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사성어]暗中摸索(암중모색) | ||||||||||||||||||||||||||||||||||||||||||||||||||||||||||||||||||||||||||||||||||||||||||||||||||||||||||||||||||||||||||||||||||||||
서울신문 儒林 (487)에 ‘暗中摸索’(어두울 암/가운데 중/더듬어 찾을 모/찾을 색)이 나온다.
‘물건 따위를 어둠 속에서 더듬어 찾는다.’는 뜻으로,‘어림 斟酌(짐작)으로 무엇을 알아내거나 찾아내려 함’, 더 나아가서는 ‘상대가 눈치채지 못하게 調査(조사)한다.’는 의미로 바뀌어 쓰이기도 한다.
‘暗’자는 해가 져서 ‘어둡다’는 뜻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었다.
音은 ‘그늘지다’라는 뜻의 陰(음)과 통하므로,暗은 햇빛이 없어 그늘지고 어둡다는 뜻이다.
暗에는 ‘어리석다’‘보이지 않음’‘몰래’‘외우다’ 같은 뜻도 있다.
用例(용례)에는 ‘暗室(암실:밖으로부터 빛이 들어오지 못하도록 꾸며 놓은 방),暗誦(암송:글을 보지 아니하고 입으로 욈)’등이 있다.
‘中’자의 字源(자원)에 대해서는 ‘바람의 방향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시간을 재기 위한 나무틀’‘해(日)의 변형’‘軍營(군영)의 중앙에 세운 깃발 형상’과 같은 여러 가지 설이 있다.
‘中堅(중견:어떤 단체나 사회에서 중심이 되는 사람),中樞(중추:사물의 중심이 되는 중요한 부분)’ 등에 쓰인다.
‘摸’는 ‘물건을 찾기 위해 더듬다.’라는 뜻을 나타냈다.
‘莫’은 본래 ‘해질 무렵’을 ‘초원 너머로 해가 지는 모습’으로 표현한 것이었다.用例에는 ‘摸倣(모방:다른 것을 본뜨거나 본받음),尋摸(심모:이곳 저곳 물어 찾음)’가 있다.
‘索’의 뜻은 甲骨文(갑골문)을 통해 ‘굵은 끈’, 혹은 ‘두 손으로 노끈이나 새끼 따위를 꼬는 모양’임을 알 수 있다.
‘새끼줄’은 ‘삭’으로,‘찾다’는 ‘색’으로 읽는다.
用例로는 ‘索莫(삭막:쓸쓸하고 막막함),索引(색인:어떤 것을 뒤져서 찾아내거나 필요한 정보를 밝힘),探索(탐색:드러나지 않은 사물이나 현상 따위를 찾아내거나 밝히기 위하여 살피어 찾음)’ 등을 들 수 있다.
‘隨唐佳話(수당가화)’에는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전한다.
唐(당)나라 3대 황제 高宗(고종)이 황후 왕씨(王氏)를 폐하고 武氏(무씨)를 황후로 맞이하였다.
무씨를 옹립하는 데 중심 역할을 한 허경종(許敬宗)이란 學者(학자)가 있었다. 그는 대대로 벼슬을 한 명문가의 후손으로 후에 宰相(재상)의 班列(반열)까지 오른 인물이었으나 방금 만났던 사람조차 기억하지 못할 정도로 健忘症(건망증)이 심했다. 어느 날 한 친구가 그의 건망증을 꼬집어 이렇게 말하였다. “학문에 達通(달통)한 사람이 다른 사람의 얼굴을 잘 기억하지 못하는데, 혹시 일부러 그런 것은 아니겠지?” 허경종은 다음과 같이 應酬(응수)하였다. “그대들과 같은 사람들의 얼굴은 기억하지 못할 수도 있으나, 조식(曹植)이나 사령운(謝靈運) 같은 文章(문장)의 대가는 물체를 식별할 수 없어 더듬거릴 만큼 어두운 밤중에 만나더라도 금세 알아볼 수 있다네[如暗中摸索可記也].”
중국정부는 韓半島(한반도)의 통일시대에 대비하여 2002년부터 이른바 ‘東北工程’(동북공정)을 진행해 왔다. 이런 사실이 백일하에 드러나면서 양국간의 外交問題(외교문제)로 飛火(비화)되었다. 밝은 未來(미래)를 준비하기 위한 暗中摸索(암중모색)이라면 歡迎(환영)할 일이나 역사를 歪曲(왜곡)하면서까지 잇속을 챙기려는 行態(행태)는 陰謀(음모)라는 표현이 적절할 듯하다. [김석제 경기 군포교육청 장학사(철학박사)]
[준말] 암색(暗索)
[同意語] 암중모착(暗中摸捉)
[類似語] 오리무중(五里霧中)
[English] 암중모색(暗中摸索) groping in the dark.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