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예성산(禮成山362m).깃대봉(383m).앞산(131m).입매봉(226m).가둠산(277m).옥녀봉(410m)/전남화순
산행일자;2022년 09월22일(목). 날씨; 맑음.
산행거리;19.6km(실산행;예성산5.5km.옥녀봉4.8km=10.3km +춘양면 가봉리 그린펜션~ 청풍면 차리마을회관까지 택시이동9.3km)
산행시간;4시간50분(실산행 4시간30분 +택시콜후 이동20분 포함)
교통편;안내산악회 강송 개천산 따라가 개인산행
비용;40,000원(하산후 현지식당 식사제공 비용포함)+택시이동비;23,520원
산행코스(예성산) ;남덕동 버스정류장-남덕교- 임도 -태양광발전단지 끝- 임도- 계곡길-능선안부-깃대봉-예성산-통천문-경전선철로 갓길-그린랜드수영장& 펜션
택시이동; 능주택시콜(이동비용;23,520원 능주에서 오는 비용13,250원 포함금액 /소요시간;대기10분후 이동10분/이동거리 9.3km;그린랜드수영장& 펜션~차리마을회관 앞산 3거리)
산행코스(옥녀봉) ; 차리마을 회관- 임도3거리- 앞산- 서당고개-개척능선길-입매봉-능선3거리-가둠산 왕복-능선3거리-345 바위봉- 351봉-401봉-옥녀봉-좌측능선-345봉- 개척길-임도-포장농로-내촌마을 주차장
■예성산( 禮成山362m)은 전라남도 화순군의 남부 춘양면 가봉리와 청풍면 풍암리 경계에 있는 산이다. 『신증동국여지승람』과 『여지도서』에 "관아의 남쪽 15리에 있다. 옛 성터가 남아 있는데, 왜적을 막기 위해서 쌓았기 때문에 이렇게 이름 지은 것이다. 화악산에서 뻗어 나온다."라고 기록하고 있다. 『해동지도』에 왜성산으로 기재되어 있고, 『대동여지도』에는 천태산에서 동쪽으로 뻗은 산줄기 끝에 왜성(倭城)이 표기되어 있다. 『대동지지』에 "고성(古城)은 남쪽으로 15리에 있으며 고려 시대에 왜적을 방어하기 위하여 축성하였으므로 왜성이라 이름 하였다. 돌로 축조한 성벽의 터가 남아 있다."라고 수록되어 있다. 현재는 왜성을 예성산성이라고 부르는데, 보성쪽에서 능주로 올라가는 길목에 위치하고 있어서 전략적으로 중요한 방어성으로 추정된다.
전라남도 화순군 춘양면과 청풍면 경계에 있는 산성. 산성은 산세를 따라서 산에 쌓은 성으로 특히, 우리나라에서 잘 발달되어 현재 중부 이남에만 1,200여 개의 산성터가 남아 있다. 산성은 평상시에 군창(軍倉)을 두고 여기에 곡식과 무기를 준비하여 두며, 적이 침입하여 오면 평지의 주민들을 모두 들어오게 하여 농성하는 곳이다. 지형에 따라 테뫼식·포곡식으로 구분한다. 예성산성은 포곡식으로 둘레가 1㎞로 추정되며, 현존 길이는 10m, 높이는 3m이다. 정유재란 때 김대인(金大仁)과 김명철(金命哲)이 의병을 모집하여 성을 쌓았다고 전해진다. 예성산성은 화순군 춘양면과 청풍면의 경계 지점에 해당하는 높이 362.4m의 예성산 일대에 있다. 화순군 능주면에서 국도 29호선을 따라 춘양면으로 가다가 우봉교에 이르러 남쪽에 예성산이 있다. 산 정상부와 능선 상에 산성이 있다. 예성산을 중심으로 북으로는 가파른 능선을 따라 지석천과 접하고, 남으로는 청풍면 풍암리와 접하며, 서쪽으로는 춘양면 가봉리와 접하고, 동쪽으로는 청풍면 풍암리 입교 마을과 접한다.『신증동국여지승람』[1530년] 능성현 산천조, 『동국여지지』[1656년] 능성현 산천조, 『여지도서』[1757~1765년] 능성현 산천조, 『대동지지』[1865년] 능주 성지조를 비롯하여 기타 19세기 말기 읍지들을 보면 현 남쪽 15리에 왜성산(倭城山)이 있다고 기록하고 있다. 고려 때 왜구를 막기 위해 쌓은 성이 있어 산 이름을 왜성산이라고 명명했고, 수백여 명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지니고 있고, 고성의 석축 터가 남아 있다고 한다. 이를 통해서 볼 때 왜성산에 있는 고성은 자연히 왜성산성(倭城山城)이 되는 것이다.
그런데 일제 강점기인 1923년 간행된 『능주읍지』에는 왜성산이 예성산(禮聖山)으로, 왜성 산성이 예성산성(禮聖山城)으로 바뀌어 기록되어 있다. 아마 일제 당국의 강요에 의해 일본을 나타내는 ‘왜’자를 피하기 위해 산과 이름이 ‘예성(禮聖)’으로 개명되었던 것 같다. 이 예성산이 다시 예성산(禮城山)으로 한자가 바뀌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전하는 말에 따르면 정유재란 때 충무공 이순신의 막하에서 활동하였던 김대인(金大仁)과 성 아래에서 사는 김명철(金命哲)이 의병을 모집하여 예성산으로 들어와 성을 쌓고 항전하였다고 전한다. 당시 전투에서 아군이 포위를 당해 불리해지자 왜군은 성내의 식량과 식수가 떨어지면 스스로 항복하리라고 믿고 장기적인 포위 작전을 폈으나, 아군은 식량과 식수를 미리 비축해 두어 계속적인 항전이 전개되자 결국 왜군이 후회하고 말았다고 한다. 지금 여기에는 그 전적비가 남아 있다.
■예성산성(禮聖山城)은 높이 362.4m의 예성산에 축조된 산성으로 천연적인 석벽을 이용하여 쌓았다. 동벽은 가파를 절벽을 이용하고 있는데, 천연적인 자연 지세를 이용하고 있을 뿐 별도의 성벽을 축조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남벽은 정상부로 이어지는 가파른 능선을 따르고 있는데, 산 정상 부 능선과 절벽을 이용하여 축조하고 있다. 서벽은 예성산 정상부에서 서북쪽으로 내려가는 능선을 따라 축조하고 있다. 능선을 따라 자연석을 이용하여 성벽을 축조하고 있는데, 현재 곳곳에 벽석으로 사용된 돌들이 흩어져 있다. 북벽은 계곡을 가로지르는 성벽이다. 성벽은 부분적으로 축조하고 있는데 성벽 추정선 상에 성벽의 잔해로 판단되는 석재들이 남아 있다. 건물지는 성내부 동북쪽 경사면의 약간 평탄한 곳이며, 높이 325m 지점에 해당된다. 성벽이 축조된 뒤편에 평탄한 면이 있는데 건물지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주변에서 채집된 유물로는 회청색 경질 수키와 편과 갈흑색 경질 수키와 편이 흩어진 상태로 일부 확인된다.현재 이 산성은 최대한 자연 지형을 이용하였기 때문에 석벽의 흔적을 찾기는 대단히 어렵다. 그나마 현재 석벽이 확인되는 구간도 짧고, 붕괴되어 방치되고 있는 실정이다. 예성산성은 예성산의 자연 지형을 이용한 포곡식 산성이다. 산성의 둘레는 약 1㎞로 보이나, 현재 남아 있는 성터의 길이는 약 10m, 높이는 3m 가량에 불과하다. 성벽은 높이 270~420m 일대에 분포하지만 성벽의 파괴가 심하여 전모를 확인할 수 없으며 그 연결선만을 추정할 뿐이다. 주로 절벽이나 능선을 이용하고 작은 계곡을 감싼 것이다. 예성산성의 주재료는 거의 대부분 석재와 암벽이다. 성 돌은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자연석을 가공하여 이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성벽은 기단석을 큰 돌로 사용하고, 위로 올라갈수록 작은 돌을 사용하고 있다. 예성산성은 전라남도 보성군 쪽에서 화순군 능주면으로 올라가는 길목에 위치하고 있어서 전략적으로 중요한 방어성이라고 할 수 있으며, 지형에 따라서는 산성, 지리적 위치에 따라서는 내성, 축조 재료에 따라서는 석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깃대봉(383m)은 전라남도 화순군의 남부 춘양면 가봉리와 청풍면 풍암리 경계에 있는 예성산에서 가장 높은 봉이다. 실제 주민들은 깃대봉을 예성산 정상으로 이정표등에 사용하고 있으나 국립지링원 지도와 오록스맵 코리아지도에는 예성산과 별개의 산으로 취급하고있다.
■앞산(131m).입매봉(226m).가둠산(277m).옥녀봉(410m)은 전라남도 화순군 청풍면 차리와 풍암리에 소재한 산이다. 국립지리원 지도상은 옥녀봉(410m)만 그이름이 나오나 오록스맵코리아지도.네이버,다음지도에 그이름이 나오는 산이다.
2022년09월22일(목),(06;23) 가양역에서 9호선 급행으로 (07;01) 석촌역 도착 석촌역 5번출구 앞에서 강송산악회 리무진 버스에 탑승합니다. 오늘은 전남화순군 춘양면 화학산(616) .개천산(497) .천태산(483) 따라가 개인산행으로 예성산( 禮成山362m).깃대봉(383m)을 진행하고 B코스중 절반 앞산(131m).입매봉(226m).가둠산(277m). 옥녀봉(410m)을 진행코져 합니다.
전남 화순 춘양면 오지에 있는 화학산(華鶴山614m)금성산(468m)개천산(498m)천태산(480m)은 "산행일자; 2015년 2월15일(일). 날씨; 흐린후 세우. 산행거리; 12.1km 산행시간; 4시간 교통편; 청마산악회. 비용; 38,000원(선입금35,000원 .하산후 산악회제공 식사및 주류 포함)산행코스: 청풍리-임도-화학산-접팔재-금성산왕복-깃대봉왕복-개천산왕복-홍굴재-천태산왕복-홍굴재-거북바위-개천사-주차장"을 진행한봐 있고
용암산 (聳巖山 544m).도덕산(365m).맹일산.(323m).작약봉(281.5m)./전남 화순은 "산행일자 : 2015. 2. 26 (목). 날씨: 맑음. 산행거리; 12.9km. 산행시간: 3시간50분.
교통편; 새마포산악회 및 현지 택시. 비용; 2만원(하산후 찰밥 및 주류제공)+택시비(능주~용암사11,000원+ 불암사자락 우봉리~덕고개 안성저수지15,000원)
산행코스 : 능주농촌기술센터.논재갈림길.용암산장갈림길~(택시이동)~용암사~능선삼거리~도덕산 왕복~420봉~금오산성~칠형제바위~용암산~510봉~ (암릉)~불암사~도로~논재갈림길 ~(택시이동)~818번도로.천태산입구이정표~안성저수지~ 맹일산~안부~작약봉~안성저수지밑 천태산 3거리 이정표주차장."을 진행한봐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개인산행으로 그동안 빠진 "예성산( 禮成山362m).깃대봉(383m)"을 1차 답사 목표로 한후 강송산악회 B코스(청풍면 차리 798-1 -큰범산(206) -작은범산(196) -바깥재 -232봉 -도리봉(221) -숫굴산(250)-옥녀봉(410) -351봉 -가둠산(277) -입매봉(226) -앞산(131)-차리1구회관옆 농협창고 (청풍면 차리 569)/(약8km)중 절반 "차리1구회관옆 농협창고 (청풍면 차리 569)-앞산(131m)-입매봉(226m)-가둠산(277m).-351봉 옥녀봉(410m)-내촌마을 주차장 A코스날머리"을 목표로 합니다.
고속도로 달리는 도중 차내에서 임대장님의 산행지에 대한 멘트 " A코스;산행거리;12km/산행시간;약5시간/ 예약된 너릿재 뷔폐 식당 /B코스 "를 듣고, 중간 탄천휴게소에서 약10분(09;10~09;20) 휴게 시간 갖고 광주와 화순을 거쳐 818번도로 따라 A코스 천태산 들머리 안성저수지 밑 천태산 3거리 이정표주차장 가는 도중 임대장님의 배려로 혼자 (11;20)남덕동 버스정류장에 하차 남덕교를 건너면서 산행 시작합니다.
0km 0분[남덕동 버스정류장](11;20)
약2분 산행준비후 (11;22) 마을길 따르고 (11;23)춘양천을 가로 지르는 남덕교를 건너 마을 길을 터벅터벅 걸어들어간다. (11;26)길옆 경주김씨 합동제사상 제단과 시비를 갖춘 제례터를 지나고 (11;28) 가봉마을 갈림 3거리다. (cf우측이 가봉마을 지나 정규등로로 오르는 길이지만) 2차 산행지를 생각하여 시간 절약상 (11;28) 경고판(경주김시문토 통행제한)서있는 직진길 가봉저수지향 임도길을 따른다. (11;34)가봉저수지는 말라있고 저수지 뚝방에는 입산통제판(봄. 가을;11월1일~12월31일)이 서있다.
그늘 없는 농로길 따라 오르니 (11;36) 태양광 발전단지다. 발전 아래길을 따라 (11;45) 발전단지는 끝나고 사실상 예성산 산행 들머리 산길 임도다.[1.8km][25분]
1.8km 25분 [ 산길진입임도](11;45)
건계곡에서 태양광발전단지 임도길은 끝나고 건계곡 너머로 묵은 임도길이다. (11;48)묵은 임도길을 따라 완만하게 오른다. 임도길은 계곡을 끼고 좌측으로 진행하다가 어느순간 없어지고 샛길등로가 이어진다. 좌측으로 경사가 있지만 전나무 숲을 따라 주능선에 붙는 것이 좋았는데 계곡건너 우측으로 넝쿨을 피해 오르다 보니 넝쿨지대를 만나 뚫을수가 없어 우측 사면 (12;03) 잡목구간을 개척으로 치고 오른다. (12;10) 주능선 방화선 도로다.[0.3km][25분]
2.1km 50분 [주능선 방화선도로](12;10)
좌측으로 룰루랄라 좋은 등로 따라 완만하게 오른다. 깃대봉 정상이다.[0.7km][15분]
2.8km 65분 [깃대봉](383m)(12;25~12;28)[3분]
비닐코팅 깃대봉 정상표지판이 부착된 표지목 이정표(예성산정상2.6km/가봉5.2km/산간4.7km) 가 서있고 선답자님 표지기 걸려있다. 옆에 표지기 걸고 인증사진 남기고 좋은 등로 따라 능선길 완만하게 이어간다. (12;32)이정표(가봉리1.0km)가 땅에 떨어진 이정표(예성산정상0.8km/화학산11.1km)를 지나고 오름길 완만하게 오르니 (12;40) 예성산 정상이다.[0.5km][12분]
3.3km 80분[예성산](362m)(12;40~12;41)[1분]
조망도 없고 정상표지판도 아무것도 없다. 선답자님들의 표지기가 없다면 무심코 그냥 지나치기 쉬운 정상이다. 정상석은 못세워도 정상표지목이라도 하나세울 일이지 ~ 하긴 이후 이정표를 보니 예성산 정상을 21m 더 높은 깃대봉(383m)으로 기록하고 있다. 그러나 국립지리원 지도나 오록스맵 코리아 지도상 예상산은 따라 그이름이 나온다. 표지기 모아 걸어두고 인증사진 남긴후 꽤나 급한 급경사 내리막길을 내려서 완만한 등로 따르니 (12;48)예성산 전망대 바위암릉이 시작된다. 잠시조망 즐긴후 픽스로프 잡고 올라 암릉길을 조심히 내려서니 12;53) 통천문 거대한 바위암릉이다. 바위암릉을 우측에두고 바위밑 내림길을 내려선다. 바위암릉이 끝날 즈음 (13;02)전망대 갈림 이정표(등산로입구1.5km/전망대0.4km/깃대봉정상2.6km)를 만난다.
바위암릉을 비집고 내려서니 (13;03) 예성산성터다. (13;07) 이정표(등산로입구1.km 0/정상2.9km)를 지나고 (13;12) 평장묘지석(추장홍의묘)를 지나 (13;13) 경전선천로변에 이정표(그린펜션0.5km/가봉리/예성산성1.8km)서있다. 경전선을 철로를 건너니 철망울타리에 철망문이 있는데 자물쇠로 잠겨있다.
철망을 넘기도 위험하여 할수없이 우향 (기린펜션방향) 철로변 갓길을 따른다. 언젠가는 철조망이 끝날 것을 기대하면서 ~~ 철조망은 그린펜션 건물 울타리에서 ㄱ자로 끝나 휴~! 다행이다 한숨을 쉬고 도로에 선다. (12;29) 역산행시 이곳에서 경전선 철길로 들어서 철길 갓길로 이동 할것을 권한다. (13;22)경고판은 물놀이사고 경고판이지 철로길로 들어가지 마라는 경고 판은 아니다.
도로따라 나와 그린펜션 대문에 부착된 표지판 (학포로1213-47)을 담고 (12;30) 그린랜드 펜션 본관별관 안내판을 지나 지석천 다리를 건너 1차 예성산과 깃대봉 산행을 종료 한다.[2.2km][49분]
5.5km 130분[그린 펜션](12;30~12;40)[10분]
그늘에 자리 잡고 이양.춘양,택시를 콜해도 올수가 없다한다. 카카오 택시 콜하니 약10분 거리 택시가 연결되는데 능주에서 이곳까지 요금을 추가해달라는 조건이다. (12;40) 도착한 택시로 (이미13.200원이 메타에 올라있는) 옥녀봉 들머리 청풍면 차리마을 회관을 지나 앞산 임도거리에 도착 바로 산행 시작한다.[9.3km][10분]
14.8km 150분 [ 청풍면 차리마을회관](13;50)
산악회 산행종료 16;30까지는 약2시간 40분의 여유가 있어 B코스 완주는 불가능하고 B코스중 큰범산 ,작은 범산보다는 앞산 .입매봉.가둠산 옥녀봉 코스를 하고 A코스날머리 내촌마을 회관에서 산행종료키로 결정한다. (13;50)임도따라가다가 (13;55) 3거리에서 우측으로 진행후 임도 버리고 좌측으로 잡목의 저항을 뚫고 거의 개척수준으로 치고 오르니 (14;00)앞산 정상이다.[0.2km][10분]
15.0km 160분 [앞산](131m)(14;00)
오늘 진행한 문정남 선생님의 표지기가 걸려있다. 표지기옆에 표지기걸고 앞산 인증사진 담고 Back 임도로 돌아와 임도길 따라오니 감나무 과수원이다. 감나무 과수원 임도길이 끝나 좌측능선을 보면서 개척으로 치고 오른다. 전라도 산에 들면 호남정맥때도 그랬지만 망개나무 청미래의 저항이 만만치 않다. 좌측 그런대로 괜찮은 등로를 만나 (14;20) 입매봉 정상에 선다.[0.6km]20분]
15.6km 180분 [입매봉](226m)(14;20)
문정남 선생님의 표지기외 아무런 흔적이 없는 입매봉(226m)정상이다. 옆에 표지기 걸고 셀카 인증사진 남긴후 약간 내려선후 다시 오름길 오른다. 3거리봉에서 좌측으로 내려섰다 오르니 (14;35)가둠산 정상이다.[0.4km][15분]
16.0km 195분 [가둠산](277m)(14;35)
가둠산 정상에도 먼저 다녀가신 문정남 선생님의 표지기가 걸려있을 뿐 아무 것도 없다. 표지기 옆에 표지기걸고 Back 3거리봉으로 돌아와 직진으로 잡목의 저항을 뚫고 능선길 이어간다. 옥녀봉 가는 길은 거칠다. 345봉 암릉는 직등하지 않고 우측으로 우회하여 오른다. (15;01) 조망이 터지는 345봉 에서 물한모금 하면서 잠시 다리쉼한후 좌향 능선길 이어가 351봉을 지나고 오름길 올라 401봉에 올라선다. 완만한 능선길 이어가다가 옥녀봉을 향한 독도 주의지역 좌측 내림능선을 내려선후 마지막 힘든 오름길 극복하여 오르니 (15;35) 옥녀봉 정상이다.[1.8km][60분]
17.8km 255분 [옥녀봉](410m)(15;35)
B코스한 대원들 표지기 옆에 표지기 걸고 인증사진 남긴다. 목표한 산은 답사완료 하였고 이제 하산길만 남았다. 우측능선이 좋아 보이지만 좌측능선도 나름 등로가 있어 완만하게 진행 345봉에서 우향 비스듬하게 북서방향으로 내려선다. (15;57)임도가 올라온 개간지역에 내려서 임도 따라 내려선다.[1.0km][22분]
18.8km 277분[포장농로](15;57)
청룡저수지 밑 농로다. 농로따라 3거리에서 우측으로 진행 숫굴산 아래 농로3거리에서 좌측으로 진행 저수지 못가서 우측으로 고개를 완만하게 넘어서니 (16;10) 화악산 등산 안내도 서있는 내촌마을 주장에서 산행 종료한다.[0.8km][13분]
19.6km 290분 [내촌마을 화악산 주차장](16;10)
산행종료 합니다. 산악회 산행종료 시간(16;30) 까지는 약20분의 여유가 있습니다. 윤재학님이 따라주는 막걸리 연거푸3잔 받아 마시고 차안에서 슬리퍼 갈아 신고 옷보따리 챙겨 주차장 깨끗한 화장실에서 씻고 새옷 갈아입으니 살것 같습니다. 후미 1분 도착한 (16;30) 내촌마을 화악산 주차장을 출발 귀경길에 있는 33km 떨어진 너릿재식당에 (17;00)도착 식사시간 약1시간 갖고 (17;00~18;00)(18;00) 너릿재 식당을 출발 귀경길에 듭니다. 중간 여산 휴게소에서 휴게시간 약10분 (19;35~19;45) 갖고 (21;30)죽전휴게소 서울 방향에서 하차 약10분 이동 (21;43)동천역에서 분당선 타고 신논현역에서 9호선 환승(22;08~22;12/4분) 9호선 급행으로 (22.37) 가양역 도착 귀가 합니다.
11;20 남덕동 버스정류장입니다.
11;32 마을길 따릅니다.
11;23 남덕교를 통해 춘향천을 건넙니다.
(11;26)길옆 경주김씨 합동제사상 제단과 시비를 갖춘 제례터 입니다.
(11;28) 가봉마을 갈림 3거리 입니다. (cf우측이 가봉마을 지나 정규등로로 오르는 길이지만) 2차 산행지를 생각하여 시간 절약상 (11;28) 경고판(경주김씨문토 통행제한)서있는 직진길 가봉저수지향 임도길을 따릅니다.
(11;28) 경고판(경주김씨문토 통행제한)입니다.
11;31 올라야할 능선이 조망됩니다.
11;34 가봉 저수지는 말라있고 입산통제 표지판 설치되어있습니다.
11;36 태양광 발전 단지 제일 아래 길(사이길)을 지납니다.
11;45 실질적인 등산로 입구입니다.
12;03 잡목구간을 통과느라 시간이 많이 지체 됩니다. 좌측 측백나무 숲을 오르는 것이 좋을 듯 싶습니다.
12;10 주능선 방화선( ?) 등로에 올라 좌향 능선길 이어 갑니다.
(12;25~12;28)[3분]깃대봉(383m)비닐코팅 깃대봉 정상표지판이 부착된 표지목 이정표(예성산정상2.6km/가봉5.2km/산간4.7km)입니다.
(12;25~12;28)[3분]깃대봉(383m)정상 셀카인증사진입니다
(12;25~12;28)[3분]깃대봉(383m)정상 선답자님들의 표지기입니다
(12;32)이정표(가봉리1.0km)가 땅에 떨어진 이정표(예성산정상0.8km/화학산11.1km)입니다.
(12;32)이정표(가봉리1.0km)가 땅에 떨어져 있습니다.
(12;32)장의자도 놓여 있습니다.
12;40 예성산 정상입니다.
12;40 예성산 정상 셀카인증사진 입니다.
12;41 예성산 정상 표지기를 한 곳으로 모았습니다.
12;41 예성산 정상 셀카 인증사진 입니다.
12;48 픽스로프 걸린 바위 암릉 구간이 시작됩니다.
12;48 조망입니다.
12;48 조망2
12;48 조망3
12;51 통천문 지난 바위암릉 입니다
12;53 암릉2
12;53 암릉 3
12;59 암릉
12;59 암릉 2
(13;02)전망대 갈림 이정표(등산로입구1.5km/전망대0.4km/깃대봉정상2.6km)입니다.
13;04 예성산성 터입니다.
(13;07) 이정표(등산로입구1.km /정상2.9km)입니다.
(13;12) 평장묘지석(추장홍의묘)입니다.
(13;13) 경전선천로변에 이정표(그린펜션0.5km/가봉리/예성산성1.8km)서있습니다.
경전선을 철로를 건너니 철망울타리에 철망문이 있는데 자물쇠로 잠겨있습니다. 철망을 넘기도 위험하여 할수없이 우향 (그린펜션방향) 철로변 갓길을 따릅니다. 언젠가는 철조망이 끝날 것을 기대하면서 ~~ 철조망은 그린펜션 건물 울타리에서 ㄱ자로 끝나 휴~! 다행입니다 한숨을 쉬고 도로에 섭니다. (12;29) 역산행시 이곳에서 경전선 철길로 들어서 철길 갓길로 이동 할것을 권합니다.
13;22 물놀이 사고 경고판입니다.
13;29 그린펜션 뒤로 예성산 암릉이 멋집니다.
13;29 줌인 해봅니다.
13;29 지석천 모습입니다.
13;30 그린펜션 지번입니다.
13;30 카카오 택시 콜할때 현위치 설명합니다.
(12;30~12;40)[10분]그늘에 자리 잡고 이양.춘양,택시를 콜해도 올수가 없다합니다. 카카오 택시 콜하니 약10분 거리 택시가 연결되는데 능주에서 이곳까지 요금을 추가해달라는 조건입니다. 방법이 없습니다. (12;40) 도착한 택시로 (이미13.200원이 메타에 올라있는) 옥녀봉 들머리 청풍면 차리마을 회관을 지나 (12;50)앞산 임도거리에 도착 (14;55)바로 산행 시작 합니다.
14;00 앞산(131m)정상입니다.
14;20 입매봉(226m) 정상입니다.
14;20 입매봉(226m) 정상 셀카인증사진입니다.
14;35 가둠산 (277m)정상입니다.
14;35 가둠산(277m) 정상 셀카 인증사진입니다.
15;01 351암릉봉에서 조망입니다.
15;35 옥녀봉(410m)정상입니다
15;35 옥녀봉 정상 셀카인증사진입니다
15;57 임도에 내려섭니다.
15;57 임도에서 숫골산 조망입니다.
14;10 화학산 등산로 안내도와 유래판입니다.
14;10 내촌마을 (화학산)주차장 입니다. 산행종료합니다.
로커스트랙지도
오록스맵트랙지도
산행기록표
e-동아트랙지도
산행기록표
실트랙
첫댓글 산행일지를 멋지게 쓰시네요 ~~
수고 하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