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불 갑 동 문 카 페
카페 가입하기
 
 
 
 

친구 카페

 
  1. 유연신
 
카페 게시글
동문 자유게시판 스크랩 불갑면 마을유래
불갑산 (강점성) 추천 0 조회 149 08.03.21 12:59 댓글 1
게시글 본문내용

⊙불갑-면(佛甲面)『면』영광군 3읍, 8면의 하나. 본래 영광군의 지역으로서, 옛절 불갑사 있으므로 불갑면이라 하여 황산(黃山), 차반(次盤, 상원(上元), 관음(官音), 전촌(前村), 남촌(南村), 유봉(酉峯), 가로(加老), 회산(回山), 하인(下仁), 상인(上仁), 덕산(德山), 앵곡(鶯谷), 강정(江亭), 부흥(復興), 압수(押水), 신평(新坪), 행정(杏亭), 박산(朴山), 봉동(鳳洞), 삼수(三水), 마산(馬山), 고장(古長), 가오(加五), 부곡(富谷), 회룡동(會龍洞), 시목(枾木), 운제(雲堤), 운흥(雲興), 회복(回福), 취성(聚星), 봉촌(鳳村), 노동(老洞), 물가(勿柯), 녹동(鹿洞), 상림(上林), 순량동(順良洞), 용두(龍頭), 회화(回花), 용산(龍山), 반룡(盤龍), 오사(五沙), 맹자(孟子), 안정(安亭), 용산(龍山), 상원(上元), 봉암(鳳岩), 호촌(互村), 단산(丹山), 평정(平亭), 장등(長嶝), 노음(老陰)의 52동리를 관할하다가, 1914년 4월 1일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서부면의 대천동(大天洞) 일부와 외간면(外澗面)의 구평리(九平里), 장고리(長古里)의 각 일부 지역을 병합하여 건무, 금계, 녹산, 모악, 방마, 부춘, 쌍운, 생곡, 순룡, 안맹, 우곡, 응봉, 자비의 13개 리로 개편 관할함. 동쪽은 묘량면, 서쪽은 군남면, 북쪽은 군서면, 남쪽은 함평군 해보면에 닿음.

건무-리(建武里)(건머리, 건무, 황산)『리』본래 영광군 불갑면의 지역으로 건무산(군 산천) 밑이 되르로 건머리 또는 건무, 황산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 구역 페합에 따라 차반리, 상원리 일부 지역을 병합 하여 건무리라 함.

개구리 둠벙(둠벙) 건무리에 있는 둠벙.

개동-촌(開洞村)『마을』차반 서쪽에 새로 된 마을.

개동촌-골(開洞村-)『골』개동촌 위쪽에 있는 골짜기.

개동촌-재(開洞村-)『고개』개동촌에서 와우리로 넘어가는 고개.

건-머리『마을』→ 건무리.

건무(建武)『마을』→ 건무리.

고븐-들『들』황산 서북쪽에 있는 들.

고븐들-보『보』고븐들에 물을 대는 보.

농-바우『바위』황산 동남쪽에 있는 바위. 농처럼 생겼음.

돌-미력(마애불)『미륵』미력골 위쪽, 황산에서 동쪽 1km 거리에 있는 마애불.

뒷-논『들』황산 뒤쪽에 있는 들.

뒷논-보『보』뒷논에 물을 대는 보.

들가운데-보『보』들가운데에 물을 대는 보.

들-가운데『논』황산 서북쪽들 가운데에 있는 논.

마애-불(磨崖佛)『미륵』→ 돌미력.

막-거리(幕-)『마을』차반과 황산 사이 큰길가에 있는 마을. 주막이 있음.

맹마-바우『바위』큰골에 있는 바위. 맹매기(명매기 : 칼새)가 살았음.

문턱-바우『바위』막거리 위 옛 길가에 있던 바위. 문턱처럼 생겼음.

미력-골『골』황산 동남쪽에 있는 골짜기. 돌미륵이 있음.

미력굴-들『들』미력골에 있는 들.

미력굴-재(아웃재)『고개』미력골 위에 있는 고개. 황산에서 우곡리와 와우로 넘어감.

사마-봉『산』차산 남쪽에 있는 산.

상원(上元)(팽풍)『마을』황산 서북쪽에 있는 마을. 뒷산이 병풍을 둘러 쳐 놓은 것 같음.

새 재이『들』차반 북족에 있는 들.

새재이-보『보』→새재이에 물을 대는 보.

선-바우『바위』치바우 위쪽에 우뚝 선 바위.

섬-배미『논』차반 서쪽에 있는 논. 섬처럼 논 가운데 흙무더기가 있었음.

수꾸지『들』차반 북쪽에 있는 들.

수꾸짓-골『골』수꾸지가 있는 골짜기, 숯을 구웠음.

수랑-굴『들』차반 서쪽에 있는 들. 수랑(수렁)이 많음.

아웃-재『고개』→ 미력굴 재.

앵-배미『보』새재이에 있는 보.

언구개-재『고개』방마에 있는 재.

엉-골(엉굴)『마을』황산 남쪽에 있는 마을.

엉-구개『들』차반 서쩍에 있는 들.

엉구갯-골『골』엉구갯재 밑에 있는 골짜기.

엉구갯-재『고개』차반 서쪽에서 응봉리로 넘어가는 고개.

엉-굴『마을』→ 엉골.

엉굴-재『고개』엉굴에 있는 고개.

운갯-재『고개』→건무리에서 쌍운리 운개로 넘어가는 고개.

원-골『골』미력골 서남쪽에 있는 골짜기.

장구-배미『논』새재이에 있는 논. 장구처럼 잘록하게 생겼음.

재비동-재『고개』황산에서 자비리 재비봉으로 넘어가는 고개.

주걱-골『골』미력골 서남쪽에 있는 골짜기.

줄-배미『논』장구배미 서쪽에 있는 논. 줄(풀)이 많이 났었음.

진-보『보』건무리와 안맹리 경계에 있는 긴보.

진-잔등『등』황산 뒤쪽에 있는 길고 작은 등성이.

차반(次盤)『마을』→ 체방이.

채방이(차반)『마을』상원 남쪽에 있는 마을.

치-바우『바위』건무산에 있는 바위. 곡식을 까부는 치(키)처럼 생겼음.

큰-골『골』황산 동쪽에 있는 큰 골짜기.

통-배미『논』차반 서남쪽에 있는 논.

팽풍『마을』→ 상원.

황-산(黃山, 凰山)『마을』→ 건무리.

 

금계-리(金溪里)『리』본래 영광군 불갑면의 지역인데, 1914년 행정 구역 폐합에 따라 관음리, 전촌리, 남촌리, 유봉리, 가로리, 회산리의 각 일부 지역을 병합하여 금계포란형(金溪抱卵形)의 명당이 있다 하여 금계리라 함.

가낭-골(관음곡, 관음리)『마을』전촌 서북쪽에 있던 마을. 절 관음사가 있었다하는데 지금은 불갑저수지의 물에 잠겼음.

갱배미(沓) 금계리에 있는 논.

관음-곡(觀音谷)『마을』→ 가낭골.

관음-리(觀音里)『마을』→ 가낭골.

괭이봇-들『들』독봇들 밑에 있던 들. 불갑저수지 시설로 물에 잠겼음.

금산-들『들』유봉과 회산 사이에 있는 등성이.

꼬쟁이-배미『논』유봉 앞에 있는 논. 꼬쟁이(꼬챙이)처럼 가늘고. 길쭉함.

남-촌(南村)『마을』전촌 남쪽에 있는 마을. 전촌과 병합하여 현재는 전촌이라 함.

노리-디기『들』행정 밑에 있던 둘, 불갑저수지 시설로 물에 잠겼음.

땅새암(井) 금계리에 있는 샘.

독-보『보』전촌 서남쪽에 있던 보. 독(돌)이 많았는데, 지금은 불갑저수지 시설로 물에 잠겼음.

독봇-들『들』독보의 물을 대는 들.

두루-봉『산』회산 북쪽에 있는 산. 산봉우리가 둥그렇게 생겼음.

바우-배기『들』회산 동쪽에 있는 들. 바우(바위)가 박혀 있음.

바우배기-샘『우물』→ 바우샘.

바우-샘<바우배기샘>『우물』바우배기에 있는 샘.

방구-등『등』회산 남쪽에 있는 등성이, 농악기의 방구처럼 생겼음.

방죽-배미『논』회산 앞에 있는 논. 방죽이 있음.

범-보『보』전촌 북쪽에 있는 보. 윗산이 범처럼 생겼다함.

범봇-들(들)범보의 물을 대어 농사짓는 들.

빈장폿-들『들』행정 위쪽에 있던 들. 불갑저수지의 물에 잠겼음.

새논-들『들』괭이봇들 밑에 있던 들. 불갑저수지의 물에 잠겼음.

수리-바우『바위』유봉 서쪽에 있는 바위. 수리(새)가 집을 짓고 살았음.

수문-골『골』회산 북쪽에 있는 깊은 골짜기.

수문골-약수『약』수문골에 있는 약물터.

안-골『골』전촌 동쪽안에 있는 골짜기.

옹-치(峙) 금계리에 있는 고개.

유-봉(酉峯)『마을』전촌 남쪽에 있는 마을.

유봉-들『들』유봉앞에 있는 들.

유봉-치(酉峯峙, 流峯峙)『고개』→ 홀루개재.

유-산(酉山)『마을』유봉과 회산에 걸쳐 있는 마을.

작은-골『골』전촌에서 유봉으로 가는 고개. 사전(私錢)을 만들었다 함.

전-촌(前村)『마을』행정 앞에 있는 마을,

전촌-재<전촌지>『고개』전촌 동남쪽에 있는 고개.

전촌-지(前村峙)『고개』→ 전촌재.

진-배미『논』꼬쟁이배미 위쪽에 있는 긴 배미의 논.

청룡-곡(靑龍谷)『골』→ 청룡골.

청룔-골(청룡곡)『골』유봉의 청룡(왼쪽)는 되는 산 밑에 있는 골짜기.

초리밧-골『골』유봉 동북쪽에 있는 큰 골짜기.

텃-골『마을』전촌 북쪽에 있는 마을.

행정(杏亭) <행정리>『마을』전촌 남서쪽에 있는 마을.

행정-리(杏亭里)『마을』→ 행정.

회산(回山)『마을』→ 유봉 남동쪽에 있는 마을.

홀루개-재<유봉치>『고개』유봉 동북쪽에서 묘량면 신천리로 넘어가는 고개.

 

녹산-리(鹿山里)『리』본래 영광군 불갑면의 지역인데, 1914년 행정 구역 폐합에 따라 하인리와 상인리, 갈록리, 덕산리의 각 일부와 서부면의 대천동의 각 일부 지역을 병합하여 갈록과 덕산의 이름을 따서 녹산리라 함.

가로(加老) <가로치>『마을』인산 북쪽에 있는 마을.

가로-리(加老里)『마을』→ 가루개.

가로-치(加老峙)『마을』→ 가루개.

가로-치(加老峙)『마을』→ 가로.

가로-치(加老峙)『고개』→ 가루갯재. 동쪽에 있는 마을.

가루-개<갈록치, 갈록리, 가로리, 가로치>『마을』후동 북동쪽에 있는 마을.

가루갯-재<갈록치, 가로치>『고개』후동 북동쪽에서 가루개로 넘어가는 고개. 목마른 사슴형의 명당이 있다 함.

가재-골『골』후동 동남쪽에 있는 골짜기. 가매장 터기 있었음.

갈록-리(渴鹿里)『마을』→ 가루개.

갈록-치(渴鹿峙)『마을』→ 가루개.

갈록-치(渴鹿峙)『고개』→ 가루갯재.

갈모-배미『논』인산 남쪽 복판에 잇는 논. 갈모처럼 생겼음.

감토-봉『산』옥녀봉(군 산천) 동쪽에 있는 산. 감투처럼 생겼음.

건네-안산『산』후동 남쪽에 있는 산.

관-동(?洞)『골』→ 한샛골.

구냇-갈『들』인산 동남쪽에 있는 들. 옛 냇갈(내)이었는데 한쪽은 불갑저수지의 물에 잠겼음.

궁갯-속『들』인산 남쪽에 있는 깊은 들.

궝-바탕『버덩』후동 동북쪽에 있는 버덩. 꿩치기(장치기)하였음.

노인-봉(老人峯)『산』인산 북쪽에 있는 산.

높은-논『논』갈모배미 동쪽에 있는 논.

눈-바우<와석>『바위』입석 동쪽에 있는 바위. 비스듬하게 있어 누워 있는 것 같음.

덕-산(德山)『마을』인산 서쪽에 있는 마을.

데성-배미『논』갈모배미 밑에 있는 논.

동매깃-재<동모깃재>『고개』인산 북쪽에 서 가루개로 넘어가는 고개.

동모깃-재『고개』→ 동매깃재.

동우-논『논』묵은배미 위쪽에 있는 논.

驕-등『등』후동 북쪽에 있는 등성이.

모-산(茅山)『마을』모산잇들에 있던 마을. 불갑저수지의 물에 잠겼음.

모산잇-들『들』인산 동쪽에 있는 들. 불갑저수지에 잠겼음.

묵은-배미『논』수미논 위쪽에 있는 논.

물-괭이『논』오리논 위쪽에 있는 논.

버십-배미『논』후동 앞에 있는 논.

불갑-저수지(佛甲貯水池)『저수지』인산 동쪽, 불갑산(군 산천)밑에 있는 저수지. 1926년 6월에 준공.

삼강-려(三綱閭)『집』아랫지정매에 있는 재실.

새-보『보』인산 서쪽에 새로 된 보.

새봇-들『들』인산 서쪽에 있는 들.

선가래-논『논』갈모배미 밑에 있는 논.

선가래-보『보』선가래논에 물을 대는 보.

선-들<입석>『들』후동 서쪽, 길가에 있는 들. 선바우 밑이 됨.

선-바우<입석>『바위』후동 남쪽 길가에 서 있는 바위. 높이 두 길쯤 됨.

선바우-모팅이『모롱이』후동 남쪽에 있는 모롱이. 건네안산 밑이 됨.

수랑굴-벙『둠벙』신팽들 수렁에 있는 둠벙.

수미-논『논』갈모배미 서쪽에 있는 논.

신팽-들『들』모산잇들 밑에 있던 들. 새로 된 들이 었으나 불갑저수지에 잠겼음.

아랫-지중매<아랫지정매>『마을』지정매 아래쪽에 있는 마을.

아랫-지중매『마을』→ 아랫지정매.

압청-당(壓淸堂)『정』삼강려 뒤쪽에 있는 정자.

양구수-논『논』→ 양수논.

양수구-논『논』→ 양수논.

양수-논<양구수논, 양수구논>『논』인산 앞에 있는 논. 두 골의 물을 받아 댐.

영사-당(映祠堂)『사당』압청당 동쪽에 있는 사당.

오리-논『논』선들 복판에 있는 논.

오산-터『들』신팽들 밑, 오산 앞에 있는 들.

오살-재『고개』인산 남쪽에서 안맹리 오사로 넘어가는 고개.

옥녀봉-재(玉女峯-)『고개』옥녀봉(군 산천)에 있는 고개. 안맹리로 넘어 감.

와-석(臥石)『바위』→ 눈바우.

왕굴샘(井) 녹산리에 있는 샘.

웃-재중매『마을』→ 웃지정매.

원숫-둠벙『마을』궁갯속 밑에 있던 둠벙.

인산(仁山, 因山)『마을』→ 지정매.

입구-논『논』양수논 밑에 있는 논.

입-석(立石)『바위』→ 선바우.

입-석(立石)『들』→ 선들.

장못-재『고개』후동 북쪽에서 가루개로 넘어가는 고개.

잿-보『보』입석 앞에 있는 보.

잿보-가래『논』잿보의 물을 대어 농사 짓는 논.

정씨-효열문(鄭氏孝烈門)『정문』삼강려 동쪽옆에 있는 정씨의 효열문.

주장-각『논』타성배미 서쪽에 있는 논.

중-보(中洑)『보』인산 서남쪽에 있는 보. 근처 보중에서 복판이 됨.

중봇-들『들』중보가 있는 들.

지정-매<지중매, 인산>『마을』녹산리에서 으뜸되는 마을.

지정맷-골『골』지정매 위쪽에 있는 골짜기.

지중-매『마을』→ 지정매.

진-논『논』갈모배미 북쪽에 있는 긴 배미의 논.

질마-배미『논』데성배미 밑에 있는 논. 질마(길마)처럼 생겼음.

침류-정(沈流亭)『정』아랫지정매 앞, 길가에 있는 정자.

타성-배미(他姓-)『논』입구논 밑에 있는 논 근처에 있는 논이 주로 유씨들의 소유인데, 이 논만은 타성바지의 것이었음.

텃-논『논』→ 튼논.

튼-논<텃논>『논』인산 서쪽, 어귀에 있는 논.

학-동(鶴洞)『골』→ 한샛골.

한샛-골<관동, 학동>『골』인산 서북쪽에 있는 골짜기. 황새가 잘 날아들었음.

홍-거리『논』선들에 있는 논. 흠통을 놓았음.

후-동(後洞)『마을』덕산 서북쪽에 있는 골짜기. 황새가 잘 날아들었음.

흐르-배기『논』인산 서남쪽에 있는 논.

 

모악-리(母岳里)『리』본래 영광군 불갑면의 지역인데, 1914년 행정 구역폐압에 따라 앵곡리, 강정리, 부흥리, 압수리, 회산리의 각 일부 지역을 병합하여 모악산(군 산천)밑이 되므로 모악리라 함.

강-병<강정>『마을』서당모퉁이 남쪽에 있는 마을.

강정『마을』→ 강병.

괴바우(岩) 모악리에 있는 바위.

구수-재<구수치>『고개』불갑사 남쪽에서 함평군 해량면 금계리로 가는 고개. 구수(구유)처럼 생겼음.

구수-재(九首峙)『고개』→ 구수재.

굴-바우『바위』앵곡 북쪽에 있는 바위. 밑에 굴이 있음.

굴박-골『골』→ 굴바우가 있는 골짜기.

나발-봉『산』앵곡 남쪽에 있는 산. 봉우리가 나발처럼 생겼음.

내오낭-골『산골』모악에 있눈 산골.

내원-암(內院岩)『골』수도암골 동쪽에 있는 골짜기. 내원암이 있었음.

늘-골『골』앵곡 서남쪽에 있는 밋밋한 골짜기.

늘-물<압수>『마을』사산 동쪽에 있는 마을.

다리-보『보』→ 달보.

달-보<다리보>『보』압수 북쪽에 있는 보. 다리 옆이 됨.

덕-고개『고개』→ 덕구개.

덕-구개<덕고개, 덫구개>『고개』불갑사 북쪽에서 묘량면 삼학리로 넘어가는 고개.

덫-구개『고개』→ 덕구개.

독소내(川) 모악에 있는 내.

독소내-보(洑) 모약에 있는 보.

동-구(洞口)『마을』→ 절골.

매잣-골『골』앵곡 서남쪽에 있는 골짜기.

맹두암-골<明頭菴골>『골』→ 해불암 북쪽에 있는 골짜기. 암자 명두암이 있었음.

무지개-둠벙(둠벙) 모암리에 있는 둠벙.

북치잣-골(伏稚-)『골』앵곡 동쪽에 있는 골짜기.

복-흥(復興)『마을』→ 사산.

불갑-사(佛甲寺)『절』앵곡 동쪽에 있는 절.

사-산(士山) <사장매, 복홍>『마을』앵곡 서북쪽에 있는 마을.

사장-매『마을』→ 사산.

삼송-대(三松臺)『대』불갑사 남쪽에 있는 대. 아름드리 소나무가 세 그루 있었음.

삼-정지『골』→앵곡 서쪽에 있는 골짜기. 세그루의 정지(정자) 나무가 있었음.

서당-골(書堂)『마사산 남쪽에 있는 마을. 서당이 있었음.

서당-모퉁이(書堂-)『마을』사산 남쪽에 있는 마을. 산모퉁이에 서당이 있었음.

수담-골『골』→ 수당골.

수당-골<수담골, 수도암골>『골』앵곡 남쪽에 있는 골짜기.

수도암-골『골』→ 수당골.

쌍갯-등『등』압수 북쪽에 있는 등성이. 비슷한 두 등성이가 나란히 있음.

압-수(押水)『마을』→ 늘물.

앵-곡(櫻谷)『마을』→ 절골.

오진암-뒷골(五眞岩-)『골』불갑사 동남쪽에 있는 골짜기. 오진암이 있었는데 그 뒤쪽이 됨.

외롱뎅이-보(洑) 모악리에 있는 보.

와양적-골<산골> 모악에 있는 산골.

왕속-골『골』매잣걸 동쪽에 있는 골짜기.

용-둠벙『소』→ 용소.

용-소(龍沼) <용둠벙, 용추>『소』해불암 서남쪽에 있는 소. 구수재 밑인데 용이 하늘로 올랐다 하며 날이 가물면 기우제를 지냄.

용-추(龍秋) → 용소.

일강비(碑) 임시정부 국무위원 金澈 碑

작은-늘골『골』늘골의 작은 골짜기.

작은-맹두암골『골』맹두암골의 작은 골짜기.

장군-바우『바위』불갑사 동북쪽, 장군봉에 있는 바위. 바위 위에 발자국이 나 있고 또 홈이 길게 패였는데, 힘센 장군이 발을 딛고 오줌을 눈 자국이라 함.

전인암-골『골』불갑사 동북쪽에 있는 골짜기. 전일암이 있었음.

전일암-터(日錢 日菴-)『터』전일암골에 있는, 불갑사에 딸린 암자 전일암의 터.

절-골<동구, 앵곡>『마을』압수 동남쪽에 있는 마을. 절이 있었음.

중-보(中洑)달보 밑에 있는 중간보.

진잠-골<진주암골>『골』앵곡 남동쪽, 불갑사에 있는 골짜기. 불갑사에 딸린 진주암이 있었다 함.

진주암-골(眞株菴-)『골』→ 진잠골.

참식-나무『천연기념물』앵곡 동쪽, 불갑산에 있는 참식나무. 예부터 불갑산에 저절로 자란 나무인데, 1942년에 발견하여 천연기념물 제112호로 지정 보호하는데, 6·25때 공비 토벌로 불에 탔으나 그 뒤 잘 보호하여 지금은 숲을 이루었음.

촛대-봉『산』앵곡 서쪽에 있는 산. 높이 400m.

큰-골『골』압수 북동쪽에 있는 골짜기.

큰-늘골『골』늘골의 큰 골짜기.

큰-맹두암골『골』맹두암골의 큰 골짜기.

타랫-골『골』수도암 북쪽에 있는 골짜기. 타래에 감아 놓은 실처럼 꼬불꼬불함.

팽풍-골『골』팽풍바우가 있는 골짜기.

팽풍-바우『바위』앵곡 서북쪽에 있는 바위. 팽풍(병풍)처럼 생겼음.

하-보(下洑)『버』중보 밑에 있는 보.

함적-골『골』앵곡 동쪽에 있는 골짜기. 함정처럼 깊숙함.

해불-암(海佛菴)『절』해불암 밑에 있는 골짜기.

 

방마-리(放馬里)『리』본래 영광군 불갑면의 지역인데, 1914년 행정 구역 폐합에 따라 신평리, 행정리, 박산리, 봉동리와 상인리, 삼목리의 각 일부 지역을 병합하여 방마산(군 산천) 밑이 되므로 방마리라 함.

괸-바우『바위』봉동 서쪽에 있는 바위.

구시-고개『고개』방마리에 있는 고개.

내신-고개『고개』→ 토성 고개.

느랏-골『골』박산 서쪽에 있는 골짜기.

당산-나무(堂山)『나무』봉동 동북쪽에 있는 팽나무. 당산제를 지냈음.

독점-골『골』여시굴 서북쪽에 있는 골짜기. 독점(옹기점)이 있었음.

두루-봉『산』봉동 서남쪽에 있는 산. 봉우리가 둥그렇게 생겼음.

뒷-고랑<뒷골>『골』봉동 뒤에 있는 골짜기.

뒷-골『골』→ 뒷고랑.

등잔-거리『골』박산 서쪽에 있는 골자기. 옥등 괘벽형(玉燈掛壁形)의 명당이 있다 함.

마당-배미『논』쌀고개 밑에 있는 논. 마당처럼 넓고 평평함.

망골-재『고개』봉동 서쪽에서 운제로 넘어가는 고개.

모-산(牟山)『마을』→ 모생이.

모새잇-방죽『못』모생이에 있는 못.

모-생이<모산>『마을』박산 북서쪽에 있는 마을.

박-매『마을』→ 박산.

박매줏-골『골』느랏골 서쪽에 있는 골짜기.

박-산(博山) <박매>『마을』방마리에서 으뜸되는 마을.

방마-골『골』박매 북쪽, 방마산에 있는 골짜기.

부엌-재(栽) 방마리에 있는 재.

봉-동(鳳洞)『마을』박산 동쪽에 있는 마을.

세-촌(細村)『마을』→ 쇠촌.

쇠-촌<세촌>『마을』봉동 동남쪽에 있는 마을.

신-평(新坪)『마을』모생이 서쪽, 새로 된 들옆에 있는 마을.

쌀-고개<쌀구개, 쌀국재>『고개』봉동에서 송정으로 가는 고개.

쌀곡-고랑『골』쌀고개 밑에 있는 골짜기.

쌀-구개『고개』→ 쌀고개.

쌀국-재『고개』→ 쌀고개.

쑥-재『재』방마에 있는 재.

암태-둠벙『논』용봉 동북쪽에 있는 논.

여시-굴『골』봉동 서쪽에 있는 골짜기. 여시(여우)굴이 있었음.

예미-둠벙『논』암태둠벙 위쪽에 있는 논.

외살-재『고개』방마리에 있는 고개.

외양-골『골』→ 왼골.

왼-골<외양골>『골』봉동 남쪽에 있는 골짜기.

큰-샘(井) 부춘에 있는 샘.

투구-바우(岩) 방마리에 있는 바우.

지름챗-골『골』박산 서북쪽에 있는 골짜기.

치마-바우(岩) 방마리에 있는 고개.

질마-재『재』방마리에 있는 재.

토성-고개<내신고개>『고개』방마리에 있는 고개.

행-정(杏亭)『마을』모생이 동북쪽에 있던 마을. 저수지에 잠김.

행정-굴(杏亭里)『골』행정 위쪽에 있는 골짜기.

 

부춘-리(富春里) <부실, 부곡, 부촌, 부춘>『리』본래 영광군 불갑면의 지역으로서 부실 또는 부곡, 부촌, 부춘이라 하였는대, 1914년 행정 구역 폐합에 따라 고장리, 오가리, 마산리와 회룡리, 시목리의 각 일부와 외간면의 구평리 일부를 병합하여 부춘리라 함.

가르-매『마을』→ 가오.

가오(佳五) <가르매>『마을』마산 서북쪽에 있는 마을.

강닝-골『골』부실 동남쪽에 있는 골짜기.

갱-변『들』가오 동쪽에 있는 들.

건너-『마을』회룡 북쪽 내 건너에 있는 마을.

고장-매『산』가오 북쪽에 있는 산.

눈-바우(岩) 부춘리에 있는 바우.

꼬지기-밭(田) 방마에 있는 논.

대합-들(大合-)『들』가오 북쪽에 있는 큰 들.

대합-보『보』대합들이 있는 큰 보.

도깨이-다랭이『논』부실 앞에 있는 논.

두적-동『산』→ 뒤적굴.

둠벙-배미『논』부실 밑에 있는 논.

뒤적-굴<두적동>『산』부실 서남쪽에 있는 산.

뒷-매『산』마산 뒤쪽에 있는 산.

똥매-산『산』가오 남쪽에 있는 산.

마-산(馬山)『마을』부실 동남쪽에 있는 마을.

먹수-보『보』먹숫들에 물을 대는 보.

먹숫-들『들』가오 남동쪽에 있는 들.

무제-봉『산』마산 동남쪽에 있는 산. 무제(기우제)를 지냈음.

배우-논『논』속골 북쪽 둠벙이 있는 논.

부-곡(富谷)『마을』→ 부춘리.

부-실『마을』→ 부춘리.

부실-고랑『골』부실 뒤쪽에 있는 골짜기.

부-촌(富村)『마을』→ 부춘리.

뿔당-골『골』서당매 위쪽에 있는 골짜기. 불당이 있었음.

삼각산-골『골』삼각산(군 산천)에 있는 골짜기.

삿갓-논『논』칠구배미 북족에 있는 작은 논.

새앙-논『논』지픈논 동쪽에 있는 논.

새주-논『논』접시배미 위쪽에 있는 논.

서당-매『산』부실 서쪽에 있는 산. 서당이 있었음.

소금쟁이-둠벙『둠벙』부실 동남쪽에 있는 둠벙.

속-『논』가오 동쪽에 있는 논.

속초-봉(束草峯)『산』→ 쑥구봉.

쑥구-봉(속초봉)『산』가오 서쪽에 있는 산.

연-둠벙『둠벙』부춘리에 있는 둠벙.

작은-골『골』뿔당골 위쪽에 있는 작은 골짜기.

접시-배미『논』도깨이다랭이 동쪽에 있는 논.

접-조개『둠벙』마산 북쪽에 있는 둠벙.

지픈-논『논』둠벙배미 남쪽에 있는 바닥이 깊은 논.

진-잔등『등』가오 서남쪽에 있는 긴 등성이.

칠구-배미『논』도깨이다랭이 북쪽에 있는 논.

큰-골『골』뿔당골 위쪽에 있는 큰 골짜기.

큰애기밭-둑『논』속골 위쪽에 있는 논.

터진-논『논』부춘 위쪽에 있는 논.

하가-둠벙『둠벙』도깨이다랭이 서쪽에 있는 둠벙.

하가-밭『마을』부실 동쪽에 있는 마을.

하개-배미<하씨논>『논』도깨이다랭이 서쪽에 있는 논. 하씨의 소유였음.

하씨-논『논→ 하개배미.

한-샘『우물』속골 남쪽에 있는 큰 샘. 항아리를 묻었음.

황수-논『논』도깨이다랭이 서쪽에 있는 논.

회룡(回龍)『마을』부실 동쪽에 있는 마을. 회룡고조형(回龍顧祖形)의 명당이 있다 함.

 

생곡-리(生谷里) <생실, 생곡, 봉촌>『리』본래 영광군 불갑면의 지역으로서, 큰샘이 있으므로 생실 또는 생곡, 봉촌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 구역 폐합에 따라 취성리, 광동리, 물가리, 시목리, 녹동리의 각 일부지역을 병합하여 생곡리라 함.

가낭-굴『골』생실 서쪽에 있는 골짜기.

가루갯-재<갈록>『고개』생실에서 뒤적굴로 넘어가는 고개.

갈록(渴鹿)『고개』→ 가루갯재.

강낭-골『마을』→ 시목정.

고라-실『들』생실 앞에 있는 마을.

고라-실(村) 생곡에 있는 마을.

광-동(光洞)『마을』생실 동남쪽에 있는 마을.

녹-동(鹿洞)『마을』생실 동북쪽에 있는 마을.

덤-바우『바위』물가정에 있는 바위.

도리-작업『골』얼청잇재 북서쪽에 있는 골짜기.

도장-매『산』생실 동북쪽에 있는 산.

둥-갱이『골』우렁굴 남쪽에 있는 골짜기.

뒤적-굴『골』녹동 서쪽에 있는 골짜기.

뒤적굴-포강『못』물가정 동쪽에 있는 못.

무릉사-터『터』얼청잇재 밑에 있는 터.

물가-정(勿柯亭)『마을』생실 남쪽에 있는 마을.

물가정-재<서당재>『고개』생실에서 물가정으로 넘어가는 고개.

방동굴-재『고개』점안 동쪽에 있는 골짜기.

방애적-굴『골』참샘골 북서쪽에 있는 골짜기.

번척-굴『골』욧굴 북쪽에 있는 골짜기.

병풍-바우(岩)『바위』생곡리에 있는 바우.

봉-촌(鳳村)『마을』→ 생곡리.

불무-청『마을』시목정 위쪽에 있는 마을. 쇠불무간이 있었음.

삼-객『마을』봉촌 서쪽에 있는 마을.

삼천엔-굴『골』생실 남쪽에 있는 골짜기.

새암-골『들』고라실 남쪽에 있는 들.

생-곡(生谷)『마을』→ 생곡리.

생-실『마을』→ 생곡리.

서당-재(書堂-)『고개』→ 물가정.

송도리-재『고개』번척굴 동쪽에 있는 고개.

송도리잿-골『골』번척굴 동쪽에 있는 골짜기.

시리-봉『산』자래봉 남쪽에 있는 산.

시목(枾木)『마을』생실 동북쪽에 있는 마을.

시목-정<강남골>『마을』녹동 북쪽에 있는 마을.

쌍-샘『우물』뒤적굴에 있는 샘. 쌍으로 있음.

얼청잇-재『고개』방애적굴 서북쪽에 있는 고개.

얼청잇재-재『골』얼청잇재가 있는 골짜기.

여수-굴『골』→ 여술.

여-술<여수굴>『골』물가정 서쪽에 있는 골짜기. 여수(여우)굴이 있음.

외양-굴『골』지게작압 서북쪽에 있는 골짜기.

욧-굴『골』외양굴 북쪽에 있는 골짜기.

우렁-굴『골』뒤적굴 남쪽에 있는 골짜기.

자래-봉『산』창대봉 남쪽에 있는 산.

점-안(店-)『골』여술 남쪽에 있는 골짜기. 옹기점이 있었음.

점안-못『못』점안에 있는 못.

지게-작압『골』도리작압 동쪽에 있는 골짜기.

진-등『등』봉암 서쪽에 있는 긴 등성이.

진등-재『고개』진등에 있는 고개.

참샘-골『골』함배밋재 북쪽에 있는 골짜기.

창대-봉『산』애미산(군 산천) 남쪽에 있는 산.

취성(聚星)『마을』생실 서북쪽에 있는 마을.

함배밋-재『고개』생실 서남쪽에서 군남면 대덕리의 한배미로 넘어가는 고개.

한배밋잿-골『골』한배밋재가 있는 골짜기.

 

순룡-리(順龍里)『리』본래 영광군 불갑면의 지역인데. 1914년 행정 구역 폐합에 따라 상림리, 순량동, 용두리와 회화리, 용산리의 각 일부와 외간면의 구평리 일부 지역을 병합하여 순량과 용두재의 이름을 따서 순룡리라 함.

구수-둠벙『둠벙』용매 남쪽에 있는 둠벙. 구수(구유)처럼 생겼음.

궁-개『들』새바지 북쪽에 있는 들.

대문-밭『들』중들 동남쪽에 있는 들.

대합-보『보』용머리 앞에 있는 보.

대합봇-들『들』대합보의 물을 대어 농사 짓는 들.

도천제-바우『바위』용매 동쪽에 있는 바위.

도천제-바우『바위』초장골 어귀에 있는 바위.

등영-재(登瀛齋)『집』용매에 있는 재실.

만두-논『논』중들 동쪽에 있는 논. 소출이 많이 남.

모정-등『등』용매 동남쪽에 있는 등성이. 모정이 있었음.

바우-배기『논』용머리 앞에 있는 논. 바위가 있음.

벙거지-배미『논』용매. 벙거지처럼 생겼음.

분산-골(紛山-)『골』용매 서쪽에 있는 골짜기.

불갑-천(佛甲川)『내』용두 동남쪽에 있는 내.

삼수-논『논』용전 앞에 있는 논.

삼수-보『보』삼수 논에 물을 대는 보.

삼형지-둠벙『둠벙』삿갓둠벙 위 동쪽에 있는 둠벙. 세 개가 나란히 있음.

삿갓-둠벙『둠벙』구수둠벙 위쪽에 있는 둠벙.

상-촌(上村)『마을』→ 웃뜸.

새-바지『들』용매 동쪽에 있는 들.

샘-둠벙『둠벙』월산 서쪽에 있는 마을.

선-가래『논』용머리 위쪽에 있는 논.

선량-등(善良-)『등』용전 동쪽에 있는 등성이.

송치-둠벙『둠벙』용산 남쪽에 있는 둠벙.

순량(順良) <순량골>『마을』순룡리에서 으뜸되는 마을.

순량-골『마을』→ 순량.

순룡-교(順龍橋)『다리』순량 동북쪽에 있는 다리. 1929년 준공.

신해년-둠벙『둠벙』순량 서쪽에 있는 둠벙.

아랫-뜸<하촌>『마을』순량 아래쪽에 있는 마을.

언-너매『논』용매 남쪽에 있는 논.

연덩갯-재『고개』월산에서 용산으로 넘어가는 고개.

용-계『마을』→ 용산.

용두-재<용두치>『고개』→ 용머리.

용두-치(龍頭峙)『고개』→ 용두재.

용-매『마을』→ 용산.

용-머리『산』용머리 서쪽에 있는 산.

용머릿-등『등』용머리 서쪽에 있는 등성이.

용-산(龍山) <용매, 용계>『마을』순량 동쪽에 있는 마을.

용전-앞『들』용전 앞에 있는 들.

웃-뜸<상촌>『마을』순량 위쪽에 있는 마을.

원정-보『보』용매 동쪽에 있는 보.

월-산(月山)『마을』순량 위쪽에 있는 마을.

이태기『들』용매 동남쪽에 있는 들.

장사래-들(野) 순용리 들.

작은-초장골『골』초장골의 작은 골짜기.

장탯-걸『들』용매 동남쪽에 있는 들. 선들장이 섰었음.

서쪽-골<산골> 순용에 있는 골.

중-들『들』용매 남쪽에 있는 들.

지턱-배미『논』용매 서남쪽에 있는 논.

초장-골『골』용매 동쪽에 있는 골짜기.

칠기-둠벙『둠벙』용전 남쪽에 있는 둠벙.

하-촌(下村)『마을』→ 아랫마을.

홈-배미『논』용매 서남쪽에 있는 논.

흥-거리『논』흠배미 동쪽에 있는 논.

황수-논『논』선가래 남쪽에 있는 논.

 

쌍운-리(雙雲里)『리』본래 영광군 불갑면의 지역인데, 1914년 행정 구역 폐합에 따라 운제리, 운흥리, 회복리의 일부 지역을 병합하여 운제와 운흥의 이름을 따서 쌍운리라 함.

고들-재『고개』와웃제 북쪽에 있는 고개.

고라-실『들』→ 고래.

고래<고라실>『들』회복 앞에 있는 들.

고리짝-바우『바위』돔밧골에 있는 바위.

내산-골『골』산직골 북쪽에 있는 골짜기. 강수운보가 있음.

내산-서원(內山書院)『고적』쌍운리에 있는 서원.

돔밧-골『골』와웃제 동쪽에 있는 골짜기.

동고릿-걸『논』운제 동북쪽에 있는 논.

두루-봉『산』송정 북쪽에 있는 산. 봉우리가 둥그렇게 생겼음.

뒷굴-샘『우물』운제 뒤쪽에 있는 샘.

망-골『골』고들재 남쪽에 있는 골짜기.

모정-내『산』운흥 서쪽에 있는 산.

방죽-밑『들』밭둑 남쪽에 있는 들. 방죽이 있었음.

사지-암『골』돔밧골 동쪽에 있는 골짜기.

산직-골『골』송닥골 동쪽에 있는 골짜기.

싹-고개『고개』쌍운리에 있는 재.

새쟁잇-고랑『골』송정 남서쪽에 있는 골짜기.

새텃-굴『골』회복 북서쪽에 있는 골짜기.

새텃굴-포강『못』새텃굴에 있는 못.

선-들(野) 쌍운리 들.

생-걸『논』운제 남동쪽에 있는 논.

섬-배미『논』동고릿걸 동쪽에 있는 논.

송닥-굴『골』회복 서북족에 있는 골짜기.

송덕굴-방죽『못』송정 서쪽에 있는 못.

송-정(松亭)『마을』회복 남쪽에 있는 마을.

수랑-걸『들』운제 동쪽에 있는 들. 수랑(수렁)이 있음.

수문-골『골』새쟁잇고랑 동남쪽에 있는 골짜기.

우복-골『산골』쌍운에 있는 골.

와웃-재『고개』큰골 남쪽에 있는 고개.

외양-골『골』사지암 동쪽에 있는 골짜기.

운-제(雲堤)『마을』송정 동북쪽에 있는 마을.

운-흥(雲興)『마을』운제 서쪽에 있는 마을.

일곱-마지기『논』송정 동쪽에 있는 논.

작은-골『골』수문골 동남쪽에 있는 골짜기.

장구-배미『논』운제 앞에 있는 논.

조마구『둠벙』송정 앞에 있는 둠벙.

조산-봉(造山峯)『산』산직골 동남쪽에 있는 작은 산.

질맷잘-마지『논』섬배미 밑에 있는 논.

질안-못『못』운제 동쪽에 있는 못.

차-바우『바위』회복에 있는 바위

큰-골『골』작은골 남동쪽에 있는 큰 골짜기.

토성-재(土城-)『고개』산직골에서 방마리 박산으로 넘어가는 고개. 토성이 있었음.

회복(回福)『마을』송정 북쪽에 있는 마을.

 

안맹-리(顔孟里)『리』본래 영광군 불갑면의 지역인데, 1914년 행정 구역 폐합에 따라 오사리, 맹자리, 안정리와 용산리, 회룡리, 상원리, 회복리의 각 일부지역을 병합하여 안정과 맹자의 이름을 따서 안맹리라 함. 불갑면 소재지로 단협, 지서, 우체국 학교등이 있음.

가잿-골『골』둥우리봉 북쪽에 있는 등성이, 가재처럼 생겼음.

녹동-배미『논』안정 앞에 있는 논.

독-보(獨步)『보』오사 서쪽에 있는 보.

돼지-보『보』북돗보 밑에 있는 보.

매생잇-보『보』맹자 앞에 있는 보.

맹자(孟子) <맹자정>『마을』안정 동쪽에 있는 마을.

맹자-정(孟子亭)『마을』→ 맹자.

메물-보『보』돼지보 밑에 있는 보.

문적-보『들』안정 동북쪽에 있는 들.

문필-산(文筆山)『산』맹자 남쪽에 있는 산. 안정 서쪽에 있는 골짜기.

방두굴-재『고개』바우 안고랑 위에 있는 고개.

방맷-골『골』산밑 북쪽에 있는 골짜기.

밭밑-보『들』안정 남쪽에 있는 들.

버드깃-보『들』안정 동쪽에 있는 보. 버드나무가 많았음.

복덕-보『보』→ 복돗보.

북돗-보<복덕보>『보』방맷골 서쪽에 있는 보.

빽주-산『산』산밑 남쪽에 있는 죽한 산.

산-밑『골』오미산 밑에 있는 골짜기.

새초장『산』오사 북쪽에 있는 산.

신수당-밑『마을』오미산 동쪽에 있는 마을. 신사당이 있었음.

신수?당-밑『골』오미산(군 산천) 동쪽에 있는 골짜기.

안-정(安亭)『마을』오사 서남쪽에 있는 마을.

앞-논『논』안정 앞에 있는 논.

오사(五沙)『마을』안정 동북쪽에 있는 마을.

옥녀-봉(玉女峯)『산』→ 옹기봉.

옥녀-봉(玉女峯)샘『우물』→ 옹기봉샘.

옹기-봉<옥녀봉>『산』오미산 북쪽에 있는 산.

옹기봉-샘<옥녀보샘>『우물』옹기봉에 있는 샘.

장구-논『논』늑등배미 위쪽에 있는 논. 장구처럼 잘록하게 생겼음.

장구-보『보』버드깃버 밑에 있는 긴 보.

한질-보『보』밭밑보 밑에 있는 보.

회룡(回龍)『마을』안정 서북쪽에 있는 마을.

 

우곡-리(牛谷里)『리』본래 영광군 불갑면의 지역인데, 1914년 행정 구역 폐합에 따라 보냉리, 월곡리, 와우리와 와촌리의 각 일부를 병합하여 와우와 월곡의 이름을 따서 우곡리라 함.

가는-재『재』우곡리에 있는 재.

가는재잇-들『들』→ 간잿들.

가는-징이『골』지경재와 연봉 사이에 있는 골짜기.

간잿-들<가는재잇들>『들』→연봉 서남W고에 있는 들.

갓-바우(岩) 우곡리에 있는 바우.

괘-바우『바위』국사봉 서쪽에 있는 바위. 고양이가 앉은 모양임.

괴-바웃등『등』괘바우가 있는 등성이.

구봉-산(九峯山)『산』월곡 동쪽에 있는 산.

국사-봉(國師峯)『산』연봉 동쪽에 있는 산.

국사봉-바우『바위』국사봉 위에 있는 바위.

금편-평『들』→ 쇠팬잇들.

도룡-굴『골』불당골 북쪽에 있는 골짜기.

독시암-걸『골』용송골 남쪽에 있는 골짜기. 물방아가 있었음.

바람나뭇-골『골』인선들 동북쪽에 있는 골짜기. 물방아가 있었음.

베락-바우『바위』용송골 서남쪽에 있는 바위.

복형『마을』월곡 서쪽에 있는 마을.

불당-골(佛堂-)『골』왁골 북쪽에 잇는 골짜기. 불당이 있었음.

사패낭-골(山谷) 우곡리에 있는 산골.

새편앞-골『골』쭉구갯골 서쪽에 있는 골짜기.

서당탯-굴『골』연봉 동쪽에 있는 골짜기. 서당이 있었음.

선-바우『바위』용송골 동북쪽에 있는 바위.

쇠재잇-골『골』바람나뭇골 서남쪽에 있는 골짜기.

쇠팬잇-들<금편평>『들』연봉 서쪽에 있는 들.

수두-굴『골』연봉 서남쪽에 있는 골짜기.

신상(新上)『마을』운산촌 서쪽에 있는 마을.

심척-굴『골』큰덕굴 북쪽에 있는 골짜기.

아나-굴<안란동>『골』지추골 남쪽에 있는 골짜기. 마을이 있었음.

안란-동(雁卵洞)『골』→ 아나골.

연방죽-골『골』연봉 남서쪽에 있는 골짜기.

연-봉(蓮峯)『마을』월곡 서북쪽에 있는 마을.

와-우(臥牛)『마을』월곡 동쪽에 있는 마을.

왁-골『골』와우 동쪽에 있는 골짜기.

용-구녕『바위』우곡리에 있는 바위. 용이 빠져 나왔다는 구녕(구멍)이 있음.

용송-골『골』연봉 서쪽에 있는 골짜기.

용송-골『골』용송골에 있는 들.

운산-촌(雲山村)『마을』와우 서쪽에 있는 마을.

월-곡(月谷)『마을』와우 서쪽에 있는 마을.

인산-들<입석동평>『들』선바우가 있는 들.

입석동-평(立石洞坪)『들』→ 인선들.

장구밭-굴『골』아나굴 남쪽에 있는 골짜기.

장구-배미『논』용송골에 있는 논.

재나-굴『골』연봉 북쪽에 있는 골짜기.

중산-굴『골』도릉굴 북쪽에 있는 골짜기.

지경-재<지경치>『고개』연봉 서남쪽에 있는 고개.

지경-치(地境峙)『고개』지경재.

지추-골『골』쇠재잇골 남쪽에 있는 골짜기.

진두-굴『골』연봉 서북쪽에 있는 골짜기.

질마-봉『산』인선들 남쪽에 있는 산.

쭉-구개『고개』월곡에서 함평으로 넘어가는 고개.

쭉구갯-골『골』장구밭굴 남쪽에 있는 골짜기.

한평잇-재『고개』와우 서남쪽에 있는 고개.

 

응봉-리(鷹峯里)『리』본래 영광군 불갑면의 지역인데, 1914년 행정 구역 폐합에 따라 봉암리, 호촌리, 녹동리의 각 일부 지역을 병합하여 응봉산의 이름을 따서 응봉리라 함.

가는-굴『들』갈모배미 위쪽에 있는 들.

갈모-배미『논』가는굴 어귀에 있는 논. 갈모처럼 생겼음.

갓-굴『골』지픈굴 북쪽에 있는 골짜기.

굼밧-굴『골』안댓굴 서쪽에 있는 골짜기.

당수-배미『논』봉암못 위쪽에 있는 논.

대산-굴『골』봉암 남쪽에 있는 골짜기.

뒷-굴『골』봉암 뒤쪽에 있는 골짜기.

뒷-등『등』봉암 뒤쪽에 있는 등성이.

등-논『논』봉암 서남쪽에 있는 논.

딱밭-재『고개』봉암에서 와촌으로 넘어가는 고개. 밑에 딱(닥)밭이 있었음.

마당-배미『논』서당골에 있는 논, 타작 마당이었음.

매봉-산<응봉, 매봉산>『산』응봉리 복판에 있는 산.

매봉-재『산』→ 매봉산.

물가정-재『고개』봉암 서쪽에 있는 골쩌기. 방죽이 있음.

복령-재<복령치>『고개』봉암 동남쪽에 있는 고개.

복령-치(伏嶺峙)『고개』봉령재.

봉암(鳳岩)『마을』매봉산 북쪽에 있는 마을.

봉암-못『못』봉암 앞에 있는 못.

불당-굴(佛堂-) 용성굴 서북쪽에 있는 골짜기. 절이 있었음.

비선-등(飛仙-)『등』옥천동 위쪽에 있는 등성이.

사장-등(射場-)『등』대산굴 위쪽에 있는 등성이. 활터였음.

사착-굴『골』포탯굴 서쪽에 있는 골짜기.

서당-골(書堂-) <서당촌>『들』봉암 남서쪽에 있는 들. 서당이 있었음.

서당-촌(書堂村)『들』→ 서당골.

솔대-배미『논』한강샘 서북쪽에 있는 논.

쇠더-굴『골』지픈굴 밑에 있는 골짜기.

수랑-굴『들』봉암 서남쪽에 있는 들. 수랑(수렁)이 있음.

신-촌(新村)『골』봉암 남쪽에 있는 골짜기.

안-골『골』지아물 안쪽에 있는 골짜기.

안댓-굴『골』포탯굴 서쪽에 있는 골짜기.

오가리-샘『우물』와촌 앞에 있는 샘.

외-배미(沓) 응봉에 있는 논.

옥천-동(玉川洞)『마을』봉암 남쪽에 있던 마을.

와-촌(瓦村)『마을』→ 지아물.

용구녕-바우『굴』굼밧굴에 있는 굴.

용성『마을』응봉리에 있는 마을.

용성-굴『골』→ 굼밧굴 서쪽에 있는 골짜기.

용수-샘『우물』한강샘 북쪽에 있는 샘.

웃-뜸『마을』봉암 위쪽에 있는 마을.

응-봉(鷹峯)『산』→ 매봉산.

장구-배미『논』참남등에 있는 논. 장구처럼 잘록하게 생겼음.

잿-밭『밭』봉암 남쪽에 있는 밭.

지아-물<와촌>『마을』봉암 동남쪽에 있는 마을. 기와막이 있었음.

지픈-굴『골』불당골 북쪽에 있는 깊은 골짜기.

참남-등『등』봉암 서쪽에 있는 등성이. 참나무가 많았음.

초붕-굴『골』봉암 서북쪽에 있는 골짜기. 초분(초빈)이 있었음.

포탯-굴『골』대산굴 서쪽에 있는 골짜기.

한강-샘『우물』봉암 앞에 있는 샘.

 

자비-리(自?里)『리』본래 영광군 불갑면의 지역인데, 1914년 행정 구역 폐합에 따라 단산리, 평정리, 장등리, 노음리, 삼수리 일부 지역을 병합하여 자비사의 이름을 따서 자비리라 함.

가맷-골『골』노은 동쪽에 있는 골짜기. 가매(가마)솥 안처럼 우묵함.

강씨-재실(姜氏齋室)『집』단산 쪽에 있는 강씨의 재실.

갱변『들』→ 갱븐.

<갱변>『들』마구촌 위쪽, 개울가에 있는 들.

고들-재『고개』단산 서북쪽에서 쌍운리의 운제로 넘어가는 고개.

관람정-골(觀覽亭-)『들』삼수 동쪽, 골짜기에 있는 들.

광대-곡(광대곡)『골』→ 광대골.

광대-골<광대곡>『골』삼수 서남쪽에 있는 골짜기. 광대놀이를 하였음.

나발-봉『산』단산 앞에 있는 산. 나발처럼 생겼음.

노은『마을』→ 논등.

노음-리(老陰里)『마을』→ 논등.

논-등<노은, 노음리>『마을』단산 남쪽에 있는 마을.

단산(丹山)『마을』→ 단산쟁이.

단산-재『고개』삼수 동쪽에서 단산으로 넘어가는 고개.

단산-쟁이<단산, 단산정>『마을』삼수 동남쪽에 있는 마을.

단산-정(丹山亭)『마을』→ 단산쟁이.

당그래-산『산』단산 남쪽에 있는 산. 당그래(고무래)처럼 생겼다 함.

당산-모팅이(堂山-)『들』삼수 동북쪽에 있는 들. 모퉁이에 있는데 당산제를 지냈음.

독-방천『들』말뚝이머시 동쪽에 있는 들. 독(돌)으로 쌓은 방천(뚝)이 있었음.

독새냇-보『보』갱븐 북쪽에 있는 보.

등-밭『들』말쭉이머시 북쪽에 있는 들.

땟고-산<태고봉>『산』삼수와 단산사이에 있는 산.

마구-청『들』→ 마구촌.

마구-촌<마구청>『들』단산 동북쪽에 있는 들.

말뚝이-머시<말뚝이모시>『들』삼수 북쪽에 있는 들. 땅이 물러서 논둑이 잘 무너지므로 말뚝을 박고 쌓았음.

말뚝이-머시『들』→ 말뚝이머시.

부-동(釜洞)『골』→ 가맷골.

부엌-재『고개』노은 남쪽에서 함평군 해보면 광암리로 넘어가는 고개.

사기적-골『골』단산 동쪽에 있는 골짜기. 사기 그릇을 만드는 사기점이 있었음.

살밭-들<육전>『들』단산 동쪽에 있는 들. 땅이 살처럼 돌이 없는 황토로 되었음.

삼수(三水)『마을』노은 서북쪽에 있는 마을.

성적-골『골』사기적골 북쪽에 있는 골짜기.

솔대-배기『들』양수바지 위쪽에 있는 들. 조선 고종 때 강 민수(姜敏秀)가 진사에 급제하여 솔대(솟대)를 세웠음.

양달『마을』삼수 양달쪽에 있는 마을.

양수-바지(兩水-)『들』단산 북쪽에 있는 들. 두 곳의 물을 받아 댐.

외양-골『골』당그래산 뒤쪽에 있는 골짜기.

원모-재(遠慕齋)『집』삼수에 있는 광산 김씨의 재실.

육-전(肉田)『들』→ 살밭들.

윷판-골『골』삼수 동남쪽에 있는 골짜기. 윷판을 놓고 윷놀이를 하였다 함.

자비사-터『터』재비동새 밑에 있는 옛절 자비사의 터. 지금은 그 자리에 외딴집이 있음.

작은-기맷골『골』가맷골의 작은 골짜기.

장구-배미『논』고들재 밑에 있는 논, 장구처럼 잘록하게 생겼음.

장등-리(長嶝里)『마을』→ 진등.

재비동-재『고개』→ 우곡리의 재비동재.

재비-봉『산』삼수 남쪽에 있는 산.

진-등<장등리>『마을』논등 북쪽 진(긴)등성이에 있는 마을.

찬-새미『우물』윷판골 북쪽에 있는 샘. 매우 찬물이 나옴.

참샛-골『골』찬새미가 있는 골짜기.

큰-가맷골『골』가맷골의 큰 골짜기.

태고-봉(太古峯)『산』→ 땟고산.

평-정<평정리>『마을』진등 북쪽에 있는 마을. 정자나무가 있었음.

평정-리(平亭里)『마을』→ 평정.

 
다음검색
댓글
  • 08.04.02 22:14

    첫댓글 고향이면서도 자세히 모르고 지냈는데 이렇게 뜻과 장소를 새롭게 알고나니 참 좋아용 ..새로운 소식 접했네요..^^*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