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요즘의 가장 특별한 변화는 요즘 식단 관리를 하면서 외식이나 배달 음식 시켜 먹는 빈도가 줄고 직접 요리를 해먹게 되었다는 거예요. 음식을 만들고 청소하고 하다 보면 어느새 9시가 되더라고요. 그럼 저는 방해 금지 모드를 켜놓고, 하루를 정리하며 유튜브, 웹툰, 넷플릭스를 보거나 구글링을 하고 핀터레스트로 자료를 정리해요. 열심히 스마트폰을 해서 눈이 아프면 가야금도 켜고, 노트의 무언가를 끄적이고, 홈트를 하고... 그러다 슬슬 12시가 되면 소파에서 방으로 이동해 좋아하는 침구의 질감을 느끼며 잠에 들죠.
이게 요즘 제가 lullarden에서 보내는 저의 일상이랍니다.이 집에 이르기까지...
@집꾸미기 lullarden님의 공간
지금 인테리어로 바꾸기 전의 모습
인테리어에 관심을 가지게 된 건, 어렸을 때 가구 배치를 자주 바꾸시던 어머니의 모습을 자주 보고 자란 덕분인 것 같아요. 그래서인지 청소년기에 예술고등학교에 다니며 전시를 자주 보러 다녔는데 그때도 늘 작품보다는 공간에 관심이 더 많았어요. 그렇게 대학교에 진학해서도 가구 디자인을 전공하며 지속적으로 '공간을 꾸미기'에 대한 관심을 점점 확장했습니다.
@집꾸미기 lullarden님의 공간
저는 본가가 부산이라 지금까지 기숙사와 두 오피스텔, 그리고 지금의 집에 이르기까지, 총 5번의 이사를 거쳤어요. 그때마다 제가 원했던 건 계속 변화해왔죠.
본가에서 어머니, 아버지, 동생, 그리고 저까지 총 4명의 가족과 함께 지내고, 기숙사에서는 룸메이트와 함께 지내며 바랐던 건, '오로지 나의 공간'이었어요. 그러다가 오피스텔로 이사를 가며, 진짜 나만의 공간이 생기자 다음으로는 기능 별로 공간을 분리할 수 있는 '거실이 있는 집'이 가지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죠. 그 모든 바람과 변화 끝에 이 집을 만나게 되었어요.
이 집은...
@집꾸미기 lullarden님의 공간
그럼 본격적으로 집 소개를 드려볼게요. 이 집은 침실 2개, 화장실 2개, 거실, 드레스룸으로 이루어진 25평 신축 아파트예요. 제가 첫 입주자였답니다.
@집꾸미기 lullarden님의 공간
아쉬웠던 건 집 자체가 신축이라 깔끔하지만, 그러면서도 천편일률적인 아파트 특유의 느낌이 강하다는 거였어요. 그래서 최대한 구조를 활용하면서도 가구 배치나 포인트 색을 두어 시선을 분산시키려고 노력했어요.
그렇게 사용한 금액은, 가구 구입 비용으로만 180만 원이에요. 따로 시공은 하지 않았고요. 원하는 가구들을 2월부터 현재까지 달마다 조금씩 구매해왔는데요, 제가 만든 가구와 원룸 때부터 함께 한 가구들이 있어서 예산을 크게 줄일 수 있었답니다.
@집꾸미기 lullarden님의 공간
원래 저는 짐을 최대한 늘이지 않으려고 하지만 이번엔 '이왕 살게 된 넓은 집, 정말 마음껏 꾸며보자!'라는 마음으로 처음으로 '없어도 되지만 있으면 좋은 가구'를 구매해 보았어요. 소파, 책상 겸 식탁, 행거, TV 선반장, 책 수납장, 러그, 조명이 바로 그것이었죠. 이전 집에서는 옷장과 침대만 구입하고, 나머지는 모두 만들어서 썼었으니 아주 큰 변화라고 할 수 있겠네요.
집의 무드는...
@집꾸미기 lullarden님의 공간
저희 집의 무드는 우선, 삶의 철학과도 이어지는 '홈퍼니싱 철학'과 연결 지어 설명드릴 수 있을 것 같아요. 저는 집을 꾸미기 전 첫 번째 스텝으로 '내가 어떤 사람이며, 어떤 생활 습관을 가지고 어떤 생활을 하고, 어떤 사람이 되고 싶은지'를 그려나갔어요. 라이프 스타일에 맞춘 기능과 취향을 반영하기 위해서요.
하나하나 돌아보니 저는 '조화롭게 사는 삶'을 추구하더라고요. 혼자만의 시간과 결이 맞는 사람과 보내는 시간 사이에서 균형을 잃지 않으려고 노력하면서요.
@집꾸미기 lullarden님의 공간
그렇게 정해진 저의 라이프스타일을 트렌드 용어로 표현하자면 '따로 또 같이'와 '복합공간'인 것 같아요. 누구나 여러 면을 가지고 있잖아요. 그렇기에 누굴 만나느냐, 어느 장소에 가느냐에 따라 성격도 보여주는 모습도 다르죠. 그래서 그 부분을 공간 무드에 모두 반영하려고 했답니다.
이 집의 컨셉을 한마디로 정의하자면, '아트적인 믹스매치'예요. 커뮤니케이션과 관계를 중심으로 구획된 공간들과, 한정되지 않고 언제나 재배열되는 가구의 모습이 이 안에 담겨있어요.
베이지 톤에 디테일을 더한 거실
@집꾸미기 lullarden님의 공간
그럼 거실부터 보여드릴게요! 거실은 원래 바닥과 아트월 색상을 고려해, 전체적으로 따뜻한 베이지 톤을 사용하고 오렌지와 그린으로 포인트를 주었어요.
@집꾸미기 lullarden님의 공간
베이스 컬러인 베이지와 아이보리의 가구와 소품들이 반복되지만 미세하게 채도나 밝기가 달라서 다채로운 공간입니다. 재질 또한 아크릴과 복슬복슬한 러그, 매트한 질감을 적절히 섞어 사용했는데요. 이런 디테일이 모던하지만 자칫 지루할 수 있었던 공간을 더욱 매력적으로 채워주는 것 같아요.
@집꾸미기 lullarden님의 공간
아트월 쪽 TV 아래엔 벽난로 선반장과 아트 액자를, 오른쪽에는 선인장을 두고 왼쪽에는 조명으로 전자 제품 특유의 딱딱함을 없애려고 노력했어요.
@집꾸미기 lullarden님의 공간
@집꾸미기 lullarden님의 공간
저는 큰 가구를 먼저 배치하고 그다음에 디테일을 신경 쓰는 편이에요. 그래서 이번 인테리어를 하면서도 큰 요소를 먼저 채우고, 후에 직접 제작한 조각 아트와 직접 디자인한 멀티탭과 전선 커버로 디자인 요소를 더해주었답니다. 조금 더 포인트가 필요할 땐 큰 가구나 소품을 구입하기보다는 이런 식으로 세부적인 디테일을 더하면 좋더라고요.
@집꾸미기 lullarden님의 공간
현관 맞은편 복도에는 가야금과 책 수납장을 두었어요. 제가 종이책보단 전자책을 선호하는 편이라 책으로 짐이 늘어날 일은 없거든요. 가야금은 초등학생 때부터 연주하다가 거의 10년 만에 다시 만지는 건데, 스트레스 해소와 식욕 억제용으로 정말 좋답니다
채도 낮은 색감의 하모니, 침실
@집꾸미기 lullarden님의 공간
침실은 제가 좋아하는 '타로 밀크티'를 컨셉으로 잡고 꾸몄어요.
@집꾸미기 lullarden님의 공간
이전 침실의 모습
처음엔 모던하게 우드와 화이트로 채워, 편안하게 잠만 잘 수 있게 했었지만 지내면서 보니까 침실은 제게 노래도 듣고, 영화도 보고, 침대에서 빈둥거리는 설렘이 가득한 공간이더라고요. 그래서 다시 색을 풍성하게 사용하여 꾸몄답니다.
@집꾸미기 lullarden님의 공간
주로 사용된 색은 보라색과 흰색, 가벼운 초록색이에요. 한 공간에 사용한 색이 많을 때는 비슷하고 미묘하게 차이를 두고 반복적으로 사용하면 통일감이 생겨 안정감이 생기더라고요. 제 공간엔 그래서 보라색이 메인으로, 흰색과 초록색이 포인트로 공간을 채운답니다. 공간 색감이 짙고 어두워도 밝은 포인트가 있으니 공간 자체가 풍성해 보여서 좋더라고요.