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론 입니다.
나무 난로의 기본은 완전 연소와 연소로 인하여 나온열을 90 % 이상 난방과 스토브로 사용하여야 합니다.
로켓스토브의 시스템을 제대로 이용하여 완전 연소를 시키로
우리나라 고유의 구들장 밑 고래의 원리를 이용하여 열을 거의 손실없이 난방에 사용합니다.
지금 있는 도면들은 아래부분은 내화벽돌과 진흙으로 만들고 윗 부분만 철판으로 하면
아주 실용적이고 효율적인 로켓구들난로가 탄생하리라 믿읍니다.
하나님이 주시는 복 받으시길 기도 힙니다.

구둘장을 이용하여 실내 공기가 갑짜기 뜨거워 지는 것을 방지하며 실내 온도가 오래동안





따뜻함을 유지한다.
첫댓글 개자리는 재처리 하는곳인가요?..
개자리는 역류 방지 입니다.
난로겸으로 할려면 내부단열이 너무 잘되면 어떤 상황이 올까요?.. 오븐으로는 참 좋을것 같기는 한데
뜨거운 뮬을 이용하며 바닦난방도 가능할것 같고~~ 이론이긴한데 연기가 잘 빠져 나가는지는 실제 제작을 해봐야할듯하네요~~
내부 단열이 잘되면 고온 연소로 인하여 완전 여소가 쉽게 되겠지요.
그리고 실제 제작이 되면 하고 바람니다.
연구를 많이 하시는 군요. 기회가 되면 찾아가 배워보고 싶습니다. 거주하시는 곳이 어디신지요?
미국 워싱톤주 시에틀에서 두시간 떨어진 관광도시 Port Angeles 에 살고 있읍니다.
오시면 제 가족이 모텔을 하니 방은 공짜로 드릴게요.
이 구조에선 2차 뜨거운 열이 올라가는 윗부분에 공기구멍이 있어야 완전연소가 될 것 같은데,,, 외국에서 제작된 나무스토브중에 그런 구조로 만들어진게 있습니다.
아 그렇습니까?
제가 이론만 가지고 있어 뭐라 말씀드릴수가 없네요.
완전연소에 필요 조건이
1. 뜨거운 온도 700 도 이상
2. 공기 120 %
로켓 스토브의 원리가 충분히 만족하는 조건이라 알고 있읍니다.
아직 지식이 부족하여 질문드립니다
공기 120%라는게........무엇을 100으로 잡았을땐가요?
모닥불 피울때 공기가 연소물과 접촉하는 상태를 100 으로 보았을때
로켓 스토브의 연소시 열 상승관으로 불꽃이 치솟아 오름니다.
이때의 상태를 보면 공기 흡입이 꼭 외부에서 강한 바람을 강압적으로 송풍하는 것과 같지요
그때의 상태가 모닥불 피울때 보다 공기가 빨리 더 많이 연소물과 접촉하게 됨니다.
같은 시간에 연소물과 공기가 접촉하는 것이 일반 연소보다 20% 많은 120 % 라고 저는 이해를 하고 있읍니다.
저는 아직 문외한이라 아무것도 모르지만, 여러분들의 설명을 듣다보니 조금씩 이해가 됩니다.
차후에 농가주택 지을때 보이라 겸용화목난로 를 설치하고 싶은데, 아직 완벽에 가까운 제품이 없어,
이런 아이디어가 모이면 좋은제품이 나올듯 합니다.
저는 처음에 한국 구들에 대해 공부를 하다 화목난로에 대해 공부를 했읍니다.
그러다가 신비로 보일러를 만드신 한국의 보일러 박사님을 만나 완전연소에 대해 배웠읍니다.
그 후에 로켓 스토브 난로를 알게 되었구요.
그래서 지금의 짬뽕 로켓구들보일러 난로가 이론적으로 탄생을 한 것입니다.
그러나 지금도 한국의 구들이야 말로 베스트 어브 베스트 입니다.
한국 구들 아궁이에 로켓스토브를 설치하여 완전 연소와 불을 깔고 앚아 열을 잡아두는 구들이
완전한 제품이 아닐까 합니다.
제가 제품을 만들지 못해 많이 안타깝습니다.
누군가가 이 이론이 올다고 느끼시면 만드셨으면 하고 바람니다.'
감사합니다.
멋진 생각 이십니다...로켓스토브와 구들장..저와 같은 아이디어 인듯 합니다..가장 적은 나무와 많은 열을 가장오래보존하는 구조를 열심히 공부하여 모형을 만들어 현실에 옮길수 있도록 연습을 여러번 해봅시다..
예 감사 합니다.
복 많이 받으십시요.
구들시공하는 토.목수인데요, 아이디어가 좋네요. 나무가 완전연소 되기 위해서는 2차연소가 필수인데요.. 저도 아궁이에 2차연소를 하는구조를 만들어 나무에서 나오는 깨스를 완전히 태우고 싶어 다양한 시도를 하는데 2차연소에 포인트를 못 찿고 있네요.. 암튼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수계님
2차 연소에 초점을 맞추지 마시고 일차연소를 완전히 시키는 방법이 로켓스토브 원리라 알고 있읍니다.
직접 구들을 하시니 테스트 한번 해 보시지요. 그리고 로켓스토브 원리를 사용할때 온도가 1200 섭씨 까지 올라간다고 하니 그점 고려하셔야 합니다.
불길이 직접닿는 곳은 내화벽돌을 사용하여 구들짱 깨지지 않게 하시는 것이 ... 짧은 소견입니다.
그리고 요사이 저는 S1 로켓난로를 만들고 있읍니다.
곧 개봉할 것입니다. 실패해도 개봉합니다.
복 많이 받으십시요.
제가 올린 위의 도면들은 이론입니다.
실제 만들어 지지 않앗읍니다.
죄송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