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예식물 이야기>
5/23 목 서윤경
1. 원예식물의 분류
- 원예학적 분류 : 1년초/다년초/구근류/화목류 등
- 화훼식물의 분류 : 화훼식물은 생육습성과 용도에 따라
1) 1년생 초화류 : 꽃을 피우며 열매를 맺고 고사하는 한해살이 식물
- 춘파 일년초 : 봄에 씨 뿌려 여름과 가을에 꽃핌(페튜니아, 맨드라미 등)
- 추파 일년초 : 가을에 종자를 뿌려 봄에 개화(프리뮬라, 팬지 등)
2) 숙근 초화류 (다년생) : 노지 숙근초, 온실숙근초
3) 구근류 : 춘식구근과 가을에 심는 추식구근
4) 관엽식물 : 잎을 관상하는 식물로 실내의 공기정화 능력이 탁월
5) 화목류 (꽃이 피는 나무) : 교목(큰키나무), 관목(작은키나무), 덩굴성나무
6) 다육식물(가시 없음)과 선인장(가시 있음) : 야간에 광합성을 하고, 잎이 퇴화되어 가시로 됨
7) 난류 : 동양란(향이 좋고 크기가 작음)과 서양란(향이 없고 크기가 큼)
2. 원예식물의 생리학
- 실내식물 환경조건
1) 광 : 적당한 빛이 실내식물 배치시 가장 우선적고려 (베란다>거실>부억>화장실)
※ 관엽식물 : 큰나무 밑에서 생장하므로 광 요구도낮음, 수박/딸기/허브 : 광 요구도가 큼(일장/해길이가 길어야 한다, 허브는 환기중요)
2) 광 순화 : 식물을 일정기간 실내의 창가 등에서 순화 후 배치하는 것이 좋다
3) 햇빛이 많이 들거나 부족할 경우 : 블라인드 치고 환기 시킴(많을 경우) / 형광등, 백열등 켜줌(부족할 경우)
4) 광도에 따른 식물 반응 : 광량이 지속적으로 부족할 경우에는 아래 잎이 황화되어 생육이 멈춤
5) 실내식물 환경 조건 : 온도(12도 ~ 15도 적정) 및 습도(습도가 많이 높으면 곰팡이병이 발생 - 탄저병/역병/흰가루병 등)
3. 원예 배양토 특징 및 종류
1) 배양토의 기능 : 식물에 양분과 수분을 공급 및식물체를 지지
2) 배양토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 : 배양토의 수분 및 통기 조건, 토양의 산도와 보비력, 보수력
3) 배양토 : 피트모스, 펄라이트, 버무큘라이트로 구성
4) 분갈이 시기 : 화분 밑으로 뿌리가 빠져 나올 때, 식물이 지나치게 크거나 하엽이 변색이 올 때, 화분내 영양분이 소진했을 경우 등
4. 식물에서 발생하는 해충
1) 해충의 구분 : 빨아먹는 모양(흡즙성)과 갉아 먹는 모양
- 깍지벌레류/점박이 응애/차먼지 응애/꽃노랑총채벌레/작은뿌리파리/온실가루이/담배가루이/진딧물류 등
2) PLS 제도 : 해당 작물에 등록되지 않은 농약은 원칙적으로 사용을 금지하는 제도(농약 허용기준 강화제도)
3) 농약이란 : 농작물을 해하는 균, 곤충, 응애, 선충, 바이러스, 잡초 등 기타 농림부령이 정하는 동식물의 방제에 사용되는 약제와 농작물의 생기기능을 증진하거나 억제하는데 사용되는 약제
4) 올바른 농약 (작물보호제)사용하기 : 병해충 정확하게 진단하기/보호장비 착용하기/사용횟수,시기,방법 확인하기/안전한 농약 선별하기
- 유기농업자재(자연친화적 병해충관리제) 일반 화학농약을 대신하여 쓸 수 있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