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미씨(61세·가명)는 얼마 전 손녀와 함께 커피전문점에 갔다가 낭패를 봤다. "커피 하나 마시는 데 선택사항이 너무 많았다"며 "샷 추가, 사이즈 업그레이드 등등 커피 한잔 주문하는 데 선택사항이 너무 많았다. 대체 무엇을 어떻게 주문해야 할지 몰라 난감하기만 했다"고 토로했다. 그는 "요즘은 식당에 가도 마찬가지다. 식은땀부터 난다"며 "주문하다가 보면 여기가 한국인지, 외국인지 헷갈릴 때가 많다"고 꼬집었다.
양식·일식·중식은 물론, 베트남·태국·스페인·터키 등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현지식을 우리나라에서도 어렵지않게 경험할 수 있다. 현지인이 직접 운영하는 곳도 적잖다. 세계 각국의 대표음식을 맛볼 수 있는 식당은 전국 각지에 둥지를 틀기 시작했다. 국내 커피전문점도 넘쳐난다. "밥은 안 먹어도 커피는 마신다"는 우스갯소리가 나올 정도로 식후 커피 문화는 우리 일상이 된 지 오래다.
이처럼 각종 해외 프랜차이즈 커피 전문점과 음식점이 급증하면서 일상생활에도 외국어가 넘쳐나기 시작했다. 주문 시 '테이크아웃(take-out)', '세팅(setting)', '오더(order)', '리필(refill)' 등의 외국어가 빈번하게 사용된다. '빌지(bill+紙)'라는 정체불명의 합성어도 식당에선 이미 굳어졌다.
낯선 이국 음식들, 그 안에서 통용되는 단어들은 여전히 생경하기만 하다. 특히 외국 음식을 판매하는 식당이나 커피 전문점 방문이 어색한 중장년층에게는 더더욱 어렵게 느껴질 수밖에 없다.
테이크아웃은 '음식을 포장해 가져간다'라는 의미인 만큼 '포장', '포장 구매' 등 쉬운 우리말로 충분히 바꿔 쓸 수 있다. "세팅해드릴까요?"라고 묻는 대신 "접시와 수저를 앞에 놓아드리겠습니다"라고 할 수 있고, "리필해드릴까요?" 또는 "리필해주세요"는 "(음료를) 더 채워드릴까요?" 또는 "더 채워주세요" 등으로 충분히 바꿔 쓸 수 있다. 빌지는 계산서로 바꾸면 된다.
일식당에 가면 '히쓰마부시'나 '돈부리' 외에도 '스키다시(つきだし, 츠키다시)', '와사비(わさび)', '나베(なべ)', '우니(うに)' 등의 단어를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 모두 일본어다.
스키다시는 주 요리인 회가 나오기 전에 나오는 밑반찬을 뜻한다. 와사비는 고추냉이로 바꿔 부르면 된다. 나베는 '냄비'라는 뜻이다. 우리가 부를 땐 '냄비 가락국수' 정도로 써도 무방하다. 우니는 성게알로 바꿔 부를 수 있다.
첫댓글 나는 너무 당연한건데 할무니나 나이 좀 있으신 분들은 블랙커피 달라고 하는거 백퍼 이해감... 노인을 위한 배려가 1도없음
우리는 영어를 오래 배웠으니 못느끼겠지만 한 번 그 모든 것들이 우리가 잘 모르는 태국어나 아랍어로 바뀌었다고 생각해봐..말도 안되는 거임
아니 나 일본어 모르는데 히라가나 카타카나 내가 배워야 해요? 어차피 일본 불매하지만 일본어 간판은 걍 안들어감 ㅎ 빵집 메뉴도 산도 이ㅈㄹ하면 안사머금 ㅎㅎ
영어도 단독사용 제발 하지 말고... 간판/메뉴판에 한국어 안쓴다고 힙해보이는 거 아님....ㅠ
22 ~~산도라고 써있으면 안먹고 말어
요즘 라멘 먹으러 가도 설명 하나도 없에 이름만 딱 써있어서 이게 무슨 재료가 들어가는 음식인지를 모르겠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