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하이렌터카 렌트여기입니다.
어느 드라마에 의해 더 많은 주목을 받게 된 색약.
색약과 색맹의 차이는 무엇일까요?
색맹 색약이 있어도 운전면허 취득이 가능할까요?
색약과 색맹
눈이 색상을 보는 것은 적색, 녹색, 청색의 빛의 3원색의 원리에 기반합니다.
이 3원색이 색상을 감지하는 원추세포와 간상세포를 자극하여
다양한 색상을 볼 수 있게 하는 것입니다.
이때 원추세포의 기능이 약해 색 분별 능력이 떨어지는 것이 색약,
세가지 원추 세포 중 어느 하나의 세포가 결손되어 있다면
색맹으로 나타나게 됩니다.
색약 색맹 발생
색약과 색맹은 염증, 녹내장, 망막혈관질환, 뇌종양 등
다양한 후천적 이유로 발생할 수 있지만
반성 열성유전으로 인해 선천적인 경우가 많습니다.
색을 인식하는 유전자가 X 유전자에 있는데
여성의 경우 XX유전자 모두 열성인 경우에 색약, 색맹이 발생하고
남성의 경우 X유전자 하나만 열성인 경우에도 색약, 색맹이 발생하기 때문에
색약, 색맹자의 비율은 남성이 더 높습니다.
색약 색맹자의 운전
색약, 색맹자는 색을 구분하기 어렵기 때문에
운전면허를 취득하지 못한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고
운전면허를 취득할 때 건강검진에서
색약 테스트가 있는 만큼, 색을 분별하는 능력은
운전 시 매우 중요하게 작용하는 부분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색약, 색맹자라고 하여 운전면허를 취득할 수 없는 것은 아닙니다.
운전면허 취득
건강검진 시 색각 검사표에서 색을 구분하지 못하면
실제 신호등을 앞에 두고 적색, 황색, 녹색으로 바뀌는 것을
구분할 수 있는지에 대한 3색등화 테스트를 진행합니다.
색 구별이 되지 않는다고 해도 신호가 바뀌는 것을 구분할 수 있다면
문제없이 운전면허를 취득할 수 있습니다.
색맹자도 밝기 차이 등으로 신호를 구별할 수 있으므로
운전면허 취득이 가능합니다.
색약, 색맹자를 배려하기 위해 신호에 파란색 파장을 섞는 등
점점 변화가 되고 있습니다.
서로 안전한 운전을 하기 위해 색약, 색맹을 가진 분들도
신호 구분, 도로 표지판 숙지 등 안전수칙을 지키는 것이 좋습니다.
이상, 렌트여기 하이렌터카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