이디 (219550) 1,146원 (+10.51%) | 오버행 이슈 해소 및 관리종목 탈피 기대감 등에 급등 | |
파워로직스 (047310) 5,690원 (+10.49%) | 폐배터리 관련주 및 2차전지/전기차 테마 상승 속 급등 | |
DB (012030) 1,544원 (+10.13%) | 경영권 분쟁 가능성 지속 부각에 급등 | |
덕산테코피아 (317330) 16,510원 (+9.56%) |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삼성SDI 전고체 배터리 설비 점검 소식에 2차전지(전고체) 테마 상승 속 급등 | |
큐렉소 (060280) 9,320원 (+9.52%) | 의료기기 테마 상승 및 尹대통령, 동사의 자동형 인공관절 수술로봇 관람 소식 속 급등 | |
와이즈버즈 (273060) 1,620원 (+9.31%) | 스냅챗, 챗GPT 기반 AI 챗봇 '마이 AI' 출시 소식 속 스냅챗 공식 파트너사 선정 사실 부각에 급등 | |
엘앤에프 (066970) 262,000원 (+8.94%) | 2차전지/전기차 테마 상승 속 테슬라와 3.83조원(최근 매출액대비 395%) 규모 공급계약 체결에 강세 | |
동화기업 (025900) 56,800원 (+8.81%) |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삼성SDI 전고체 배터리 설비 점검 소식에 2차전지(전고체) 테마 상승 속 강세 | |
코스모화학 (005420) 41,750원 (+8.16%) | 폐배터리 관련주, 2차전지 테마 상승 속 지난해 실적 호조에 강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