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글 본문내용
|
다음검색
"중력가속도 측정 실험" 원래는 그냥 보고서 숙제여서, 배끼고 말지.. 했던건데, 인터넷에서 찾아보면서, 이렇게 많은 실험들이 있구나 싶고, 혹시, 여기 계신분들중에 더 창의적인 방법을 가지고 계시지 않을까 싶어서, 일단 고등학교 과정에서 중력가속도를 측정할수 있는 방법에, 역학쪽에선, 1. 자유낙하 2. 단진자 3. 구심력 4. 빗면 5. 역학수레 이정도라고 생각되는데요, 일단 제가 해결한것은, 자유낙하, 추를 낙하시키는것을 이용했는데요, v=gt, 이식을 이용했습니다. 무리는 없을테지요? 이실험은 제일 보편적인것이더군요, 다음 단진자도 주기 구하는공식에서 g를 구하는 식을 유도하는데, http://heebok.kongju.ac.kr/experiment/home.html 이 사이트에서 단진자, 역학수레를 이용한 중력가속도 측정에 대해 참고했는데요, 한번보시고, 단진자 부분에서 1+r , 1-r을 측정한 이유, 그런것좀 알려주시구요, 역학수레 이부분에서, 그림도 없고 무슨소린지, 그냥 간단하게 설명해주실분 안계십니까? 위에는 사설이였구요, 자유낙하를 제외한, 중력가속도방법을 알고 계신분들, 물2, 까지의 범위내에서요, 좀더 창의적인 부분도 알려주시구 위에 제시한것들중에도 아시는건 자세히 설명좀, 그리고 실험관련한 사이트 아시는분 가르쳐 주셨으면 감사하겠습니다. 부탁드립니다. |
첫댓글 이거 보자 마자 생각핸것이.. 물방울 떨어 뜨리는 실험(자유낙하죠..)을 생각 했음..
토크로 구하는 방법;;
정확한 체중계로 질량이 1kg 인 물체를 잴때 나오는 양이 그 지점에서의 중력가속도 입니다... 즉...체중계를 이용한...-_-;;;;;;;
창의적으로 새로운 방법을 모색하는 것 못지 않게 창의적으로 오차를 줄이는 방법이 훨씬 더 중요하죠... 기존의 방법에서 오차를 줄이는 것을 모색하는 것도... 쉽지 않을 껄요... 평균이 9.81 m/s²이 되기 힘들겁니다. 정확한 방법을 연구하지 않으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