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을 속여서 원수를 갚다.’라고 한 것은 蘇秦을 두고 한 말이다.
난세의 영웅들의 결말을 보면 그 목숨을 온전히 보전한 사람이 드물다. 吳起, 孟嘗君 등등 열거하기가 어려울 정도인데, 소진도 같은 경우이다. 이는 德을 보지 못하고 義理를 외면하였으며 이익만 추구했기 때문이다. 그 위태로움이 아침 이슬과도 같은 것을 뒤늦게 후회한들 무슨 소용이 있겠는가.
·孟嘗君은 시호이며 그의 이름은 田文이다.
소진은 爲人之學의 학문을 하여 權謀術數가 능하였다. 결국은 생각지도 못한 죽음을 맞이하는데, 그 순간에도 그의 술책은 빛을 발하게 된다. 오기가 悼王의 시신이 있는 곳으로 도망쳐 왕의 시신에도 화살이 박히고 칼로 찍히게 하는 술책으로 그 무리들을 주살하게 하는 독기를 부렸는데, 소진도 이에 못지않게 사람을 속이는 비상한 술책으로 원수를 갚은 것이다. 사람을 다스리는 것은 덕으로 하는 것이지 술책으로 하는 것이 아닌 것임을 명심해야 할 일인 듯하다. 오랜만에 논어 위정편의 경문을 성독해보는 계기가 되었다.
燕易王卒, 燕噲立爲王. 其後齊大夫多與蘇秦爭寵者, 而使人刺蘇秦, 不死, 殊而走. 齊王使人求賊, 不得. 蘇秦且死, 乃謂齊王曰: "臣即死, 車裂臣以徇於市, 曰'蘇秦爲燕作亂於齊', 如此則臣之賊必得矣." 於是如其言, 而殺蘇秦者果自出, 齊王因而誅之. 燕聞之曰: "甚矣, 齊之爲蘇生報仇也!"
연나라에서는 이왕이 죽고 쾌가 자리에 올라 왕이 되었다.
그 뒤 제나라 대부 중에는 소진과 왕의 총애를 다투는 자가 많았는데, 그 중 한 사람이 사람을 시켜 소진을 죽이려고 했지만 죽이지는 못하고 깊은 상처를 입히고 달아났다. 제나라 왕은 사람을 보내서 소진을 찌른 자를 찾도록 했으나 찾아내지 못하였다. 소진은 죽음을 눈앞에 두었을 때 제나라 왕에게 말했다.
“신이 죽으면 신을 거열형으로 다스려 시장 사람들에게 돌려 보이시고 ‘소진이 연나라를 위해 제나라에서 반란을 일으켰다.’라고 하십시오. 이와 같이 하면 신을 죽이려던 자를 반드시 잡을 수 있을 것입니다.”
제나라 왕이 그 말대로 했더니 소진을 죽이려 한 자가 자수해 왔으므로 제나라 왕은 그를 잡아 죽였다. 연나라에서는 이 소식을 듣고 말했다.
“심하구나, 제나라가 소진 선생을 위해 원수 갚는 방법이여!”
·蘇秦은 東周 雒陽사람으로 鬼谷선생에게 배웠다. 소진은 연나라에서 죄를 지은 것처럼 거짓으로 꾸며 제나라로 망명한 것이데, 이는 연나라를 위한 것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